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냥 일반 회원입니다.
저는 예전부터 종종 미니PC 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습니다.
저의 첫 Mini itx PC는
Asrock E350M1 자카테 미니 PC였습니다.
그때는 사진한장도 안넣고 그냥 말로만 썼네요 ㅋㅋ
저 글을 쓸 당시만해도, 미니pc들이 많이 없었던것 같아요. 지금은 베어본 완성품이 많이 나오고 있죠 ㅎㅎ
2011년 7월에 E350M1 으로 미니PC를 조립한 이후
2015년 5월에 미니PC를 또 조립하게 되었네요
일반 사용자라 게시글 잘 안쓰는데, 걍 도움될 사람 있을것 같아서 써봅니다.
■■■■■■■■■■■■■■■■■■■■■■■■■■■■■■■■■■■■■■■■■■■■■■


조립할때 들어간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 캡쳐를 한 날은 2015. 06. 02 입니다.
저는 아랫지방 살아서, 카드로 구매하기 때문에, 주로 평균가 위주로 구매를 하는것 같아요.
한 50만원 좀 넘게 조립했습니다.

케이스에 붙여주려고 구입한 작은 쿨러들.... 미니PC는 열배출이 잘 안되서, 배기를 달아주어야 합니다.
어느분 게시글을 보니까, 흡기 없이 모두 배기로 해야 온도가 잘 떨어진다고 하더라구요.

