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년 동안 모니터를 생산해온 알파스캔은 품질이 낮은 저가 제품들과 상반된 양질의 모니터로 긴 시간 어필해왔습니다.
이번 알파스캔 AGON 323Q 역시 품질에 신경을 많이 썼는데 VA 기준 상위 랭크에 속하는 삼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였고, 144Hz 화면 재생 빈도, 1ms(MPRT) 응답속도, VESA HDR 400, Adaptive Sync, 섀도우 컨트롤 등 출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성능으로 무장하였습니다.
가격대는 50만 원대로 가성비 제품들에 비해 다소 높은 부분이 없지 않아 있지만 저가 제품에서 느끼기 어려운 고퀄리티 성능 그리고 명확하고 실용적인 기능들로 까다로운 하이엔드 유저들의 기호를 충족할 만큼 좋은 품질을 갖추고 있습니다.
AGON 323Q 144의 게이밍 컨셉 모니터임을 함축적으로 암시하는 'BUFF YOUR PLAY' 슬로건.
높은 색재현율의 32인치 삼성 VA 1500R 디스플레이
알파스캔 AGON 323Q 144는 32인치 삼성 1500R 곡률 VA 패널, QHD 2560*1440 해상도 16:9 화면비율, 그리고 sRGB 120%, NTSC 99%, DCI-P3 91%의 높은 컬러 재현율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체로 VA 패널을 메인으로 삼는 삼성 디스플레이는 경쟁사 IPS 패널과는 색감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특유의 화사함과 출중한 블랙 계열 표현력으로 모니터 및 TV 패널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HDR과 시너지가 좋아 영화 및 영상 시청에 있어 수준급의 색감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올인원 제어 버튼
모니터 중앙 하부에 배치된 5방향 조그 다이얼 버튼은 올 인원 기능성 버튼으로, 전원 On/Off 및 OSD 제어에 있어 빠른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이를 처음 사용하는 유저들은 적응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겠으나 기능과 컨셉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을 만큼 사용성이 좋은 편입니다.
입/ 출력 포트
입출력 포트는 HDMI 2개, DP 2개로 총 4대의 기기와 동시 연결이 가능하며, DTS 사운드 지원하는 10W(5W*2) 스피커 내장, 마이크 포트 지원, 그리고 모니터에 내장된 어덥터와 220V 케이블 직결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울러 총 4개의 USB 3.2GEN 2 포트를 지원하며, 이중 노란색 포트는 스마트폰 고속 충전이 가능합니다.
CrystalDiskMark를 통해 살펴본 USB 3.2 GEN 2의 전송 속도는 SSD 속도에 버금갈 수준의 하이 퍼포먼스를 지원합니다.
3가지 기능이 담긴 멀티 스탠드
스탠드는 안정적인 모니터 이동을 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있으며, 조립은 십자드라이버 없이 하부 조립 후 본체 체결 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기본 스탠드는 피봇 기능을 제외하고 모니터 스탠드로서 모든 기능을 담고 있는데 높낮이 조절 엘리베이션 기능은 115+-5mm까지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 신체구조와 주변 환경에 맞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틸트는 -5도~15도까지 조율 가능.
스위블은 -30~30도까지 지원.
아울러 75*75mm 베사 마운트 홀을 통해 별도의 모니터 암을 설치하여 다양한 앵글로 모니터를 거치할 수 있습니다.
양 사이드 2개의 헤드폰 거치대
컴퓨터 헤드셋은 간혹 책상을 어지럽히는 주범이 되기도 합니다.
별도의 헤드폰 거치대로 깔끔히 정리 정돈 중이라면 이 같은 문제는 생기진 않겠으나 보통은 그렇지 못한 게 현실입니다.
알파스캔 AGON 323Q는 모니터 양 사이드에 2개의 헤드폰 거치대를 내재하고 있어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게이밍 모니터 다운 센스 있는 옵션입니다.
