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TLC제품들의 SLC캐싱기술이 좋아져서 벤치값은 무지 좋아졌지만, 낸드성능과의 차이는 어떨지??
이미 진행했었던 사용기 결과 중.. 4k Q1T1 Read값만.. 재 취합해서 살짝 편집해 봤습니다 ^^..
ㅁ 제 사용기 및 게시글마다 "화장빨", "민낯"이라는 표현을 하는데요.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 개인적으로 표현해 오던 방식이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① Max(화장빨)벤치값이란?? SLC모드하에서의 읽기 성능!!
- 아래 Max벤치값은?? Crystal Disk Mark.. 4kQ1T1값입니다.
- 생성된 CDM Test파일의 위치가.. TLC영역으로 완전히 옮겨졌는지?? SLC영역에 그대로 있는지??
즉, 제품의 정책??에 따라서.. DRAM캐싱+SLC캐싱.. 배제 여부를 알 수가 없습니다.
(* 벤치 특화!!.. "SLC영역에 그냥 그대로 있을 것이다"에.. 한표!! 던져 놓습니다.)
② 실성능(민낯) 벤치값이란?? SLC모드가 배제된.. 사용자 영역에서의 읽기성능!!
- 아래 민낯 벤치값은?? IOMeter툴상.. 4k Q1T1 값입니다.
- IOMeter의 경우는?? Test가 종료 되어도 Test File이 지워지지 않고, 계속 사용됩니다.
즉, Test File의 위치를.. DRAM캐싱 및 SLC캐싱을 완전히 배제하고,
MLC/TLC 사용자 영역에 위치 시킨 후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 위 메이저사 현재 주력 3종 CDM 결과 중.. 4k Q1T1 읽기값 보시면.. 4k 성능이 정말 좋습니다. 그러나~~!!
● 4k Q1T1 Read... Max(화장빨) vs 실성능(민낯) 비교!!
* 화장빨(Max)는?? Crystal Disk Mark툴의 기본 셋팅 상태에서의 벤치 결과이고,
민낯(실제)는?? DRAM캐싱, SLC캐싱이 완전히 배제된.. IOMeter툴의 벤치 결과입니다.
▲ 사용기 시점 & CDM vs IOMeter툴 설정 기준에 따른 벤치오차가 있습니다. 감안해서 참고해 보세요.
- [빨간사각] 최근, 메이저사 주력 TLC 제품들의 경우.. SLC모드 vs TLC모드간에 차이가 상당합니다.
● (의견) 결과적으로.. **체감 및 제품간 성능 우열 논외!!**
* 일반사용자 입장에서는?? 디스크진단 및 관리목적이니.. CDM, AS SSD 등 Max벤치툴 만으로도 충분해 보입니다만..
최근, QLC제품들도 SLC캐싱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Max벤치값이 아주 잘나오기 때문에...
제품간 비교 벤치를 간혹 하는 입장에서는?? 실제 민낯 부분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 IOMeter툴은?? 다루는 거 자체가 어려워서.. ㅠㅠ)
① 즉, 화장빨 vs 민낯.. 둘 중 어떤게 옳은지의 여부는??
- ★ 부팅, SW실행, 파일 로딩시.. 실제 파일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해 있을지?? 를 생각해 보시면 될 듯 합니다.
- SLC모드의 성능은?? 쓰기 및 성능유지력이 도움이 되고, 디스크의 최대 처리 성능 측면에서 높을수록 좋습니다.
② 그럼, 해당 결과를 통해서.. 잘~ 아시겠지만... 몇 가지 의문점이 해결됩니다.
- MLC(Pro)제품보다.. TLC(EVO)제품들의 벤치값이 더 잘 나오는 이유?? MLC모드 vs SLC모드!!
- CDM 4k 30MB/s대 MLC제품 vs 40~50MB/s대 TLC제품을 사용해도 별반 차이가 없는 이유?? 실제 자료의 접근속도!!
* 관찰된 사항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일 뿐.. 판단은 각자의 몫이고, 존중합니다.
벤치숫자에 대한 카더라 의견글이니.. 가볍게 참고해 보시구요. 좋은 하루되세요 ^^..
PS. 읽기 성능에 관한 부분입니다. (* 쓰기쪽은 어느 정도인지?? 확인만 하면 그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