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RTX 20 시리즈 그래픽 카드가 출시된 지도 많은 시간이 흐르면서 각 제조사의 팩토리 오버클럭된 다양한 제품들이 나오면서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있는데요.
조금이라도 성능을 끌어내기 위해 자사만의 독특한 쿨링 시스템과 RGB LED 효과, 그리고 오버클럭을 무기로 게이머들에게 어필했다면 오늘 소개 할 이엠텍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는 블로우 싱글팬을 장착하고 화려함보다는 심플함에 중점을 두어 출시한 그래픽 카드로 왠지 모르게 끌리기도 합니다.
RTX20 시리즈와 플래그십 모델이라 할 수 있는 RTX 2080 Ti 최상위 포지션이라 최신 게임에서의 성능이 기대되는 것은 저뿐만 아닐 거에요. 12월 9일 기준으로 다나와 최저가는 140만 후반대로 제가 본 그래픽 카드 중에 가장 비싼 편에 속합니다.
지금부터 이엠텍에서 11월 말에 출시한 따끈따끈한 그래픽 카드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 (EDITION)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RTX 20 시리즈가 기존 그래픽 카드들과 어떻게 다른지 그 특징들을 먼저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지포스 RTX 시리즈의 특징은 다음 4개 요소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1.레스터라이제이션(Rasterization)
2.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3.컴퓨트(Compute)
4.인공지능(AI)
지포스 RTX에는 튜링(Turing) 아키텍처가 적용되어 있는데 다시 튜링에는 뉴코어 아키텍처, 텐서코어, RT코어, 어드밴스드 셰이딩으로 구성됩니다. AI, 딥러닝을 위해 텐서코어가 추가되었으며
레이 트레이싱 액셀러레이터를 위해 RT 코어를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튜링 아키텍처를 탑재한 RTX 20 시리즈의 성능을 이해하기 쉽게 파스칼 아키텍처를 탑재한 그래픽과 비교해보면 6배 정도 빠른 렌더링 속도가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향상되었습니다. 여기서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레이 트레이싱 기술로 화면 속 자동차 등의 물체에 사람 모습이 반사하지 못했던 것을 이 기술을 적용하면 사물에 비치는 사람 모습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딥러닝 기능으로는 이미지의 흑백을 컬러로 바꾸거나 머리카락의 컬러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고 하네요.
기존 GTX 1080Ti와 RTX 2080Ti의 성능 차이를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간단하게 성능을 비교하면 1.5배 정도 차이를 보이며 DLSS까지 적용할 경우 2배 가량 향상됐다라고 하는데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므로 성능 차이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RTX 20 시리즈는 2070, 2080, 2080Ti로 출시되었으며 램 용량은 8GB, 8GB, 11GB를 각각 탑재하였습니다. 새로운 성능 측정단위인 RTX-OPS를 적용해보면 2070=45T, 2080=60T, 2080Ti=78T로 성능 차이가 확연히 나고 있습니다.
2080에서 2080Ti로 넘어갈때가 2070에서 2080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보다 수치상 성능은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특유의 블랙 + 그린 컬러의 분위기를 자아내는 박스에는 블로워 에디션(BLOWER EDITION)이라는 문구가 강렬한 레드 폰트로 새겨져 있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옵니다. 해당 모델 구입시 CALL OF DUTY : MORDEN WARFARE 게임을 증정한다는 내용의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콜 오브 듀티 류의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들에는 게 괜찮은 증정 행사가 되겠네요.
박스 좌측 하단에는 11GB 14Gbps GDDR6 / 4K3 Surround / 허니콤 브라켓 / BLOWER FAN 등 특징적인 부분을 눈에 잘 들어오게 아이콘화여 보여주고 있네요.
박스 후면에는 GDDR6 그래픽 메모리, 4K3 서라운드 지원, 벌집모양의 브라켓, 블로우 팬 등 앞에서 살펴봤던 내용들을 요약, 정리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엠텍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콜백서비스를 비롯하여 20시 A/S 연장근무, 온라인 Q&A, 실시간 A/S 조회, 고객지원 상담전화, 무상 3년 품질 보증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내용의 알기 쉽게 표기해 놓았습니다.