후면 LED, LIGHT FX 기능
LIGHT FX의 LED 조명은 모니터 후면에 배치되어 있고 위치상 시각적으로 돋보이진 않지만 RGB 시스템으로 튜닝 중이거나 LED 튜닝을 염두에 두시고 계신다면 집중해보셔도 좋을 거라 생각됩니다.
조명효과는 OSD 메뉴 혹은 '알파스캔 G-MENU'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데 총 14개의 Light FX 모드와 5개의 패턴으로 LED 튜닝이 가능합니다.
소비전력
소비전력은 10% 밝기 최소 25W, 100% 밝기에서 최대 55W의 전력을 나타냅니다. (LIGHT FX ON)
여기서 실내 방등이 50W 임을 감안하면 높은 전력을 사용하지 않다는 점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수평, 수직 178도 광시야각
초창기 VA 패널은 IPS 패널에 비해 광시야각이 좋지 못하였고, VA 패널을 주력을 생산하는 삼성뿐 아니라 여타 VA 제조사들은 이 같은 단점을 꾸준히 개선하여 이제는 그 격차가 상당 부분 좁혀진 상황입니다.
AGON 323Q 144는 IPS 패널과 광시야각 비교 시 매우 근소한 수준이지만 첨예하게 비교해 본다면 수평 시야각은 IPS와 VA는 동급 수준이며, 수직 시야각에선 VA 패널이 미세하게 낮은 시인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우측에서 바라본 시선
좌측에서 바라본 시선.
상단에서 내려다본 시선.
아래에서 올라다 본 시선.
VESA HDR 400 지원
HDR(High Dynamic Range)은 디지털 영상의 밝은 곳을 보다 밝게, 어두운 부분을 보다 어둡게 묘사하여 실제 눈으로 보는 것에 가까운 다이내믹 레인지로 보정하는 기술을 뜻합니다.
디지털 영상은 인간이 느끼는 시력으로 암부와 명부를 묘사하지 않기 때문에 이 같은 기능이 개발된 것인데요.
알파스캔 AGON 323Q 144 모니터는 VESA에서 정식 인증한 'HDR 400'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효과가 명확한 HDR 색감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이 HDR 400은 3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데 첫 번째, 모니터 HDR 옵션을 활성화하여야 합니다.
두 번째, 운영체제 디스플레이 옵션에서 HDR을 키셔야 합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용 프로그램이나 콘텐츠가 HDR을 지원해야 합니다.
동영상 파일이나 영상 플레이어 프로그램, 이미지 뷰어, 게임 등에서 HDR 모드를 지원해 줘야 정상 작동하게 됩니다.
영상, 사진, 게임에 적합한 HDR 모드를 제공하며 HDR 기술 적용 전과 후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게 됩니다.
HDR은 보정된 처리 방식이기 때문에 기본 모니터에서 색감 변화가 생기며, 게이밍에서도 활용 가치가 높긴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4K급 영상에서 화사하고 진득한 색감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Adaptive Sync 수직동기화 지원
FreeSync Premium Pro는 기존의 프리싱크에서 향상된 최소 FHD 해상도와 120Hz 주사율 저속 프레임 상환을 지원함과 동시에 화면 어긋남을 방어하게 됩니다.
아울러 구현상 DP포트를 통해 NVIDA 그래픽 카드에서 프리싱크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프리싱크와 HDR 기능은 동시 적용이 안되고 둘 중 하나만 쓰실 수 있다는 점 체크 바라겠습니다. 이를테면 HDR을 활성화하였다면 프리싱크를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어두운 부분을 보정하는 'Shadow Control' 기술
일부 게임 장르에선 어두워서 적을 식별하기 곤란한 상황이 종종 생기게 됩니다.
특히 FPS 게임에선 어두운 사물에 적이 숨거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공격을 받는 상황이 빈번한데 이를 완화하기 위해 Shadow Control 기능이 탑재되었습니다.
근래 배틀 그라운드의 인기에 버금갈 정도로 급부상 중인 신작 '콜 오브 듀티- 워존' 같은 FPS 게임에서 섀도우 컨트롤은 빛을 발하게 됩니다.
