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페온에 도원텍 락 폴딩 B/D-Type 설치하기
도원텍 락 폴딩 B/D-Type 구성품

도원텍 락폴딩(자동미러 접이) 제품의 구성품은 생각보다 아주 간단하게 [락폴딩 릴레이],[배선],[설명서] 3종이며 구매방법은 인테넷 검색창에 도원텍 [락폴딩] B/D-Type 을 구매합니다.
먼저 다이(DIY) 설치작업을 하기전 검색해 보니 년식에 따라 락폴딩 릴레이가 1개가 필요한 년식의 차종이 있고 운전석과 조수석 각각 2개가 필요한 년식이 있는 듯합니다.(11년식 이전차가 2개가 맞나?) 다행히 내 알페온차는 12년식으로 1개 부착하는 년식이네요.
먼저 다이(DIY) 설치작업을 하기전 검색해 보니 년식에 따라 락폴딩 릴레이가 1개가 필요한 년식의 차종이 있고 운전석과 조수석 각각 2개가 필요한 년식이 있는 듯합니다.(11년식 이전차가 2개가 맞나?) 다행히 내 알페온차는 12년식으로 1개 부착하는 년식이네요.

운전석 도어패널 탈거하기

① 의 도어핸들 손잡이 안쪽의 커버 홈부위에 작은 드라이버나 해라를 이용하여 살짝 제끼면 커버가 분리됩니다. 커를 분리하면 별나사 1개를 별렌치로 풀고
② 의 포켓 손잡이 부분의 2개의 별나사를 ①과 동일하게 풉니다.
③ 은 하단부위의 고정나사가 다른분들의 탈거 방법을 보니 +나사로 되어있다는데 내 차는 7mm 육각나사로 체결되어 있네요.
③ 은 하단부위의 고정나사가 다른분들의 탈거 방법을 보니 +나사로 되어있다는데 내 차는 7mm 육각나사로 체결되어 있네요.
- 다음은 도어패널을 아래쪽에서 부터 가슴방향으로 아주 힘차게 당기면 두두둑하며 떨어집니다. 패널이 떨어진 상태에서 위쪽 화살표 방향으로 올리면 분리가 됩니다.
④ 분리한 후 도어 컨트롤박스 컨넥터 2개와 도어패널에 1개 총3개의 켄넥터를 분리합니다.

① 스피커 볼트나사(7mm) 1개를 푼다음 앞으로 당기면 탈거가 됩니다. 다음작업의 편의성을 위해서 1개의 컨넥터를 분리하고 배선을 고정하는 클립을 분리합니다.
② 요것은 고정핀인데 분리할 때 그냥 버티고 있는 것입니다. 마무리 조립할 때 빼내어 각 위치의 도어패널에 다시 삽입한 후 조립하여야 단단하고 틉새 및 이음없이 고정됩니다. 참조바랍니다.
② 요것은 고정핀인데 분리할 때 그냥 버티고 있는 것입니다. 마무리 조립할 때 빼내어 각 위치의 도어패널에 다시 삽입한 후 조립하여야 단단하고 틉새 및 이음없이 고정됩니다. 참조바랍니다.

또 이런 클립이 3~4개정도 있는데 몇 개인지 는 모르겠군요. 에~구 차후에 구해서 다시 조립할 일이 생겼습니다. 요 클립 1개를 빼고 조립했는데도 단단하게 붙어있네요,
비올 때 창문을 잠깐 열어두었더니 클립이 녹이~~~~나중에 바꿔 끼워줘야 겠군요.
도원텍 락 폴딩(자동미러 접기) 배선연결하기

ⓐ 노랑에 회색띠선과 ⓑ청색에 보라색띠선을 2개를 과감하게 싹~뚝 잘라버립니다. 그리고 전원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쇼트에 주의 바랍니다.

표와 같이 테이프를 제거후 각각의 선을 연결합니다, 연결후 선이 분리되어 쇼트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안도록 꼼꼼하게 한선한선 마무리하며 연결하였습니다.
가능하다면 체결 부위가 떨어지지 않도록 납땜 후 수축튜브를 이용하여 마무리하였습니다.

도어부분 배선을 연결한 후 9번 보조전원을 도어 안쪽에서 운전석 실내 퓨즈박스로 주름관을 따라 배선을 빼내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이 작업이 생각보다 까다로웠습니다.
주름관으로 배선을 끼워 도어에서 운전석으로 배선 빼기

주름관을 잡아 당기어 스피커 장착 구멍으로 빼내어 배선을 주름관 속으로 집어넣기 좋게 합니다.
배선을 감싸고 있는 테이프를 풀고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을 넓힌 후 배선을 통과 시킵니다. 배선을 통과하는 시키는 과정사진을 날씨는 덥고 혼자서 작업 할려니 날은 덥고 땀은 삐질삐질나고 저질체력이라 사진을 많이 못찍었네요.
배선을 감싸고 있는 테이프를 풀고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을 넓힌 후 배선을 통과 시킵니다. 배선을 통과하는 시키는 과정사진을 날씨는 덥고 혼자서 작업 할려니 날은 덥고 땀은 삐질삐질나고 저질체력이라 사진을 많이 못찍었네요.
간단히 설명으로 때우겠습니다.