외부 박스에 완전 밀봉 포장으로 비닐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런 포장법은 개봉 여부를 바로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개봉하면 내부에 박스 하나가 나오면 안에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비닐로 다시 한번 포장하여 새제품 그대로 받아 볼 수 있도록 꼼꼼하게 포장한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구성은 이엠텍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 Edition 그래픽 카드 하나로 심플하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 Edition 상세 스펙입니다. RTX 2080 Ti 레퍼런스 기반 설계로 베이스 클럭 1350MHz, 부스트 클럭 1545MHz에서 작동하며 오버클럭 툴 ThunderMaster를 통해 약간의 클럭을 상향시킬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튜닝 아키텍쳐의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8K UHD 해상도 / 다중 그래픽 기술인 2-way NVIDIA NVLINK 기능을 기본 지원하면 최대 4개의 다중 모니터 시스템 구성이 가능합니다.
거의 레퍼런스 급이라 후면에는 메탈 백플레이트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가공하지 않은 순수한 그래픽 카드의 모습에 가까우며 블로우팬까지 블랙 색상이 포인트로 전면과 후면이 차이가 있습니다.
65mm 싱글 블로워 팬 설계를 통해 메모리, 캐피시터, 메탈초크 등의 컴포넌트의 품질을 높여 내구성을 높였습니다. 8+2 Phase 전원부 구성으로 낮은 온도를 통해 최적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수명연장은 물론 뛰어난 안정성을 자랑합니다.
메인보드 PCI-Express 3.0 슬롯에 장착하는 PCI-Express 3.0 x16 커넥터입니다. 전체 대역폭은 최대 32GB/s를 지원하여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끌어낼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전원 공급은 8 + 8핀 구조로 최근에 출시되는 파워 서플라이에는 6+2, 8핀 구조의 PCI-E 전원 케이블이 기본 포함되어 있으므로 연결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참고로 최소 권장 파워는 650W입니다.
다만, 구형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8핀 연결 젠더를 구입하셔야 합니다.
고성능 그래픽 카드에는 기본이 2팬, 많게는 3팬까지 장착되지만 블로우 에디션(BLOWER EDITION)은 65mm 크기의 블로우 싱글 팬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심플한 면도 있긴 하지만 2, 3팬에 익숙해져 있는 분들에게는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하나의 블로워 팬의 장점은 소음 발생이 적으면서도 GPU 99% 가동에서 최고 온도 80도를 꾸준하게 유지할 정도로 쿨링 성능은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소음 대비 풍량이 많도록 설계된 팬 블레이드는 채택하여 효율적인 쿨링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BLOWER EDITION은 제조사의 팩토리 오버클럭 그래픽 카드보다 얇고, 슬림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다양한 입출력 단자가 위치한 후면에는 벌집구조의 에어홀을 다량 천공하여 그래픽 카드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자연 배기시키는 최적의 구조입니다.
후면 출력 포트는 DisplayPort 1.4 x3개를 비롯하여 HDMI 2.0b 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대 4대의 모니터로 동시 출력이 가능하며 FHD, QHD, UHD 해상도의 모니터에 모두 대응합니다.
최대 디지털 해상도가 7680x4320@60Hz이며 4K 해상도의 모니터를 최대 3대까지 지원하여 4K3
서라운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PC 케이스 확장슬롯에 설치할 때는 2칸의 여유분이 있어야 설치할 수 있겠네요.
일체형 커버가 히트싱크를 완전히 덮어씌우는 형태로 설계되어 내부는 보이지 않지만 안에는
대형 알루미늄 히트싱크, 베이퍼 챔버, 써멀 패드 쿨링 시스템을 적용하여 다이렉트 쿨링 구조를 완성하였습니다.
순수 구리 베이퍼 챔버는 GPU 및 그래픽 카드의 발열을 빠르게 해소하며, 내바 메탈 플레이트에 적용된 고성능 써멀 패드는 VRM 및 메모리 부의 뜨거운 발열을 빠르게 전달하여 일정 수준의 온도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래픽 카드 후면은 많이 보이는 백플레이트가 없는 모습을 심플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분해 여부를 알 수 있는 스티커가 나사 위에 부착되어 있어 정식 AS를 받으려면 분해는 하지 않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분해해서 이엠텍에서 AS가 되지 않으면 본사 RMA AS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새로운 클링 시스템으로 바꾸고 싶으신 분들은 이 점을 명심하고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멀티 그래픽 환경 구축을 위한 NVLink SLI 커텍터를 제공합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 Edition의 무게는 832g으로 백플레이트가 적용되어 있지 않아 180g 정도가 가볍습니다. 1kg이 넘지않기 때문데 지지대가 없어도 될 것 같아요.