전장 맵은 항시 밝지 않고 명과 암이 존재하기에 어두운 부분이 존재합니다. 이를 섀도우 컨트롤로 적정 밝기로 조율한다면 피아식별 및 적 발견에 있어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FPS, RTS, Racing 게임 모드 그리고 사용자 커스텀 세팅
한편 3가지 장르에 특화된 최적화 세팅을 지원하고 있는데 FPS, RTS, Racing 게임 모드뿐 아니라 사용자 커스텀 세팅 3가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먼저 FPS 모드를 살펴보면 앞서 살펴본 섀도우 컨트롤 기준 60~70% 수준의 블랙 밝기 보정이 되며 채도는 보통 수준을 나타내게 됩니다.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오버워치에서도 섀도우 컨트롤과 FPS에 최적화된 세팅으로 게임 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항시 조준선 표시'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슈팅 찬스를 높이는데 효과적입니다.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장르에선 채도가 낮아지고 전체 밝기가 밝아지면서, 빠른 반응속도로 세팅되는데 '리그 오브 레전드'의 다수 플레이어와 교전에서 동시다발적인 이펙트 표현 및 캐릭터 움직임상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LOL의 경우 저사양 게임이긴 하나 매 순간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움직이는 잔 컨트롤이 많은 게임이며, 찰나의 순간에 포인트를 잃기 쉽다 보니 빠른 응답속도의 역할이 중요한 편입니다. RTS 모드에서는 이에 걸맞은 반응 속도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레이싱 모드는 세 가지 모드 중 채도가 가장 높아지며, 가장 빠른 응답속도 1ms(MPRT)로 설정되어 빠르게 움직이는 차량의 잔상을 줄여 부드러운 움직임을 연출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3가지 게임 모드뿐 아니라 OSD와 G-MENU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3가지 커스텀 세팅을 저장할 수 있어 총 6가지의 모드로 게임에 따른 효과적인 세팅을 시도해보실 수 있습니다.
144Hz 고 주사율과 1ms(MPRT) 응답속도
근래 고사양 모니터는 화면 재생 빈도와 응답속도를 주안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 까닭은 그래픽 카드와 PC 성능이 기존의 60Hz 모니터 주사율을 넘어서면서 고 프레임에 걸맞은 높은 주사율이 거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상기 '오버워치' 플레이 사진을 살펴보게 되면 60Hz 주사율에선 캐릭터들의 잔상이 생기는 것을 체크해볼 수 있는데 매번 이 같은 화면 이슈가 생하진 않으나 60프레임 이상 게임을 저 주사율로 구동한다면 다수의 캐릭터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움직일 때 모션 블러(Motion Blur)가 발생하게 됩니다.
한편 2배 높아진 120Hz 화면 재생 빈도 그리고 OD 보통 설정에선 잔상이 대거 줄어드는 모습 체크하실 수 있습니다.
144Hz, OD 부스트 최대치 설정에선 120Hz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화면을 연출합니다.
한편 사람마다 동체 시력이 제각각 달라 어떤 사람은 120Hz 정도면 부드러운 게임을 즐길 수 있다고 얘기하기도 하고 또 다른 사람은 120Hz 이상 주사율에서 쾌적함을 느낀다고 합니다.
여기서 말씀드릴 부분은 색감과 광시야각을 포기하고 TN 패널의 240Hz 이상 최상의 주사율을 노려보실 수 있으며, 144~165프레임 화면 재생 빈도와 광시야각. 그리고 높은 컬러 재생률을 염두에 둔다라면 AGON 323Q의 같은 144Hz 게이밍 모니터를 고려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서로 장단점이 있으며 선택과 집중의 차이라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AGON 323Q의 주사율과 응답속도 관련 내용을 이어가보면 응답속도 테스트에 주로 쓰이는 UFO 테스트를 통해 잔상의 정도를 체크해볼 수 있었습니다. (상단 영상 참조)
디지털카메라의 조리개 F8.0 셔터속도 1/500s로 촬영, UFO 1440픽셀 설정의 응답속도 테스트 결과입니다.