주름관 고무배킹을 벋겨내면 사각모양의 링클립을 빼낸고 차체쪽에 체결된 켄넥터 분리 방법은 핑크색 핸들키를 재끼면 분리가 됩니다.
조립 순서는
1. 컨넥터를 젝에 끼운 후 살짝살짝 흔들면서 핸들키를 잠금다.
2. 주름관을 통해 빼낸 배선은 컨넥터 아래쪽에 작은 공간이 있는 데 그 틈과 일직선상 반대편운전석 안쪽에 손가락 크기의 작은 구멍으로 철사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선을 빼내면 됩니다.
3. 검은색 사각프라스틱링에 고무 주름관을 먼저 씌우고 끼웁니다. 끼워보면 왜? 그렇게 하는지 알게됩니다. 쉽기도 하고 누수방지를 위해이지요.
락폴딩 설치 작업을 하다보니 3가닥정도 선의 길이가 짧아 선을 연장하였으니 참조바랍니다.(작동 ON/OFF 스위치 연장선 포함)
조립 순서는
1. 컨넥터를 젝에 끼운 후 살짝살짝 흔들면서 핸들키를 잠금다.
2. 주름관을 통해 빼낸 배선은 컨넥터 아래쪽에 작은 공간이 있는 데 그 틈과 일직선상 반대편운전석 안쪽에 손가락 크기의 작은 구멍으로 철사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선을 빼내면 됩니다.
3. 검은색 사각프라스틱링에 고무 주름관을 먼저 씌우고 끼웁니다. 끼워보면 왜? 그렇게 하는지 알게됩니다. 쉽기도 하고 누수방지를 위해이지요.
락폴딩 설치 작업을 하다보니 3가닥정도 선의 길이가 짧아 선을 연장하였으니 참조바랍니다.(작동 ON/OFF 스위치 연장선 포함)
설명서에 없는 사이드미러 자동접힘 ON/OFF 기능 별도작업
작동 ON/OFF 스위치 용도는 락폴딩 작업은 겨울철 결빙대비 사이드미러 자동접힘 ON/OFF 기능을 추가하여 짧았던 것도 있으나 미리 준비하고 작업하는 것이 좋겠지요.(설명서에는 없는 작업임)
작동 ON/OFF 스위치 용도는 락폴딩 작업은 겨울철 결빙대비 사이드미러 자동접힘 ON/OFF 기능을 추가하여 짧았던 것도 있으나 미리 준비하고 작업하는 것이 좋겠지요.(설명서에는 없는 작업임)

5번 적색선(B+)을 보조전원 청색선과 함께 주름관으로 빼낸 후 다시방의 적당한 위치에 토클 스위치를 부착하면 될 것같은데 아직 토클스위치를 못구해서 달지를 못하고 선만 빼놓았습니다..
도어패널 조립하기

락 폴딩릴레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곳이 없더군요. 그래서 락 폴딩릴레이에 이음방지 완충용 스펀지를 부착하고 스피커 옆에 나사못 구멍을 낸 후 주먹 드라이버로 꽉 조여줬습니다.
도어페널 조립은 역순으로 조립하면 마무리됩니다.
도원텍 락 폴딩 장착 후 정상 작동상태 확인하기
1. 설치 후 자동차 사이드밀러 스위치를 3회이상 펴고접고를 반복하여 학습을 시켜줍니다.
2. 시동을 끈 후 문을 잠근상태에서 문을 열면 바로 사이드 밀러가 펴집니다.
3. 시동을 켠 상태에서 사이드밀러 스위치로 사이드밀러를 접고펴고가 됩니다.
4. 시동을 끄고 문을 잠그면 5초 후 사이드 밀러가 자동으로 접힙니다. 약간 기다리는 시간이 지루해요. 알페온 차종의 프로그램이 그렇게 되어 있다네요.
6. 문을 잠근 상태에서 트렁크를 열면 사이드 밀러가 펴지고 5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접히고 바로 닫으면 사이드밀러도 함께 접힙니다.
7. OBD2 모듈을 설치 하셨다면 리모컨 키로 길게눌러 4개의 창문과 문을 열어둔 상태에서는 문을 닫기 전까지는 사이드 밀러가 접히지 않습니다. 그래야 정상이겠지요.
2. 시동을 끈 후 문을 잠근상태에서 문을 열면 바로 사이드 밀러가 펴집니다.
3. 시동을 켠 상태에서 사이드밀러 스위치로 사이드밀러를 접고펴고가 됩니다.
4. 시동을 끄고 문을 잠그면 5초 후 사이드 밀러가 자동으로 접힙니다. 약간 기다리는 시간이 지루해요. 알페온 차종의 프로그램이 그렇게 되어 있다네요.
6. 문을 잠근 상태에서 트렁크를 열면 사이드 밀러가 펴지고 5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접히고 바로 닫으면 사이드밀러도 함께 접힙니다.
7. OBD2 모듈을 설치 하셨다면 리모컨 키로 길게눌러 4개의 창문과 문을 열어둔 상태에서는 문을 닫기 전까지는 사이드 밀러가 접히지 않습니다. 그래야 정상이겠지요.
참조 : 도원텍 락 폴딩 릴레이 배선의 길이와 상관없이 [녹색선]과 [청색선]을 혼돈하지 마세요. 잠시 선의 길이 때문에 혼선이 왔었습니다. 아마도 여기에서 잘못 연결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메뉴얼을 한번쯤 정독하고 숙지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있다면 폴딩 컨넥터에 선 연결시 혼선이 올 수도 있겠다 생각이 들어서 표로 작성하여 보았습니다.
도원텍 락 폴딩 작동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