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RTX 2000시리즈 그래픽 카드 라인업이 고정화되면서 모델별로 세분화하여 성능 향상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단계입니다. 최근 가장 대표적인 예로 RTX2080, 2070, 2060 세대에 SUPER 라입업을 추가하면서 게이머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상황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습니다.
이전 RTX 2000시리즈를 구입한 분들은 좀 억울할 수 있지만 새로 그래픽 카드를 구입할 분들에게는 SUPER 모델은 구입 리스트 1순위에 놓아도 될 정도로 여러가지 면에서 만족도가 높은 제품이라 하겠습니다. 그중에서도 RTX 2060 SUPER 모델은 2000 시리즈의 막내격으로 가성비는 물론 가심비까지 갖춘 제품으로 오늘은 불칸 시리즈로 유명한 컬러풀의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 그래픽 카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SUPER 파운더스 에디션이 출시되면서 각 그래픽 유통사에서는 자사만의 특별한 쿨링 시스템을 적용하여 오버클럭 버전을 내놓고 있는데요. 기존 RTX 2060 파운더스 에디션(=기존 레퍼런스 모델)과 비교하여 RTX 2060 SUPER 모델은 튜링(Turing) 아키텍처 기반으로 스트리밍 멀티 프로세서 4개가 추가된 TU106 GPU가 크게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특히 그래픽 메모리의 성능 향상이 두드러집니다. GDDR6 메모리 용량이 6GB에서 8GB로 늘어났으며, 버스 또한 192비트에서 256비트에서 작동합니다. 이 조합으로 메모리 대역폭이 448GB/s로 기존 336.1Gb/s보다 112Gb/s 빨라졌습니다.
기존 RTX 2070 모델 성능과 비슷하면서도 가격은 5~8만원 정도만 추가 부담하면 되기 때문에 게이머 들에게는 최고 가성비의 제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각 그래픽 카드 제조사에서 출시한 SUPER OC 제품은 RTX 2070 레퍼런스 성능을 뛰어넘는 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홀로그램을 적용한 박스는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보이며, RTX 2060 SUPER 그래픽 카드의 특징적인 부분을 깔끔하게 정리해 놓고 있습니다.
박스 좌측 하단에는 TURING / GDDR6 / RAY TRACING CORES / NVIDIA DLSS의 특징적인 부분을 표기해 놓았습니다. 파스탈 세대에 비해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이 25배나 빠른 속도로 가속화하며 CPU보다 30배 이상의 빠른 속도로 영화 효과를 위한 최종 프레임 렌더링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박스 후면에는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B 그래픽 카드의 특징들이 영문으로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역시 홀로그램을 적용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 색상이 달라보이며, 영어로 설명된 내용은 뒤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구성품은 다른 그래픽 카드보다 풍족하게 제공합니다. RTX 2060 SUPER 본체, 퀵 가이드, Vulcan & iGAME 스티커, 포스터, 공구 도구와 장갑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B 상세 스펙입니다. RTX 2060 레퍼런스 모델을 오버클럭하여 1470MHz 베이스 코어 클럭을 1650 부스트 클럭 / 1875MHz 터보 부스트 클럭으로 끌어 올렸습니다.
엔비디아 튜링 아키텍쳐의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8K(7680x4320) 해상도 지원, 최대 4개의 다중 모니터 시스템 구성이 가능합니다. 또한 VR 렌더링을 통한 사실적인 입체감을 구현하여 영상물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최신 12nm 제조공정, 2176개의 쿠다 프로세서를 탑재한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는 블랙 + 실버 톤 컬러 기반으로 블랙 색상을 배경으로 하여 중간중간에 실버 컬러로 포인트를 주고 있으며, 전면 바디는 합금 제작 바디를 사용하여 심미적인 요소와 내구성을 충족하는 디자인입니다.
모든 단자는 먼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 캡이 씌어져 있습니다.
아래쪽에는 메인보드 PCI-Express 3.0 슬롯에 장착하는 PCI-Express 3.0 x16 커넥터가 보입니다.