AGON 323Q의 OD를 끌 경우 잔상이 심하였으며, '약하게'부터 잔상이 개선되고 '강하게'에선 미미한 수준임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OD '부스트' 모드를 발동하게 되면 '플리커 프리' 기능이 비활성화되기 때문에 눈 깜빡임 관련 불편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잔상에 극히 민감하다면 플리커 프리를 포기하고, OD 최고 레벨 설정하거나, 눈 깜빡임 기능이 중요하다면 OD 최대치가 아닌 '보통~강하게' 수준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상기 영상을 보시면 좌에서 우로 1열씩, 화이트 색상이 한 칸씩 순차적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여기서 1열씩 순차로 채워지지 않고 중간중간 건너뛰는 장면이 연출된다면 정상적인 화면 재생 빈도가 아니게 됩니다.
테스트 결과 순차 재생 상 이슈는 없었으며 143.916Hz(반올림 144Hz) 주사율을 통과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정스펙에 준하는 주사율임을 체크해볼 수 있었습니다.
게임 플레이 소감 및 결언
주사율과 응답속도가 크게 중요치 않는 리니지 같은 2D 게임을 플레이할 경우 굳이 게이밍 모니터를 고집하지 않아도 될 만큼 쾌적하였습니다.
앞서 살펴본 리그 오브 레전드 같은 3D 게임을 플레이하게 될 때 비로소 주사율과 반응속도를 체감하게 되는데 LOL의 경우 라데온 RX580, NVIDIA 1060급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게 될 시 150~200프레임을 넘나들기 때문에 144Hz 풀 주사율 활용이 가능하였습니다.
요지는 3D 게임이 100프레임 이상으로 구동이 된다는 전제하에 고 주사율 게이밍 모니터가 빛을 발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OSD 프레임 카운트 기능으로 프레임 모니터링.
144Hz/ OD 부스트 모드/ RTS 색감 모드/ 섀도우 컨트롤 70%/ 게임 색감 40% 세팅 -데빌메이크라이 5 플레이 영상
샘플 영상을 보시면 수차례 바뀌는 카메라 시점과 컨트롤상 캐릭터 움직임은 고 주사율과 빠른 응답속도 성능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맥락의 게임 장르인 FPS, TPS, 레이싱류 게임에서 효과적이라 볼 수 있는데 배틀 그라운드, LOL, 오버워치, 콜 오브 듀티 같은 인기 게임들이 이에 속하게 됩니다.
시야 왜곡을 줄인 1500R 곡률 32인치 디스플레이. 그리고 sRGB 120%, NTSC 99%, DCI-P3 91%는 단순 게이밍 모니터라 치부하기엔 색상 재생률이 높으며, 대화면과 커브드 화면은 평면과 커브드에 따른 호불호가 갈리기도 하지만 색표현율 만큼은 저조한 수준을 나타내진 않습니다.
요컨대 인체 시야왜곡을 보정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몰입감과 높은 색재현율의 화질을 두루 섭렵하면서 고 주사율과 빠른 응답속도로 쾌적함을 담고 있는 점이 알파스캔 AGON 323Q 게이밍 모니터의 주안점이라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삼성 1500R VA 패널을 사용한 QHD 디스플레이, 3가지 멀티 스탠드, 그리고 게이밍 컨셉에 걸맞은 헤드셋 걸이, 안전한 모니터 이동을 위한 스탠드 손잡이 타공, 3가지 게임 모드, 조준선, 섀도우 컨트롤, 게임 컬러, 프레임 카운터, 로우 인풋 렉, MBR 기능들은 게이머 입장에서 매력을 느끼실 거라 예상됩니다.
끝으로 144Hz 주사율과 1ms(MPRT)의 빠른 응답속도, 만듦새 및 높은 완성도, 게이밍 사용 편의성을 두루 갖춘 '웰 메이드 게이밍 모니터'라는 말씀드리며 알파스캔 AGON 322Q 44 QHD 프리싱크 HDR 게이밍 모니터 리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모쪼록 32인치 게이밍 모니터를 물색 중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