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진화한 AMD DNA,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 PULSE OC D6 8GB Dual-X 리뷰 다나와 리포터

IP
2019.09.26. 10:27:20
조회 수
5208
3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그래픽 카드 두 축중의 하나인 AMD는 라데온이라는 브랜드로 꾸준하게 새 모델을 출시해 왔다. 

오랜만에 차세대 그래픽 카드인 RX 5700 시리즈를 출시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RDNA 아키텍처를 채용한 나비(Navi) 기반의 차세대 그래픽 카드로 게임 유저들의 기대를 한 껏 모으고 있다. 


오늘 소개할 제품은 RX 5700 시리즈 중 최상위 모델인 RX 5700 XT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하여 팩토리 오버클럭된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 PULSE OC D6 8GB Dual-X이다. 사파이어의 발빠른 대응으로 비레퍼런스 제품이 빠르게 출시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빠른 시간에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출시일까지 베일에 가려져 있던 AMD 라데온 RX 5700, RX 5700 XT 두 모델이 출시된지도 2달이 넘어가고 있다. 이번에 출시된 RX 5700, RX 5700 XT는 과거의 GCN 아키텍처를 버리고 새로운 Navi RDN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여 50% 더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한다. 


여기에 7nm 최신 공정 적용, GDDR6 메모리 탑재, PCI-E 4.0 지원 등 최신 그래픽 카드답게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최상위 모델인 RX 5700 XT는 2560개의 스트림 프로세서, 40개의 컴퓨터 유닛을 장착하고 있으며 GDDR6 메모리가 8GB나 할당되어 있다. 




CU 구조 개선을 통해 GCN 아키텍처와 비교하여 클럭 당 연산 성능이 1.2배 높아졌으며 캐시 메모리 구조에 변화를 줌으로써 대기 시간, 전력 및 데이터 이동 감소, 다중 캐시 개선 및 확정성을 구현하였다.


클럭 주파수는 베이스 1,605MHz - 게임 1,755MHz - 부스트 1,905 MHz 3단계로 운용하며, TDP는 225W로 무난한 편이다. 메모리와 관련해서는 256bit, 14 Gbps의 동작 속도로 메모리 대역폭은 448 GB/s이나 된다. 스펙 성능상으로 지포스 RTX 2070, RTX 2060 Super와 동급이라고 봐야 하겠다.




기존 RX Vega56와 게일별로 성능을 비교한 결과는 상당히 고무적이다. 적게는 124%, 많게는 141%까지 성능이 높아져 게이머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으며 평균값만 따로 계산해도 평균 30% 이상의 성능차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게이머들의 가장 큰 궁금증이라면 경쟁사인 엔비디아 RTX 20시리즈와 비교했을때의 상대적인 성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RX 5700 XT 시리즈를 기준으로 지포스 RTX 2070 보다 평균적으로 5% 가량 성능이 앞선다는 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 PULSE OC D6 8GB Dual-X는 팩토리 오버클럭된 제품이라 OverClcok 문구가 크게 들어가 있으며, AMD 감성의 강렬한 레드가 전체 색상 감각을 지배하는 패키지이다. 


박스 하단에에서는 RDNA 아키텍처, 7nm, GDDR6 8GB, PCIe 4.0, FIDELITY FX, FREESYNC 2 HDR 

등의 특징이 프린팅되어 있다.




박스 뒷면에는 라데온 RX 5700 XT 모델에 대한 기술적인 특징들을 요약 정리하였으며, 구동하기 위한 최소 시스템 사양이 깔끔하게 적혀 있다. 모든 설명이 영어지만 그래픽 카드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다면 크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유저는 무지(?) 어려운 내용일수도.




박스 내부는 라데온 RX 5700 XT 그래픽 카드를 보호하기 위해 정전기 방지 비닐로 포장되어 있으며 쿠션을 위, 아래로 배치하여 손상되지 않게 신경을 쓴 모습이다. 구성품으로는 간단한 유저 매뉴얼만 제공된다.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 그래픽 카드는 7nm FinFET 기반으로 성능은 높이고, 전력 소비는

감소시켰다. RDNA 아키텍처 설계로 다양한 게이밍 환경에서 낮은 지연 속도, 넓은 대역폭과 뛰어난 효율성을 제공한다. 14nm 이전 공정과 비교하여 1.5 높은 와트당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95mm 듀얼팬 구성으로 폼팩터 크기는 254 x 135 x 46.5mm(LHW)로 3팬 모델보다는 확실히 작고 무게도 부담이 없는 편이다. 미들타워 케이스에서도 무난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그래픽 지지대가 없어도 크게 문제가 없지만 만일을 위해서 이벤트로 제공하는 그래픽 지지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그래픽 카드 설치 공간은 가로 방향으로 254mm 정도가 필요하며, 설치시 2개의 PCI 슬롯이 요구된다.




