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전기차 유지비 이득도 없어졌네요. 충전 불편은 그대로인데 요금은 오르니 굳이 살 필요 없어 보입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그린 뉴딜'을 통해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정작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정책 탓에 전기차를 구매할 이유는 사라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전기차 동호회에는 전기차를 팔고 내연기관 자동차를 구입하겠다는 글이 부쩍 늘어났다. 전기차 충전요금이 소비자들의 예상보다 크게 오르며 전기차의 경제성이 훼손된 탓이다. 한 이용자는 타고 있던 전기차 처분을 고민하고 있다며 "내연기관이었다면 준대형 승용차를 샀을 가격에 준중형 전기차를 샀다. 충전은 여전히 불편한데 요금은 오르니 굳이 탈 이유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다른 이용자들도 "이제 유지비 이득이 없으니 굳이 살 필요가 없다", "요금 할인이 축소될 줄은 알았지만 기본요금까진 물릴 줄 몰랐다. 그렇다고 불평하면 적폐로 몰아가니 안 타는게 마음 편하다"며 전기차의 경제성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EV 트렌드 코리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8%는 전기차를 고려하는 이유로 경제성을 꼽았다. 사진=EV 트렌드 코리아
소비자가 전기차를 구매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유인은 경제성이다. 친환경자동차 전시회 EV 트렌드 코리아는 지난해 설문조사를 통해 소비자가 전기차 구입을 고려하는 이유가 ‘저렴한 연료비’(49%)와 ‘세금감면 및 국고 보조금 등의 정부 혜택’(19%) 등 경제성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밝힌 바 있다. 차량 가격이 일반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비싸지만, 장기간 이용하면 가격 차이를 상쇄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갖췄기에 구매한다는 의미다.
그간 전기차는 동급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가격이 크게 높았다. 가령 현대차(147,500 +2.08%)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코나의 경우 내연기관 모델의 가격은 1914만~2624만원이지만 전기차 가격은 4690만~4890만원으로 큰 차이가 난다.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을 받더라도 전기차를 구매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내연기관 자동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보다 컸다.
출 처 : https://www.hankyung.com/car/article/202008055333g
전기자동차는 친환경과 저렴한 유지비가 매력적인데
솔직히 차에서 나오는 매연은 없어지지만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의 화력이 높은 지금에서 전기차의 전기를 생산하는 화력발전소의
문제점은 무시할 수 없는 노릇이죠...
참 아직은 어려운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