글쓴이의 Mini ITX PC 사용 용도는?
TV에 연결해놓고, 티빙이나, Pooq 으로 TV다시보기를 하며
웹서핑, 영화감상, 간단하게 리그오브레전드 정도 합니다.
이런 목적으로 쓰려고 조립했습니다.
전에 쓰던 E350M1 도 저것들은 다 되긴합니다. 롤도 중옵으로 30프레임정도 나왔는데요.
그런데 E350M1 은 1.3Ghz 듀얼코어라서 인터넷할때나, 롤할때 버벅대거든요. SSD를 달았음에도, 느리긴 마찬가지 였음
그래서 인터넷도 좀 빠르게 하고 싶고, 롤도 안버벅대게 하려고, 새로 i3로 조립하게 되었습니다.
내가 미니PC 부품 고를때 생각했던것
1. CPU (인텔 코어i3-4세대 4160 (하스웰 리프레시) (정품)
내가 미니CPU 고를때 기준
①롤이 원활하게 될정도의 내장그래픽
②가격이 15만원 아래였으면 좋겠다.
그래서 목록에 올랐던 CPU가 다음과 같았습니다.
① i5-4690 (쿼드,4쓰레드) 내장그래픽HD 4600) 약 25만원대라 너무 비싸고, 설계전력도 높음.
② i3-4370 (듀얼,4쓰레드) 내장그래픽HD 4600) i3 최상급, 내장그래픽도 HD 4600으로 좋으나, 가격이 18만원대로 비쌈
③ i3-4160 (듀얼,4쓰레드) 내장그래픽HD 4400) i3 인기상품 13만원대로 적정선, 내장그래픽 이것보다 하급은 안되겠음
④ G3580 (듀얼,2쓰레드) 내장그래픽 인텔HD) 인텔20주년 오버클럭 전용CPU라 가성비 최고인데, 내장그래픽이 좀걸림.
저는 케이스를 얇고 작은걸 좋아하기 때문에, 그래픽카드는 따로 달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내장그래픽과 가격을 생각하여, i3-4160 을 선택하게 되었네요.
그리고 Mini-ITX 메인보드가 대부분 10만원 좀 넘습니다... 싼편은 아닌데, 너무싼 CPU 꼽는것도 좀 아닌것 같아서ㅎㅎ
2. 메인보드 (ASUS H97I-PLUS STCOM)
내가 미니PC 메인보드 고를때 기준
① 규격이 Mini-itx 일것 (가로17cm 세로17cm)
② CPU 다는 위치가 어디인가? (저는 얇은 케이스를 쓰기때문에, SSD가 CPU쿨러 바로 위에 올수도 있습니다.)
(쿨러가 제 성능을 내려면, 어느정도 공간이 있어야 공기를 빨아들이기 때문에, CPU 위치를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③ 메인보드가 램 듀얼체널을 지원하는가? 높은클럭을 지원하는가?
2011년에 처음 미니PC 만들때는 걍 두개 꼽으면 듀얼체널 되는줄 알았는데, 메인보드가 지원해야되더라구요
그 후로 메인보드가 듀얼체널 지원하는지는 꼭 확인합니다. 그래고 클럭도 이왕이면 높은거 지원해주는게 좋습니다.
④ 왜 꼭 듀얼체널 램이어야 하나?
쿨엔조이 에서 누가 실험한것을 봤는데, 내장그래픽은 RAM 에 따라서 성능이 더 좋아질 수 있습니다.
싱글보다는 듀얼체널일때 Windows체험지수(3D 그래픽점수)가 1점정도 올라가는걸 봤습니다.
당연히 램 클럭도 높은것이 좋습니다. (램클럭도 보드에 따라서 최대 클럭 지원하는양이 다릅니다)
⑤ USB3.0 지원하는가?
예전에는 USB 2.0으로 충분하지 생각하고, 미니pc 첨만들때 usb3.0을 안넣었다가.
외장하드의 중요성을 알고, 지금은 usb3.0이 있는거로 선호하고 있습니다. ㅋㅋ
3. 케이스와 파워
(KRAFT KOREA i3-BOOK ITX (12V/8.5A/100W))
내가 미니PC 케이스 고를때 기준
저는 예전에 조립할때 미니 PC가 케이스가 많이 없었을때 Kraft Korea 제품으로 조립을 했었는데요.
2011년 미니PC 처음 조립할때, E350M1 쓸때 Kraft Korea 의 K-book 을 샀었죠
얇고 작은 케이스를 선호하는 저에게 딱 맞는 케이스 였습니다.
이번에는 비슷하지만 업그레이드된 크라프트 코리아 i3-book 케이스를 골랐는데요,
슬림하기 때문에 그래픽카드 장착이 불가능합니다... i3-4160 내장그래픽 HD4400 써야죠..
그리고 파워는 DC to DC 라는 파워를 씁니다. 보통 60W 짜리랑 100W 짜리를 팔고있습니다.
CPU설계 전력때문에, 크라프트 코리아에 전화해보니까
G1850 , i3-4160 둘다 설계전력이 54W 인데, 60W 아답터 써도 되냐고 물어보니까
G1850은 클럭이 낮고 쓰레드가 2개라서 60W 도 가능하다고 하는데,
i3-4160은 클럭이 좀더 높고, 쓰레드가4개라서 100W 정도 써야된다고 합니다.
전력이 부족하면 시스템이 다운된다고 하네요
60W 쓰다가 파워 용량을 100W 로 올려야 겠다 싶으면, 100W 아답터만 따로 구매하시면 됩니다.
(크래프트코리아에 전화해보니까 DC to DC 모듈은 최대 120W의 아답터 까지 지원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CPU쿨러 (써모랩 ITX30)
i3-4160 정품 쿨러 장착시 뚜껑이 안닫아집니다.
"고사양?"의 슬림한 Mini-Itx PC를 만들려면, 사제 쿨러를 달아줘야 합니다.
크라프트코리아 i3 book 은 쿨러와 쿨링팬 포함 높이가 30mm 를 넘어가면 안되기 때문에,
써모렙 ITX 30을 써야됩니다.... 이거 쿨러 3만5천원 정도로 비쌉니다. ㅠㅠ
다른 대체품이 없더라구요...
그런데 오늘 대체품을 찾았네요
크라프트코리아에서 쿨링팬 25mm 짜리 5월 출시했다고 공지가 있었어요.
KRAFT KOREA IS 26i 이제품이네요.
이 제품인데, 사용은 안해봤는데, 가격도 써모랩 쿨러의 30% 정도밖에 안되고, 5mm 더 얇아서, 한번 써보고싶습니다.
미니PC만들때 얇은케이스 고르면 써모랩 쿨러밖에 방법이 없었는데,
써모랩ITX30을 대체할수 있는 쿨러가 출시되서 다행입니다.^^
5. RAM 4GBx2개 (삼성전자 DDR3 4G PC3-12800 (정품)
미니PC는 내장그래픽 쓰기 때문에, 듀얼체널로 쓰세요.. 내장 그래픽성능이 좋아집니다.
램 구매할때 총 용량 4GB vs 8GB 뭐로할지 고민 많이 했는데요. 요즘은 8gb로 조립합니다...
윈도우7 64비트 요즘 많이들 쓰는데, 제가 무거운 작업안하는데도, 4GB는 금방찹니다.
그리고 램디스크 쓰는분도 있고 안쓰는분도 있는데, 4GB는 램디스크 쓸만큼 넉넉하지 않아서...어지간하면 8GB로 ㅎ
아 그리고, DDR3 10600이랑 12800이 있는데.. 숫자가 높을수록 클럭이 높은거라 내장그래픽성능에 영향을 미치는데요.
10600이 램오버클럭이 잘되고, 12800은 잘 안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오버클럭은 저는 잘 모르는지라....
6. SSD (Sandisk x110 Series SSD 인택앤컴퍼니 (128GB)
쿨엔조이에서 센디스크X110이 가성비가 좋다고 해서 샀습니다.
SSD 상품의견 들어가보면, MLC냐 TLC냐 많이 따지는데, 이 제품은 MLC 제품입니다.
■■■■■■■■■■■■■■■■■■■■■■■■■■■■■■■■■■■■■■■■■■■■■■■■■■■■■■■■
미니PC는 공간과, 파워용량이 작기때문에 일반PC와 다르게 생각을 많이해야 됩니다.
그래서 주저리 주저리 긴글을 쓰게 되었네요.
아래부터는 사진을 좀 찍어봤어요. 근데 전문 블로거가 아니고,
이런글을 써본적이 없어서 사진 퀄리티가 좀 떨어집니다 ^^;

