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SKB 기가 인터넷 사용기

IP
2014.11.09. 09:59:34
조회 수
14552
2
댓글 수
9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KT 기가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된지 약 열흘? 보름? 만에 SKB가 부랴부랴 기가 인터넷을 내놓았다.
여기저기에서 쏟아져 나오는 정보와 의견들을 취합해 보자면,
1. 기가인터넷은 이미 십년도 넘은 오래전부터 이미 기술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다.
2. 구형아파트에 들어가있는 노후된 인터넷 장비는 기가인터넷 구현에 장애요인이다.
3. 차라리 단독주택의 경우, FTTH 망이 가설된다면 기가비트 인터넷 구현에 보다 더 용이롭다.
4. ISP 업체들이 그렇게도 염원하던 인터넷 종량제의 서막이 올랐다.
 
그 밖에도 기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고사양의 PC가 필요하다느니 등등 재밌는 의견이 많더라.
 
KT 기가 인터넷에 대한 리뷰는 많은 블로거와 각종 IT 커뮤니티에서 다뤄지고 있다. 하지만 SKB가 허겁지겁 내놓은 기가인터넷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소식을 접하지 못했다. SKB 기가인터넷에 대해 본 리뷰가 어느정도 궁금증을 해소해 주리라 확신한다.
 
다들 아시다시피 핸드폰에서는 SKT가 절대강자겠지만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KT가 더 우위를 차지한다. SKB와 U+의 손길이 닿지 않은 그 어느 시골마을에도 KT는 정보통신의 헤택을 제공한다. 역시나 우리동네도 마찬가지였다. KT는 FTTH 망 서비스를 오래전부터 시작하였으나 SKB는 지난 9월이 되어서야 FTTH 선로작업을 마쳤고 10월부터 각 가정에 교체작업에 들어갔다. FTTH 설비를 줄기차게 요청했던 결과치곤 늦어도 너무 늦었다.
 
20141105_234118[2].jpg
 
FTTH 모뎀 : 디오넷 2013년 제조. 4포트가 있고 각 포트는 독립된 100Mbps를 제공한다. 이미 아시는 분들은 아실테지만 티밍을 활용할 수도 있고 허브를 사용하여 다중접속을 통해 듀얼WAN을 구성할 수도 있다.
 
 
 
 
20141105_234259[1].jpg
 
AC68R과 WDMC. 최근 AC68의 기가 인터넷 반토막 속도에 대한 포스팅이 올라오는 중이다. 멀린펌을 입혀놓은 저 놈은 문제의 반토막 현상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지난 10월 하순경 지겹도록 써왔던 Docsis 2.5 비대칭 동축케이블에서 FTTH 회선 교체를 위해 SKB 기사님이 방문했다. 100메가비트 회선임을 잘 알지만 보통 업로드를 170~180 Mbps로 풀어주는 행보를 보여서 내심 기대했건만, 그런 기대는 애초 하지 않았어야 했다. 애꿎은 설치 기사님을 붙잡고 사정해봐야 아무런 득을 챙길수 없다는 것을 일찍 알아차렸어야 했거늘...
 
다운100 / 업100 에 만족하며, 드디어 나도 외부에서 NAS를 통한 동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해졌음을 자축했다.
 
며칠간의 적응기를 거치는 도중 지난 주말 아이폰 대란과 함께 SKB 기가 인터넷 서비스 시작에 대한 인터넷 기사를 접했다. 당장 전화하여 서비스 가능지역인지 확인을 요청하였으나, 쯧쯧쯧... 해당지역이 아니란다.
 
FTTH가 설치된 지역인데 안될리가 있나! 애초 FTTH는 기가비트 서비스를 염두해 두고 만들어진 회선이므로 이번 기가비트 서비스가 당연히 가능하다. SKB 홈페이지를 통해 다시 확인해보았다.
 
 
region[1].jpg
 
가능지역이란다!
 
