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 BOE의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BOE의 플렉시블 OLED 핵심 고객사인 화웨이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 제재로 스마트폰 시장 퇴출 위기에 몰려서다.
◇BOE, 화웨이에 '올인'했다가 부메랑
BOE의 플렉시블 OLED 사업은 화웨이와 함께 성장했다. 시장조사업체 스톤파트너스에 따르면 BOE는 올 2분기 플렉시블 OLED 시장에서 24.4%를 점유해 업계 2위를 차지했다. 화웨이 고급형 스마트폰인 P40부터 아너, 노바 등 중저가 모델까지 BOE 플렉시블 OLED 패널이 채택된 효과다.
BOE 플렉시블 OLED 사업에서 화웨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80%가 넘는다는 게 업계 평가다. 6세대 플렉시블 OLED 공장인 B7에서 만들어지는 패널이 주로 화웨이에 납품되고 있다. 몐양 B11 팹에서도 플렉시블 OLED가 양산되지만 B11은 애플 공급을 목표로 건설돼 일부 소량이 생산, 공급되는 정도다.
BOE가 화웨이 공급을 우선했던 건 같은 자국 기업인 데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였기 때문이다. 화웨이 스마트폰 판매량은 2억대까지, 글로벌 톱3 수준으로 늘어났다. 플렉시블 OLED 후발주자인 BOE 입장에서 동반 성장을 모색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가 화웨이인 셈이다.
그러나 '화웨이 우선 전략'은 부메랑이 됐다. 미국 제재로 화웨이가 스마트폰을 만들지 못할 위기에 처해서다. 미국은 지난 15일부터 승인 없이 화웨이에 반도체를 공급하지 못하도록 규제했다. 반도체가 없으면 스마트폰은 제조가 불가능해 화웨이는 사실상 시한부 선고를 받은 상황이다.
궈 핑 화웨이 회장은 지난 23일 상하이에서 열린 행사에서 “지금은 생존이 목표”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리처드 유 화웨이 소비자비즈니스그룹 대표가 3월 플래그십 스마트폰 P40 시리즈와 스마트워치 등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사진=화웨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0&aid=0002905510
피해가 있겠지만 회사가 망하지는 않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