쿨링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95mm, 95mm 크기의 볼베어링 듀얼 팬을 장착하고 있다. 


퀵 커넥트 시스템은 쿨링팬에 발생한 다양한 문제를 빠르고 손쉽게 해결하도록 도와주며, 쿨링팬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는 차폐 구조로 더 낮은 소음과 85% 더 긴 수명을 보장한다. 


95mm 쿨링팬 하나당 날개가 9개로 소음 대비 강력한 풍량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고안된 볼베어링 팬은 높은 쿨링 성능과 함께 정숙성을 보장한다. 제로 팬 모드를 기본 지원하여 가벼운 작업에서는 작동을 멈춘다.





SAPPHIRE TriXX 유틸리티를 설치하면 실시간으로 정교한 쿨링팬 제어를 할 수 있다.

다운로드는 https://www.sapphiretech.com/ko-kr/software 이 주소로 들어가면 받을 수 있다.




7nm FinFET 공정의 나비 RDNA 아키텍처를 적용하여 14nm 이전 공정과 비교하여 1.5 높은 와트당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깔끔한 레이아웃으로 중앙에 RX 5700 XT GPU가 위치하며, 최대 16Gbps 대역폭의 GDDR6 8GB 메모리, 고성능 캐피시터, 7+1+2페이즈의 전원부는 팩토리 오버클럭된 그래픽 카드에 맞게 고페이즈로 설계하였다. 


이전 세대 대비 2배 넓어진 대역폭의 차세대 전송 규격인 PCIe 4.0을 지원하며 안정적인 구동을 위한 퓨즈 보호회로도 적용되어 있다.


전원공급은 6+8핀 타입으로 ATX 규격의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한다면 케이블 추가 없이 기본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권장 파워 용량은 600W이지만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넉넉하게 650W 이상이면 좋을 것 같다.




후면에는 PCB 기판이 휘는 것을 막기위해서 메탈(알루미늄) 백 플레이트가 추가되어 안정감이 느껴진다. 


그리고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에허홀 타공으로 방열 성능을 높였으며, 분해 방지 씰이 나사 위에 부착하였다. 스티커에는 제품 시리얼이 적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IOS SWITCH라고 적힌 부분에는 듀얼 바이오스 스위치가 있는 부분으로 사일런트(좌측), 부스트(우측) 모드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기본 바이오스는 부스트 모드로 적용되어 있으며, 바이오스를 바꾸면 기본적으로 재부팅을 해줘야 한다.




견고해 보이는 내부는 GPU, 메모리, 전원 일체형 히트싱크의 쿨링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더 넓어진 방열 면적과 대형 알루미늄 히트싱크, 5개의 6mm 구리 히트파이프 구성으로 더 빠르고, 효율적인 방열이 가능하다.


PCB 기판에 밀착되도록 설계된 전원부 및 메모리 쿨링 시스템은 빠르게 열을 흡수하여 냉각팬을 통해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것이다.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6+8Pin 구성의 보조전원이 필요하며, 기존의 동급 그래픽 카드에 비해 높아진 성능에도 더욱더 향상된 전력 효율을 갖는다. 


전원부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7+1+2 고페이즈로 설계되었으며, 발열과 높은 효율의

최상급 모스펫을 탑재하여 라데온 RX 5700 XT 내구성과 안정성이 크게 높였다.




PCIe 3.0 x16의 2배인 16GT/s 초고속 PCIe 4.0 x16 슬롯을 사용한다.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의 최상의 성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PCIe 4.0 x16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메인보드가 필요하다. 




듀얼 디스플레이 이상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은 유저들을 위해 HDMI 2.0b 1개, DP 1.4 포트 3개를 지원한다. 최대 7680x4320 8K 해상도를 출력할 수 있어 4K 모니터와 완벽하게 호환되며, 초고해상도 게이밍 환경을 다중 디스플레이로 즐길 수 있다.


최대 4대 디스플레이 동시 지원과 4K UHD @ 60fps 완벽 재생은 멀티미디어, 방송용 시스템을 구축할 유저들에게 최고의 솔루션이 될 수 있겠다.





그래픽 카드 설치시 2개의 PCI 슬롯이 필요하면 3번째 슬롯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여 다른 슬롯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전원 공급은 파워의 6핀, 8핀 커텍터를 연결로 시작되며, 좀 나온지 된 파워에서도 연결하는데 문제없다. 기본 권장 파워 용량은 600W.




Pulse 사이드 RGB LED를 바깥쪽으로 보이는 위치로 설계하여 게이머 감성 튜닝을 부족하나마 

화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튜닝 게이밍 PC를 구축하는 분들에게의 튜닝적인 요소까지 만족시키는 제품이다.