다시 106에 전화했다. 상담사는 여전히 안된다고 한다. 그도 그럴것이 지역 조회하는 폼 프로그래밍을 누가 했는지 모지리 짓을 해놓았다.
구주소로는 아예 조회가 안될뿐더러, 신주소로 조회하게 만들어놓고 도로명 조회 이후에는 갑자기 구주소 번지를 찾아서 입력하게 해놓았다. 상황이 이러하니 상담사는 내가 말하는 신주소를 아무리 검색해도 서비스 가능지역이 아니라고 나오고 앵무새처럼 서비스 불가지역이라는 답변만 반복할 뿐.
 
전화를 통해 검색법을 직접 전수(?)해주고 나서야 들을 수 있었다. "고갱님 지역은 기가 인터넷 서비스 가능지역입니다."
 
아직 기가인터넷에 대한 고객 응대 지침이 제대로 내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나를 상대하려니 횡설수설 당황해하는 기색이 역력해 보이는 상담사를 릴렉스 시킬 필요가 있었다.
 
jangi[1].jpg

 
일단 난 10년 이상 장기우량 고객이다. 그렇다. 이건 여기저기 상대 경쟁사로 건너뛰어 다니며 현금 사은품을 챙기지 않았던 나의 귀차니즘이 주는 선물이다. 어찌됐든 쓰던 요금 그대로 기가 인터넷으로 업그레이드가 된 것이다.
 
 
다음날,
기사님 방문일에 맞춰서 지역 SO의 운용팀은 FTTH 100Mbit 제한을 보다 일찍 풀어 주었다.
우리의 예상이 맞았다. FTTH는 지역 SO 운용팀에서 100Mbit Qos 제한을 걸어놓은 것일 뿐, 임대해준 모뎀이나 전신주의 단자함에서의 설정 세팅은 무관하다. 오전 10시경 방문한 설치기사님이 한 일은 아마 인터넷 가입 상품 변경에 따른 DB 서류 수정 정도를 하신 듯 하다.
 
서론이 너무 길었다. 정작 중요한 서비스 품질을 살펴봐야 하지 않겠는가. 우리집 SKB의 기가 인터넷 속도측정 결과를 살펴보자.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벤치비다.
 
 
benchbee[1].jpg

 
 
 
벤치비에서는 아직 SKB 기가인터넷 항목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FHHT 로 선택한 후 측정해 보았으나 아무래도 측정 서버의 회선 속도가 기가비트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 못한 듯 하다. 결국 벤치비의 SKB FTTH 측정 서버는 200Mbps 정도가 한계였다. 핑테스트 결과는 6.5ms 로 상당히 준수한 편이지만 KT의 그것을 뛰어넘지는 못한다. KT의 핑값 3ms 대는 정말 환상적이다. 본 리뷰에서의 테스트는 모뎀에 PC를 직접 연결하여 측정된 결과지만 공유기를 연결하여 측정했을때는 이보다 다소 늦은 7~8ms를 보인다.
 
 
 
  
speednia[1].jpg
 
또 다른 공인된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인 NIA. 마찬가지로 아직 SKB 기가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나마 NIA는 300Mbps 를 뽑아주고 있다.
 
 
 
SKB 자체 인터넷 품질 검사는 어떨까?
 

 
myspeed[1].jpg
 
 
SKB 홈페이지 내에도 아직 기가 인터넷에 대한 속도측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다만 기사님들 전용(?) 업무용 기가 인터넷 측정 페이지는 존재하고 있다.
http://myspeed.skbroadband.com/cop/ 으로 접속한 후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guest 아이디를 임시로 사용하면 측정이 가능하다.
 
측정결과는 역시나 별 다르지 않다. 기가인터넷 상품출시 이전에 이곳 지역 SO 운용팀 실무자와 통화를 한 적이 있는데 FTTH의 100메가급을 초월하는 상품이 비즈 상품이 있다고 하더라. 추측컨대 기존의 비즈 인터넷이라는 서비스는 대략 300~500Mbps 정도로 서비스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하튼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사 측정 서버조차도 아직 기가비트를 받아내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SKB는 언급했듯이, 부랴부랴 다급하게 기가 인터넷을 출시한 것이다.
 
