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러마스터와 15년 전통을 가진 대양케이스와의 만남으로
무서운 녀석이 태어났다.
그의 겉모습을 믿으면 안 된다.
그의 정체는.......
1. 사양
80PLUS 스탠더드 등급도 상향 평준화가 된 요즘을 기준으로 봐도 훌륭한 스펙을 보유하고 있는 모델이 등장했습니다.
자! 쿨러마스터의 저력을 확인해봅시다.
2. 패키징
비닐 래핑이 우리에게 안식을 줍니다.
새것이라는 믿음이 무럭무럭 자라납니다.
역시 병든 그래픽카드도 일어나게 한다는 신상 파워서플라이입니다.
패키지에서조차 쿨러마스터 특유의 이미지가 물씬 풍깁니다.
"나는 쿨러마스터이다."
3. 구성품
구성품은 간단합니다.
보다 좋은 가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내놓다 보니 구성이 이렇게 된 것 같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본체를 감싸고 있는 에어캡 비닐은 따로 밀봉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불필요함을 줄이다."
4. 외관
스탠더드 등급에 위대한 HDB(유체 베어링) 팬이 장착되었습니다.
보급형인 슬리브 베어링 팬만 보다가 고급형을 보니 동경하는 연예인을 본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스테인리스 차폐 막도 달려 있고 설계가 훌륭합니다.
파워서플라이 본체와 전원 코드 모두 KC 인증을 받아 너에게 소중한 컴퓨터를 맡겨도 좋다고 생각이 절로 들었습니다.
전원 케이블은 올 블랙 플랫 케이블로 심플함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면적이 넓은 플랫 케이블이다 보니 슬리빙 처리는 적용되지 못하였습니다.
※주의사항
쿨러마스터의 경우 우측 하단의 바코드 시리얼 번호가 있어야 원활한 A/S 접수가 가능합니다.
훼손하지 않도록 조심합시다.
5. 무게 및 크기 실측
파워서플라이 본품 무게도 묵직하니 부품이 아주 실하게 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녀석이 우량아로 아주 잘 컸습니다.
크기는 ATX 표준 사이즈로 제작되어 미들 케이스에 문제없이 장착 가능합니다.
케이블 길이도 넉넉하여 설치하는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이전에 제가 가진 델타 파워는 CPU 4+4핀이 짧게 제작되어 연장선 없이 미들 케이스에 장착할 수 없었던 불상사가 있었기 때문에 꼭 확인합니다.
전원 케이블도 16A 고급형으로 두껍습니다.
6. 소비전력 측정
사일런트 모드가 적용되어 클립으로 단순 불량 검사는 하기 어려워졌습니다.
클립으로 파워가 작동하게 만들어서 팬이 돌아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멀티 테스트기가 있다면 찍어보면 알 수 있겠지만 PC에 연결해서 확인합시다.
소비전력을 측정해본 결과
브론즈 수준의 결과를 보였습니다.
7. 작동 영상
귀를 파워에 가까이 댔을 때 들리는 액티브 PFC가 작동하는 지지직 전기 흐르는 소리 외에는 고주파 음이 발생하지 않아 좋았습니다.
다만, 환경에 따라 고주파 발생 여부가 다를 수 있으므로 실제로 적용해봐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사일런트 모드는 크게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팬리스 기능이 아니라 팬이 상시 작동하였습니다.
아무래도 가정용 측정기라서 정확도가 떨어져서 그런지 54W에서도 사일런트 모드가 작동되지는 않았습니다.
실사용에서는 처음 부팅할 때만 팬이 안 돌아갔습니다.
팬 RPM은 온도나 부하율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HDB 팬이라 팬 작동음은 조용하였으나 잡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 부분만 해결된다면 소음 면에서 아주 훌륭한 모델입니다.
영상 순서는 부팅 > CPU Idle 상태 > CPU FullLoad 상태 > 시스템 종료
8. 온도 및 출력 측정
브론즈 등급 수준의 쿨링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작동 전은 CPU Idle 상태이고,
작동 후는 CPU FullLoad 상태입니다.
출력값에서도 브론즈급의 안정성이 돋보였습니다.
9. A/S
쿨러마스터는 주식회사 대양케이스에서 공식 수입원입니다.
쿨러마스터 규정상 파워서플라이에 붙은 바코드와 시리얼 번호를 사진으로 찍어서 A/S 접수할 때 제출해야 되기 때문에 스티커를 훼손하지 않아야 합니다.
(대양케이스에서 수입한 제품이 아니라면 서비스가 불가합니다.)
카카오톡 또는 대양케이스 공식 홈페이지 A/S 게시판을 통해서 A/S를 접수가 가능합니다.
http://daeyangcase.com/recruit/as1/as/list.htm
절차는 게시판에 접수(시리얼 바코드 사진 첨부) 후 고객센터로부터 승인 답변 받습니다.