라데온 RX 5700 XT의 드라이버는 테스트할 당시 최신 버전으로 설치하였으며, 보다 자세한 정보는 AMD 라데온 설정의 소프트웨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게임 항목으로 들어가면 그래픽에 대한 전역(전체) 설정과 게임별 설정이 가능하다. 


- 화면을 부드럽게 해주는 앨리어싱(안티앨리어싱) 제거모드

- 후처리 알티앨리어싱 형태학적 필터링, FPS 하락이 적다.

- 비등방성 필터링 모드, 3D 물체의 텍스터가 또렷해지만 FPS 하락이 거의 없다.

- 텍스처 필터링 품질, 설정을 바꾸지 않아도 화질이나 FPS에 큰 차이가 없다.

- 표면 형식 최적화, 텍스처 연산 정밀도를 낮춰 성능을 높인다.


등등 게임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을 설정하는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게임을 즐기는 분들은 각 항목에 대한 이해와 설정에 대한 전반적인 작업이 필요한 부분이다.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 PULSE OC D6 8GB Dual-X는 레퍼런스에 비해 약 4% 정도 성능이 향상된 팩토리 오버클럭 버전으로 GPU 부스트 클럭이 1925MHz까지 올라가 풀로드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이끌어 내어 유지한다. 


레퍼런스 대비 OC된 비율.


- 베이스 클럭 : 1605MHz → 1670MHz 4%↑

- 게임 클럭 : 1755MHz → 1815MHz 3.4%↑

- 부스트 클럭 : 1905MHz → 1925MHz 1%↑


앞으로 살펴볼 3D 게임 성능 테스트를 위해 알파스캔 AOC U2777 UHD 4K 모니터를 연결하였으며 기존 해상도는 3840x2160으로 설정되어 있다.





고성능 게이밍 PC 측정 항목인 Fire Strike에서는 20857이 나왔고, DX11 4K 게이밍 성능을 알 수 있는 Fire Strike Ultra는 6260이 나와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DX12 게이밍 PC로서의 성능을 알아볼 수 있는 Time Spy는 8317, DX12에서 4K 게이밍 성능의 바로미터가 되는 Time Spy Extreme는 3812로 괜찮은 점수가 나왔다. 3D MARK 테스트는 UHD 해상도 / 기본 설정 환경에서 테스트한 결과로 PC 환경에 따라 결과는 바뀔 수 있다.







게임 벤치는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의 최대 성능을 확인해 볼 수 있는 UHD 해상도까지 감안하여 옵션별로 최저 / 중간 / 최고로 나눠 진행하였다. 최저 - 최고 프레임을 제외하고 평균 프레임을 합산했기 때문에 특정 구간이나 전투 장면에서는 프레임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오버워치의 경우 4K 해상도, 최고 옵션에서도 97FPS 평균 프레임을 유지하여 일반 게이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 4K 모니터에서도 고화질 화면을 통해 생동감 넘치는 플레이를 할 수 있다.




FPS 게임의 대표격인 배틀그라운드는 FHD 해상도에서 120FPS가 넘는 평균 프레임으로 만족스럽다.


QHD 해상도도 전반적으로 100FPS 전후에서 움직이며 최고 해상도인 UHD, 최고 옵션(울트라)에서는 44 ~ 54FPS이 측정되어 4K 모니터에서도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할 정도의 높은 프레임을

기록하였다.






배그에 비견되는 인기 FPS 게임인 에이펙스 레전드도 플레이해 봤다. 


4K 해상도에서 배틀그라운드 보다 높은 66FPS로 8 ~ 18FPS가 더 높게 나와 최근 인기 FPS 게임인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에펙스레전드 3대장을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 그래픽 카드 하나로 쾌적한 환경에서 몰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SI 애프터버너로 녹화한 게임 영상의 GPU 라인의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왼쪽부터 GPU 온도, 로드율, 클럭, 소비전력이며 마지막 RPM은 냉각팬 분당회전속도이다.






95mm 볼베어링 듀얼팬을 장착하여 팩토리 오버클럭된 모델임에도 아이들시에는 31도, 풀로드시에는 70도가 최고 온도였다. 





지능적인 팬 컨트롤 기능인 제로 팬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문서 작업, 웹 서핑 등 낮은 부하 조건에서 냉각팬이 작동하지 않아 무소음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반면 고사양 게임 등 높은 그래픽 부하 작업에서는 정교한 팬 컨트롤러와 TriXX 유틸리티를 통해 듀얼 쿨링팬 사이의 RPM 제어 오차를 3.2%까지 줄여주어 정확하고 강력한 쿨링 퍼포먼스를 보장한다. 


자동으로 팬을 구동하는 GPU 온도는 60도가 기준이 된다.