 
 
 
그렇다면 혹시 KT 홈페이지에 있는 인터넷 속도 측정은 어떨까? 아무래도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먼저 시작했으니 좀 낫지 않겠는가?
KT 홈페이지는 최근 리뉴얼 되었더라. 과거 던전 소리듣던 이미지를 많이 탈피하려 노력한 흔적이 보였다. 비교적 쉽게 찾아 들어간 품질 측정. 결과를 살펴보자.
 

 
olleh_real[1].jpg
 
 
 
 
다운로드는 300Mbps를 채 못채우는 결과였지만 업로드는 900대를 뽑아내 보여줬다. 비록 다운로드에 국한되어 있긴 하지만 이제서야 비로소 볼수 있는 기가비트 속도다.
 
 
도데체 제대로 된 측정 사이트는 도데체 어디에 있을까?
공인된 측정 사이트가 하나 더 있더라. 바로 OOKLA다.
국내 인터넷 속도 측정이 이럴진대 외국 사이트라고 해서 별다를게 있겠는가 싶지만...
 
 

 
morning[1].jpg
 
 
 
우클라에서는 아쉽게도 다운로드만 측정이 가능했다. 그것도 딱 한번만 가능했다.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한국의 OOKLA 측정 서버가 SKB 기가 인터넷 IP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한번의 측정 이후에는 자꾸 중국이나 블라디보스톡 등의 서버로 연결을 시킨다. 수동으로 한국서버에 접속시키더라도 반응하지 않는다. 어쨋든 다운로드 측정값이 나왔다. 드디어 다운로드값 또한 900Mbps대롤 보여줬다.
 
이거야원, 기가비트 인터넷임을 사용자가 직접 증명해 보여야 하는 이 어처구니 없는 상황은 도데체 뭐란 말인가!
 
SKB 는 서둘러 국내 인터넷 속도측정 사이트와 우클라에게 업무협조를 통해 측정서버 정상화에 힘써야 할 것 같다. 아! 그 이전에 기가 인터넷 서비스 가능지역 조회 좀 먼저 손보시길!
 
 
 
측정이야 그렇다치고... 정작 중요한 것은 토렌트 아니던가! 알다시피 여러 유무료 웹하드 업체의 서버는 속도제한이 걸려있다. 즉, 기가비트 테스트를 위한 최적의 놀이터가 아니다. 분할 다운로드. 토렌트야 말로 최적의 기가 인터넷 실험장이 아닐까.
 

 
torrent[1].jpg


 
시더 배포가 19개, 그 중 10MB/s 시더들이 약 5~6개가 되니 속도는 대략 70까지 올라오더라. 하지만 시더를 하나하나 찾는 과정에 이미 60~70%를 다운로드 하였고 거의 끝 마무리 95%대에서야 다운 속도 70MB/s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시더찾다가 기가비트 한계 속도 맛보지도 못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된다. 상기 스크린 샷에서 보듯이 2GB짜리 영상 파일 하나 받는데 1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앞으로 기가인터넷 가입자가 늘어날것으로 예상된다. 그 때가되면 초당 30~80MB/s를 업로딩 해주는 시더들이 많이 늘어날까? No! 기가인터넷 사용자는 하루 100GB 이후 속도 제한으로 인해 토렌트 업로드 속도를 Full Speed로 풀어놓지 못할 것이다. 되려 빠른 회선을 가지고 있는 기가비트 인터넷 가입자들은 깍쟁이가 될지도 모르겠다.
 
 
끝으로 하나만 더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자.
 