전체 대역폭은 최대 32GB/s를 지원하여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끌어냅니다.
독자적인 설계로 완성한 PCB 기판에는 10+2 Phase의 안정적인 전원부로 구성하였습니다. 기본적인 전원 공급은 8 + 8핀 구조로 최근에 출시되는 파워 서플라이에는 6+2, 8핀 구조의 PCI-E 전원
케이블이 기본 포함되어 있으므로 연결하는데는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구형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8핀 연결 젠더를 구입하셔야 합니다.
컬러풀만의 불칸 쿨링시스템을 적용하여 90mm 3개의 대형 팬을 장착하여 그래픽 사용량이 많은 그래픽 작업, 게임할때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해소시켜 줍니다. Saw Sickle Fan을 통해 트리플 에어쿨링이 가능합니다.
블레이드 디자인 홈을 통해 풍속을 가속시킴으로써 더욱 강력한 쿨링효과를 제공합니다. 톱니모양의 블레이드는 공기 흐름으로 부터 발생하는 와류 현상을 방지하여 공기흐름의 소음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어요.
인텔리젠트 스타트-스톱 팬 기술을 통해 인터넷, 문서작성, 웹서핑과 같이 그래픽 사용량이 많이 않을때는 팬의 동작이 멈추고 그래픽, 게임과 같이 그래픽 사용량이 많은 작업에서는 스스로 RPM를 계산하여 작동하는 제로팬 기술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전면, 뒷면, 앞면에 Natural RGB 조명효과를 적용하여 화려한 라이트닝 효과를 통해 누구나 쉽게 튜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그리고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상단의 커버 안쪽에는 냉각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온도 유도 시스템이 설치되어 실시간 작업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소프트웨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확도가 매우 높습니다.
앞면에는 스포크카의 후미등을 연상시키는 레드 컬러 포인트로 디자인함으로써 밋밋한 디자인의 단조로움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보면 볼수록 이쁜 디자인이 마음에 드네요.
후면 출력 포트는 DisplayPort x3개를 비롯하여 HDMI x1, USB Type-C(Virtual Link) 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대 4대의 모니터로 동시 출력이 가능하며 FHD, QHD, UHD 해상도의 모니터에 모두 대응하며 HDCP 2.2를 지원합니다.
최대 지원 해상도는 8K 7680x4320@60Hz이며, PC 케이스 확장슬롯에 설치할때는 2칸의 여유분이 있어야 설치할 수 있습니다. HDMI 포트와 DP 포트 사이에 있는 동그란 버튼은 One-Key Overclock 버튼으로 간단하게 오버클럭할 때 사용합니다.
3단계 Vulcan 쿨링 시스템은 핀 면적을 증가시키고 냉각 성능을 최적화하여 쿨링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있습니다. 6 더블 벤드 히트파이프는 오버클럭 상태에서도 70도 이하(최고 온도 78도)의 온도를 꾸준하게 유지하여 그래픽 카드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여줍니다.
iGAME 그래픽 카드의 특징중 하나인 LCD 모니터 2.0으로 제품 상태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임을 했을때 그래픽 카드의 로드율이나 온도, RPM을 정확하게 보여줘 현재 어느 정도 수준으로 그래픽 카드가 적동하는지 바로 알 수 있어서 발열 관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PCB 기판이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의 백플레이트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PCI-E 커넥터 반대편에 SLI-Ready 커넥터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봐서 듀얼 그래픽 기술인 NVLink를 사용할 수 없겠네요.
무게는 1498g으로 1kg이 넘어가기 때문에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서는 지지대가 필요해 보입니다.
318mm x 147mm x 59mm의 크기의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B 그래픽 카드를 PC 케이스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 320mm 가로 길이를 확보하고 있어야 합니다. 보통 미들 타워 케이스에도 380mm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미들 타워라면 넉넉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많이 조립하는 미들타워 케이스에 ATX 보드에 설치한 모습입니다. 가로 사이즈가 318mm로 300mm가 넘지만 미들타워치고는 내부 공간이 넓어서 꽉 찬 느낌은 없습니다.