GPU-Z로 GPU 코어 온도를 알아봤다면 온도 측정기를 통해서 케이스에 장착한 그래픽 카드의 외부(히트싱크, 냉각팬) 온도를 측정해 봤다. 37 ~ 36도 내에서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여 PC 온도를 낮추는데도 어느 정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95mm 듀얼 냉각팬, 알루미늄 히트싱크와 구리 재질의 히트파이프의 쿨링 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하고 있음이 확인 수 있었다. 





풀로드시 241W의 전력을 소비하는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는 시스템 전체를 풀로드로 작동시켜보면 306W가 나와 600W 이상의 파워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이들시의 소비전력은 62W로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을때는 마치 잠자고 있는 듯 소비전력이 거의 없는 지능적인 매커니즘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픽 카드 온도에 따라 팬 RPM이 유동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따라 소음도는 달라진다. 3D 그래픽, 게임 중에만 어느 정도 청감할 수 있을 정도로 돌아가지만 그것도 무척 낮아서 케이스의 사이드 패널을 닫고,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면 팬 소음이 거의 들리지 않는다. 


- 아이들 39dB - 심야의 교외, 속삭이는 소리

- 풀로드 44dB - 도서관, 주간의 조용한 주택


오히려 케이스 내부의 CPU 쿨러나 케이스 팬의 쿨링 소음이 더 크게 들리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연출된다.





새로운 Navi RDNA 아키텍처 기반으로 설계된 라데온 RX 5700 시리즈중 RX 5700 XT은 최상위 

모델답게 RTX 2070을 앞서는 성능을 보여주었다. 그래픽 카드 선택에 있어서 경쟁사 엔비디아 그래픽과 비교를 할 수 밖에 없는게 최신 미세공정이 적용되어 성능을 높아지고, 발열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프리싱크 2 HDR과 같은 지포스 모델에서 볼 수 없는 신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며 AMD DNA 감성을 가진 매니아 층도 적지 않다는 것도 한가지 이유가 될 수 있다.


SAPPHIRE 라데온 RX 5700 XT PULSE OC D6 8GB Dual-X는 레퍼런스 모델을 팩토리 상태로 오버클럭하여 베이스 클럭 4%, 게임 클럭 3.4%, 부스트 클럭 1%가 높아져 가격 차이가 크지 않는다면 조금이라도 성능을 끌어낸 OC 버전이 아무래도 매리트가 있다. 무엇보다 1440p 이상 고해상도에서의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이며, 최상급 그래픽 품질에서도 60fps 이상의 부드러운 게임 화면은 생동감을 사실적으로 전달해 준다.


사파이어 감성 디자인, 이전 세대보다 향상된 성능, 견고한 내구성과 안정성, 감각적인 사파이어 라이트닝, 95mm 듀얼팬을 장착한 제로 팬 기능 등 고성능 그래픽 카드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유통사 이엠텍 만의 프리미엄 서비스와 그래픽 카드 지지대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니 AMD DNA를 느껴보고 싶으신 분들은 구입을 고려해봐도 괜찮을 것 같다...!!



다나와리포터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다나와 리포터
본 글은 다나와 리포터 인증 게시물입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asrock x870e nova wifi (1)
사용기 [고객센터 연락 안됨] SASA 실버미어 K68 구매후기 (1)
간단 사용기 최신 구글5.0 내장의 75형 QLED가 100만원이 안된다? 무상AS 5년까지 AI 맥스 AU757QLED (2)
사용기 알파스캔 AOC 24G4 사용후기 (2)
사용기 돼지뼈까지 갈아버리는 강력함! 휴렉 히트 음식물 처리기 (3)
간단 사용기 안텍 C8 MESH 빅타워 케이스 화이트 간단 사용기 (3)
사용기 한성컴퓨터 TFG24F24P FHD 240 후기 (3)
간단 사용기 ASUS TUF Gaming B850-PLUS WIFI 인텍앤컴퍼니 구매후기 (3)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60 Ti 고스트 D7 8GB 후기 (3)
사용기 MAXSUN e스포츠 B850ITX WIFI ICE 리뷰 (3)
간단 사용기 과제도 넷플릭스도 모두 만족! HP 노바 16 (3)
간단 사용기 S티어급 애즈락 끝판왕 X870E Taichi 대원씨티에스 메인보드 구매 후기 (3)
간단 사용기 ASUS ROG STRIX SCAR 18 (2025) (3)
사용기 X870e taichi 리뷰 (3)
사용기 디앤디컴 게인워드 피닉스 RTX 5070ti 16Gb 사용기 (3)
간단 사용기 크로스오버 27QAW99 모니터 제품 구매 사용후기 (3)
사용기 S32DG700 사용후기 (3)
간단 사용기 MSI부품 위주 AMD + NVIDIA PC 후기 (3)
간단 사용기 ASRock 라데온 RX 9060 XT CHALLENGER OC D6 8GB 사용기 (3)
사용기 [제작기] 스위치 2 독 +2강, 도킹 스테이션을 만들어 봤습니다 (6)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