지름 65mm 냉각팬 1개를 탑재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사이즈는 그렇게 작은 편은 아니지만 팩토리 오버클럭된 동일한 사양의 제품보다는 작습니다. 정확한 사이즈는 269mm x 112mm x 40mm로 스펙상에 나와 있는 크기와 비슷합니다.
PC 케이스에 설치하려면 최소 가로 길이가 270mm를 확보하고 있어야 하는데 미들 타워 케이스에 장착 시에도 여유 공간이 충분할 정도로 크기가 작으며, 슬림한 편입니다.
미들 타워 케이스 내의 m-ATX 보드에 설치해본 확실히 가로 길이가 짧아서 여유 공간이 많이 남습니다. 가로 사이즈가 269mm로 270mm가 넘지 않지만 그래픽 카드 자체가 길기 때문에 커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넉넉하게 잡아서 300mm 이내에서 설치할 수 있는 그래픽 카드이기 때문에 iTX, 미니 케이스 외에 일반 미들타워 케이스에서는 공간 문제로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 Edition를 테스트할 시스템 사양입니다.
- CPU : AMD 라이젠5 3600 3.6GHz
- MB : ASUS TUF B450M-PRO GAMING
- RAM : DDR4 32GB 듀얼채널
- VGA : 이엠텍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 Edition
- SSD : 마이크론 Crucial P1 M.2 2280 500GB
- Power : TUNDRA 700W 85+
GPU-Z를 통해 살펴본 이엠텍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의 상세 정보입니다.
베이스 클럭이 1350MHz, 부스트 클럭 1545MHz로 스펙과 동일하며 여기서 조금이라도 더 좋은 성능을 끌어내고자 하는 분들은 썬더마스터 오버클럭 툴을 이용하여 오버하시면 됩니다.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12월 7일을 기준으로 441.41 최신 버전을 내려받아 설치하였습니다.
운영체제는 윈도우 10 프로 64비트 K.
먼저 3D 그래픽 성능을 살펴보기 위해 3DMark를 이용하여 4K UHD 기본 해상도에서 Time Spy EXTREME, Time Spy와 Fire Strike 항목을 측정해 봤습니다.
DirectX12 기반의 4K, 일반 게이밍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Time Spy EXTREME는 5599, Time Spy는 1.1만 후반대로 높은 점수를 뽑아주고 있으며, DirectX12 기반의 Fire Strike에서는 2.5만점에 가까운 24255가 나와 3세대 라이젠 시스템과도 궁합이 잘 맞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측정 항목에서 4K 게이밍 PC의 점수를 압도하는 높은 점수가 나왔는다는 점에서 게임 성능에서도 그럴지 기대되네요.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에서 최고 옵션에서 4K 해상도로 출력한 화면입니다.
UHD 4K 해상도에서의 그래픽 화질과 색감은 FHD, QHD 해상도보다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최근 게이밍 모니터의 흐름이 4K UHD 해상도, 곡률 커브드, 21:9 화면비로 옮겨가고 있는 이유를 선명한 화질이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8K UHD 모니터가 나온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겠네요.
게임 성능은 최신 인기 게임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오버워치의 경웅 수직동기화 비활성화, 최대 프레임 제한을 300으로 맞추고 낮음 / 높음 / 매우높음 / 최상 4가지 그래픽 옵션을 단계별로 설정하여 구간별 프레임을 측정했습니다.
FHD 해상도 / 낮음 옵션에서는 300에 거의 가까울 정도로 가득 채울 정도로 높은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 UHD / 최상 > 가장 높은 옵션에서도 130 ~ 170fps 사이를 왔다갔다 하면서 고프레임을 현재 최고 해상도와 옵션에서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인기 FSP 게임 배틀그라운드에서는 프레임 제한 없이 낮음 / 중간 / 높음 / 울트라 4단계로 구간
프레임을 벤치마크하여 해상도별 평균 프레임을 정리하였습니다. QHD 울트라 옵션까지 100fps 정도의 높은 프레임이 측정되었습니다.