PCI 슬롯 2개를 차지하기 때문에 미리미리 빈 슬롯을 확보해 놓아야 합니다.
테스트 시스템 사양입니다.
- CPU : AMD 라이젠 5 3600 (마티스) 3.2GHz
- M/B : ASUS TUF Gaming X570-PLUS STCOM
- RAM : 마이크론 Ballistix DDR4 8GB x 4
- VGA :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B
- SSD : 마이크론 Crucial P1 M.2 2280 500GB
- Cooler : 잘만 CNPS10X OPTIMA II WHITE
왼쪽은 부스트 클럭을 적용한 것이며(디폴트 설정), 우측은 원클릭 오버클럭 버튼을 눌러 터보 부스터 클럭을 적용하였습니다.
CPU, 메모리를 오버클럭하는 것처럼 그래픽 카드도 GPU / 메모리 클럭을 오버하여 성능을 높입니다. 다른 그래픽 카드와 다르게 원터치 버튼을 제공하여 살짝 눌러주는 것만으로도 최고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터보 부스트 기능이 적용되어 클럭이 1875MHz으로 맞춰졌습니다.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7월 30일을 기준으로 431.60 최신 버전을 내려받아 설치하였습니다.
운영체제는 윈도우 10 프로 64비트 K.
4K UHD 해상도에서 최고 옵션까지 게임을 테스트하기 위해 4K 모니터와 연결하였습니다.
DP 포트로 연결하였으며, 기본 해상도가 4K UHD로 잡혀 있네요.
먼저 3D 그래픽 성능을 살펴보기 위해 3DMark를 이용하여 4K UHD 기본 해상도에서 Time Spy와 Fire Strike 항목을 측정해 봤습니다.
DirectX12 기반의 4K 게이밍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Time Spy는 8천대로 높은 점수를 뽑아주고 있으며, Fire Strike에서는 2만점에 가까우운 19233이 나와 라이젠 시스템에서도 성능이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B의 성능을 살펴봄에 있어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게임에서 얼마나 안정적인 프레임을 유지하는가 입니다.
오버워치에서 수직동기화 비활성화, 최대 프레임 제한을 300으로 설정하고, 낮음 / 높음 / 매우높음 / 최상 4가지 그래픽 옵션을 단계별로 설정하여 구간별 프레임을 측정하였습니다.
FHD 옵션에서는 300 가까운 200 후반대까지 프레임이 측정되었으며, QHD 해상도에서는 대체적으로 200 초반, 100 중후반대 프레임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 UHD / 최상 > 가장 높은 옵션에서도 88 ~ 110fps 사이에서 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오버워치 정도는 최고 조건에서도 가볍게 즐길 수 있답니다.
팬덤이 많기로 유명한 배틀그라운드에서는 프레임 제한 없이 낮음 / 중간 / 높음 / 울트라 4단계로 구간 프레임을 벤치마크하여 해상도별 평균 프레임을 정리하였습니다. 고사양 게임이다 보니 전반적으로 프레임이 낮지만 최고 해상도 4K UHD에서 울트라 옵션으로 돌려도 평균 45fps, 최고 54fps가 나와 게임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프레임 수치입니다.
근래에 보기드면 초고사양의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도 게임을 하는데 필요한 평균 프레임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FHD 해상도에서는 100 ~130fps, QHD에서는 60 ~ 90fps 사이에서 안정적인 프레임이 측정되어 QHD 모니터에서는 프레임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가장 높은 UHD 해상도에서도 최저 23fps, 최고 27fps으로 최고 옵션에서는 원활하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최소 프레임인 30fps 이하를 유지합니다. 게임 캐릭터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마우스 움직임이 둔해지기는 하지만 게임을 못 할 정도는 아닙니다.
최고 옵션에서 테스트한 것이므로 옵션을 조금 낮추면 30fps은 얼추 맞출 수 있습니다.
게임별 프레임 변화는 각 게임에 첨부한 동영상을 통해서 확인해 주세요.