KT 하프기가비트 (500Mbps) 가입자인 지인의 NAS에 FTP 접속하여 테스트한 결과다.
 
 
tae_o[1].jpg
 
 
비교적 안정적이긴 하지만 한계속도를 못내주고 있다. KT의 하프기가인터넷이면 500Mbps니까 대략 60~65MB/s를 내주어야 정상이다. KT와 SKB 간의 데이터 전송이 그리 원활하지만은 않아 보인다. 이미 앞선 테스트에서 KT 홈페이지의 인터넷 속도측정 결과를 보았지 않나. 스크린샷의 속도는 약 35MB/s 정도의 속도를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SKB 기가인터넷은 준비가 덜 된 채 나온 칠삭둥이 아기라고 볼수 있다. 실제로 위 테스트는 늦은 밤 혹은 새벽시간대에만 볼수 있는 속도이며 황금시간대인 PM 7~11시에는 400~500Mbps 로 뚝떨어지는 기이현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서야 FTTH 광통신 장비가 설비된 지역이기 때문에 회선 안정화가 이뤄지기 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AS방문기사님  말씀이 있긴 했지만 이는 SKB의 속사정일 뿐, 우리는 돈내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 고객 아니던가. 약속된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해주지 못한다면 요금감면이라는 약관규정도 있다. 기가 인터넷의 불안정함을 이해는 하겠지만 불만을 제기하여 요금할인을 받는다 할지라도 소비자의 권리를 악용한다고만 볼수는 없을 것이다.
 
아직 다양한 테스트가 필요하겠지만 아직 기가비트를 맞받아줄 서버들이 부족한 상황에서 제대로된 기가비트 서비스를 기대하기는 무리라는 판단이다. 통신3사의 애꿎은 AS 방문기사님들은 당분간 잔혹하게 시달리게 될 것이다. 기가인터넷을 사용하시는 사용자분들께 한말씀 드린다. 시간을 가지고 조금 더 지켜봐 주자. 우린 그나마 축복받은 사람들이 아니던가. 아직 기가인터넷을 맛볼수 없는 지역에 계신분들은 300, 400, 500 ~ 900Mbps 등의 수치를 아직 경험해 보지 않았다. 이 분들이 기가 인터넷을 접하게 될 그날이 오면 우리네 회선은 더욱 안정화 될 것이다. 또 모르지, 10기가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되어 새로운 베타테스터가 될지도.
 
- Fin.
Written by 꿍이^^;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꿍이^^; 님의 다른 글 보기

1/1
해당 게시판 관련 글이 없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사용기 9800X3D + X870e AORUS PRO 반본체 사용 후기
사용기 MSI MPG A1000G PCIe5 사용 후
사용기 MSI B850M 박격포wifi 메인보드 사용기
사용기 MSI MPG A1000G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구입 및 설치기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5080 피닉스 사용기 (1)
사용기 프리플로우 완본체 + GAINWARD 지포스 RTX 5060ti 8gb 고스트 D7 후기 (1)
간단 사용기 크로스오버 27QAW99 Fast-iPS 180 WQHD 화이트 (1)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사용후기 (2)
사용기 MSI MPG A1000G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후기 (2)
사용기 GAINWARD RTX 5070 사용기 리뷰 (2)
사용기 MANLI 지포스 RTX 5090 Stellar OC D7 32GB 인텍앤컴퍼니 (2)
사용기 MSI A850G 80PLUS GOLD ATX3.1 사용기 (2)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80 팬텀 D7 16GB 사용기(허접주의) (2)
간단 사용기 (사용기) MSI MPG A1000G PCIE5 1000W 파워 (2)
사용기 게인워드 5070ti 피닉스 리뷰 (2)
사용기 지클락커 OP200 마스터 무선마우스 사용후기 (2)
사용기 GIGABYTE X870E AORUS PRO (2)
사용기 게인워드 지포스 RTX 5080 피닉스 (2)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D7 16GB 사용기 - 이 대단한 성능에 이 가격밖에 안된다고? (2)
사용기 휴대용 무선 블루투스 마우스 OP10 사용 후기 – 슬라임 마우스 추천 (4)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