최고 해상도 4K UHD 평균 프레임도 울트라 옵션에서 60fps 중반대의 평균 프레임을 유지하여 고사양의 인기 게임도 쾌적한 환경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네요.
알고 있는 게임중 최고 사양의 게임이라고 할 수 있는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의 평균 프레임도 무척 안정적인 수치로 측정되었습니다. FHD 해상도에서는 110 ~150fps, QHD에서는 80 ~10fps 사이에서 안정적인 프레임이 나오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UHD 해상도에서도 최저 55fps, 최고 74fps으로 최고 옵션에서는 RTX 2080 보다 20fps 정도 높은 55fps 이상을 꾸준하게 유지하는 모습이 엔비디아의 플래그십 그래픽 카드 다운 성능이네요.
배틀그라운드, 몬스터 헌터 월드가 고사양 게임이었다면 상대적으로 저사양 게임인 로스트아크에서 프레임이 얼마나 나오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테스트 환경은 동일한 3가지 해상도에서 하, 중, 상 최상 옵션을 차례대로 적용하여 평균 프레임을 측정하였습니다.
FHD에서는 170대 중반에서 140대 후반 프레임이 나오며 QHD에서도 120대 초반까지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찍어주고 있습니다. 가장 해상도가 높은 UHD / 최상 옵션에서도 90 ~ 110fps 사이의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GPU 코어 97% 로드 상태에서 최고 온도 81도, 아이들 상태에서는 34도 최저 온도를 기록하였습니다. 게임 플레이시에도 81도가 최고 온도로 90도가 넘지 않으면 괜찮은 수준이라 싱글팬 구성에서 81도 정도면 무난해 보입니다.
2시간 이상 게임을 플레이한 상태에서 이엠텍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 Edition의 외부 온도입니다.
- 커버 중앙 부분 : 23.7도
- 냉각팬 : 21.9도
- 뒷면 : 37도
\
GPU 아이들, 풀로드 상태에서 측정한 소비전력입니다.
- 아이들 : 73.8W(Low) / 77.0W(High)
- 풀로드 : 340.7W(Low) / 361.4W(High)
이번에는 PC 내부 온도, 정확하게 케이스 내부 온도입니다. 사이드 커버를 2시간 정도 닫은 상태에서 측정할때만 오픈하여 측정한 결과는 아이들시 29도, 풀로드시 1.4도가 높아진 31.4도가 측정되었습니다.
케이스 메탈 부분을 측정한 온도이고, 다양한 PC 환경에서도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많으므로 참고로만 봐주세요.
지금까지 이엠텍에서 11월말 출시한 엔비디아 플래그십 그래픽 카드 지포스 RTX 2080 Ti D6 11GB BLOWER 에디션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파운더스 에디션을 기반으로 하여 자사의 독특한 쿨링 시스템을 적용하여 오버클럭한 팩토리 오버클럭 제품들과는 확실히 다른 모습이지만 성능에서 만큼은 RTX 2000 시리즈중 단연 최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65mm 블로워 싱글팬 하나로 무난한 GPU 온도 유지와 상대적으로 적은 소음, 가볍고 슬림한 VGA 본체는 미들타워에서도 많은 여유공간이 남습니다. 팩토리 오버클럭된 제품과 비교했을때 성능은 비슷하지만 소음은 적고, 온도는 제품마다 다르지만 대략 3 ~ 4도 정도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Blower Edition은 기존 각 그래픽 제조사에서 내놓은 팩토리 버전과 비교하여 화려한 면이 부족하지만 기본 그래픽 카드의 성능과 오버클럭을 통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연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엠텍에서 유통한 제품이니 만큼 이엠텍 만의 믿을 수 있는 서비스를 통해 3년 동안 무상 AS를 받을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구요.
최신 인기 게임을 플레이해 본 결과, 역시 최고의 그래픽 카드답게 최고 해상도, 옵션에서도 최소 평균 프레임을 상회하는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어 현존 최고 사양의 게임도 쾌적한 환경에서 즐길 수 있게 해줍니다. RTX 2080 Ti Super 출시 소식이 없는 상황에서 현존 최고의 그래픽 카드라고 할 수 있는 2080 Ti 블로우 에디션만의 성능과 특별함을 경험해보고 싶으신 게이머들이라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이 제품을 고려해 봐도 좋을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