GPU 코어 98% 로드 상태에서 최고 온도 66도, 아이들 상태에서는 45도 최저 온도를 기록하였습니다.
- GPU 아이들 : 45도 / 0RPM
- GPU 풀로드 : 66도 / 2000RPM, 1827 RPM
실제 게임 상황, 즉 몬스터 헌터 월드 게임을 1시간 가량 플레이했을 때 최고 온도가 68도로 2070, 2080 상위 모델보다 10도 정도 낮습니다.
2시간 이상 게임을 플레이한 상태에서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B의 외부 온도입니다.
- 메탈 커버 중앙 & 디스프레이 : 35.2도
- 냉각팬 : 38.7도
- 히트파이프 : 33.9도
여름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실내 온도가 29.8인 상황에서 40도 아래에서 유지되고 있음은 전체적인 쿨링 성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PU 로드 아이들, 풀로드 상태에서 측정한 소비전력입니다.
- 아이들 : 90.7W(Low) / 93.8W(High)
- 풀로드 : 312.1W(Low) / 321.5W(High)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B의 성능을 살펴봄에 있어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게임에서 얼마나 안정적인 프레임을 유지하는가 입니다.
풀로드 상태에서 메인보드를 측정해 보면 35.4도까지 나오며 케이스 빈 공간, 더 정확하게 말하면 메탈부분을 측정하면 32.3도까지 떨어집니다.
케이스 메탈 부분을 측정한 온도이고, 다양한 PC 환경에서도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많으므로 참고 사항으로만 봐주세요.
iGameZone II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상태 모니터에 그래픽 카드의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가능한 정보는 GPU 클럭, 온도, 메모리 사용량, GPU 로딩률, 팬속도,
시스템 시간, CUS 이미지 7가지로 일정한 간격으로 로딩되는 정보들은 그래픽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네요.
전면 내추럴 RGB와 후면 RGB 라이트 스트립을 통해 화려한 LED를 구현하여 세련된 튜닝 PC를 구축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후면 RGB 라이트 스트립은 PC 작업 상태에 대해 실시간 색상으로 표시하며, 전력 비율을 모니터링하고 라이트 스트립 밝기에 기반하여 표시해 줍니다.
적용할 LED 패턴과 색상은 iGame Dynamic Light 소프트웨어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iGameZoneII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LCD 커스텀마이징 외에도 온도 / 클럭 / VRAM 대표 메뉴로 설정할 수 있고, 게임 / 사일런트 / 터보 / 사용자1 / 사용자2 프리셋을 상황에 맞게 셋팅할 수 있습니다.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2060 SUPER Vulcan X OC D6 8GB는 파운더스 에디션을 자사의 쿨링 시스템과 편의 기능을 넣어 새로운 팩토리 오버클럭 모델로 완성하였습니다. 기본 GPU 코어 1,470MHz에서 터보 부스터 클럭시 1875MHz까지 상승시킴으로써 조금이라도 게임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개인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는 최고 사양의 4K 시스템에서도 권장 사양이 가장 높은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도 충분히 게임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 프레임이 나와 2070, 2080 상위 라인업 대비 얼마나 가성비 좋은 제품인지 직접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불칸 특유의 냉각시스템을 적용하여 풀로드 상태에서 전체적인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최고 성능을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온도가 높은 실내 공간에서도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제로팬 기능으로 GPU 사용률이 적은 상황에서는 0dB 수준으로 소음을 최소화시켜 줍니다. 냉각팬이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전기 사용을 절약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RGB 라이팅 기능과 커스텀마이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는 튜닝된 게이밍 PC를 구축하는데 더 없이 좋을 뿐만 아니라 너무 화려해서 눈이 부실 정도입니다. 2000 시리즈 중 RTX 2070, 1000 시리즈에서는 1080 Ti의 성능을 뛰어 넘는다고 하니 신상 그래픽 카드를 구입하거나 기존 그래픽 카드를 바꾸고 싶은 분들은 눈여겨 봐야할 제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