그다음 로젠택배로 발송하는 형식입니다.
http://daeyangcase.com/recruit/as1/as/read.htm?bn=as&categoryValue=0&etc=pub&pkid=42
본 제품은 프리미엄 정책이 적용되어 무상 기간 내 고장 시 1:1 새 제품 교환됩니다.
또한 대양케이스의 완벽한 사후 지원으로 무상 기간 내 왕복 택배비가 지원됩니다.
단, 소비자 귀책사유가 없어야 하며, 로젠택배를 이용해야 합니다.
10. 장단점
가. 장점
-고가의 HDB 베어링 팬 적용
-깔끔한 올블랙 플랫 케이블 적용
-80 플러스 스탠더드로 하향 인증(알맹이는 브론즈급 최대 효율 89.27%)
-최대 99.6%의 높은 12V 가용력(648W/650W)
-싱글 레일 구조로 설치가 간단함
-5중 보호회로 적용(OTP, OVP, UVP, SCP, OPP)
-넉넉한 커넥터(PCI-e 6+2핀 x 4개)
-불필요한 FDD 전원 케이블 제거(3.5인치 플로피디스크용)
-16A KC 인증 전원 코드 적용
-무상 5년 프리미엄 A/S 정책(새 제품 1:1 교환)
-무상 A/S 기간 내 왕복 택배비 지원(단, 로젠택배 이용, 고객과 실 및 파손 제외)
나. 단점
-사일런트 모드는 실효성이 없음(부팅 과정 외에는 팬이 항상 작동함)
-85도 콘덴서 적용
-팬 회전 시 잡음 발생
11. 총평
그의 정체는............브론즈다! 그는 스탠더드로 위장하고 있다!!
쿨러마스터 MWE 650 WHITE V2는 80플러스 브론즈 등급에 해당되지만 의도적으로 스탠더드로 인증받아 체급을 낮춘 모델입니다.
탈 스탠더드라는 비유가 아닌 무늬만 스탠더드인 Real 브론즈인 것이죠.
그 덕분에 스탠더드 등급 중에서는 정말 피지컬이 뛰어납니다.
그래픽카드 같은 다른 부품들이 워낙 고가이다 보니 과거의 뻥 파워의 망령이 두려워지는데요
이 모델의 경우 KC 인증 와 80플러스 인증, 거기에 5중 보호회로와 DC to DC+LLC 설계까지 브론즈 등급 구성으로 들어가 있어 좀 더 안심하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흔히 스탠더드 등급이 적용되는 슬리브 팬이 아닌 고가의 HDB(유체 베어링) 팬을 적용하여 팬의 수명은 높이고 소음은 줄였습니다.
다소 아쉬웠던 점은 HDB 팬이 회전할 때 잡음 있어 보다 쾌적한 저소음 환경을 만끽할 수 없었다는 점입니다.
같은 값이라면 다홍치마라고 스탠더드 등급으로 위장하고 있는 이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실속 구매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다다익선 많을수록 좋은, 5중 보호회로(OTP, OVP, UVP, SCP, OPP)
조용하게 강한, 고가의 HDB(유체 베어링) 적용 120mm 쿨링 팬
깔끔하고 세련된, 올블랙 플랫 케이블
후방은 내게 맡겨라, 무상 5년 A/S + 1:1 새 제품 교환 정책
더욱 안전한 전력 공급을 위해, DC to DC + LLC 회로 설계
가용력을 높여라, 최대 99.6%의 12V 가용력(648W/650W)
복잡한 건 No, 싱글 레일 간단한 설치
신형 기종도 OK, CPU 8핀 외 EPS 8핀, PCI-e 6+2핀 x 4개 지원
제조 공장은, SHENZHEN GOSPELL DIGITAL TECHNOLOGY
팬 리스가 아닌, Silent Mode (보급형 PC도 Idle 상태에서 60W 이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크게 의미 없음)
이건 무슨 소리인고, 팬 구동 잡음
좀 더 시간과 예산이 충분했더라면, 대만 CapXon 85도 캐패시터 적용
가성비 ★★★★★
완성도 ★★★★☆
편의성 ★★★★★
소 음 ★★★★☆
안정성 ★★★★★
마 감 ★★★★☆
<다나와 링크>
[이 사용기는 (주)대양케이스와 쿨엔조이 협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본 게시물은 필자 본인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므로 주관적/개인적 의견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환경에 따라 다른 결과 값이 나올 수 있습니다.]
<테스트 환경>
AMD 라이젠 5 1600
애즈락 AB350M Pro4
삼성전자 DDR4-PC19200 8GBx2
삼성전자 850 EVO 250G
이엠텍 GTX1050 2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