내부 모습입니다. 내부를 보기위해 SSD를 잠시 뜯어놨어요
윗쪽에 선이 너저분한건, 쿨러를 여러개 달기위해서 그렇게 됐네요 ㅎㅎ

써모랩쿨러가 SSD의 간섭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CPU 위치가 적절한것 같아요 ㅎㅎ
메인보드에 따라서 CPU 장착위치가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잘 생각해서 사세요.

i3 스티커를 적절한 위치에 부착했습니다. 스티커 오른쪽으로 USB 2.0 단자가 있네요.
USB 3.0 이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3.0으로 된건 없더라구요..
케이스가 이쁩니다.

SSD를 장착하고 고정을 시켰습니다.
이 사진을 보면 측면에 쿨러장착하라고 구멍이4개가 큰것이 있는데,
40mm 쿨러에 맞는 구멍인데. 저는 저기에 나사 안박고,
3M 양면테이프로, 50mm 쿨링팬을 붙여버렸습니다.
붙인거나, 나사로 조이는거나 똑같아요..

SSD 와 써모랩쿨러 사이에 바람들어갈 공간이 충분합니다.
쿨러는 너무 공간이 없으면 돌긴하는데, 바람이 안불어요..

50mm 쿨러를 3M 양면테이프로 저렇게 고정시켰습니다.
둘다 배기 입니다. 배기가 온도가 잘떨어진다고, 어느분이 실험하셔서. 전부 배기로 장착합니다.
그런데 저는 조용한PC를 만들고 싶은데, 성능이 올라가다보니, 소음이 생깁니다.
소음줄여보려고, 슬리브 베어링으로 다 달았습니다. 그래도 팬돌면 소리 들립니다. ㅎㅎ
ASUS 보드 설정중에 온도에 따라서 쿨링팬RPM을 조절해주는 옵션이 있어서, 그것을 사용중입니다.
저는 쿨링은 잘 모르기 때문에 55도 ~ 60도 이상이 될때 쿨링팬을 최대속도로 돌도록 설정해줬습니다.

쿨링팬 성능이 어떤것이 좋은지 몰라서, 50mm 도 사보고 40mm 도 사봤는데
이 사진은 40mm 를 하나 달았습니다.
역시나 나사를 쓰지 않고, 3M 양면테잎으로 원하는 부위에 붙였습니다.
테이프가 얇은 테이프가 아니고, 약1mm 정도 도톰한 양면테입있죠? 그거로 붙인겁니다.

위에서 바라본 사이즈는 대충 이렇습니다.
키보드 스페이스바를 넘지못하는 위치... 대충 그정도 크기입니다.

높이 ↕ 6cm
폭 ↔ 20cm
전면에서 후면까지 ↗ 23.5cm
사진을 잘 못찍어서 이 사진은 상품이미지에서 퍼왔습니다.

부팅하고 가만놔둔상태 (아이들시)
전압은 약 16W~19W 정도 하구요.
스타크래프트2 중옵 돌리니까 40~60W 사이 왔다갔다 합니다.
CPU풀로드 프로그램으로 풀로드 걸어보니까 95W 정도 찍었는데
저는 컴퓨터를 그렇게 과하게 쓰지 않기 때문에 전력만 보고 바로 꺼줬습니다. ㅋ
게임성능은 어떤가요?
1. 리그오브레전드
1920*1080 중옵돌리면 60프레임 나옵니다.
그 이상 올리면, 60프레임 유지가 안되는듯..
그리고 롤은 듀얼코어 게임이라, 클럭이 높아야 로딩이 빠릅니다.
메인컴으로 i5-3570 (3.4Ghz 쿼드코어)가 있는데,
미니PC i3-4160 (3.6Ghz 듀얼코어)이 로딩이 더 빠르더라구요
2. 스타크래프트2
TV에 연결해서 해상도를 1920*1080으로 맞춰놓고 했는데요.
스타크래프트2는 원래 고사양게임이라 그런지, 캠페인할때 중옵으로 하니까 30프레임 정도 나옵니다.
스타2는 옵션타협을 좀 봐야할것 같아요.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