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SI의 게이밍 모니터를 소개합니다.
MSI는 그래픽카드, 메인보드를 생산하는 글로벌 PC 부품 기업입니다. 네이버에 모니터 관련 질문에
보면, MSI를 중소기업으로 아는 분들 있습니다. 대기업 게이밍 모니터는 대체로 중소기업 모니터보다
비싼 가격을 형성하는데, 일부 MSI 게이밍 모니터는 뷰소닉과 함께 비교적 저렴하게 판매하는 편입니다.
MSI 옵틱스 MAG241CR를 사용해봤습니다. 2년전 신제품 게이밍 모니터는 VA 패널 1800R 게이밍
모니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응답속도가 낮은 평면 TN 패널이나, 커브드가 더 심한 VA 패널에
1500R 커브드 모니터가나오는 추세입니다. 이런 트랜드 맞게 MSI 옵틱스 MAG241CR도 1500R
곡률을 갖고 있습니다
- 60hz, 144hz 비교 간단 비교
마우스 커서만 움직여도 차이가 있습니다. 마우스를 움직이는 속도가 서로 달라서 정확한 비교는
아니지만, 60hz 모니터보다 144hz 모니터가 마우스 커서를 움직일 때 중간 중간 보이는 잔상이 더
많이보입니다.
60hz 테스트
144hz 테스트
■ MSI 옵틱스 MAG241CR 개봉
패키지 박스는 풀 컬러이며, 상당한 두께의 완충제로 모니터가 보호되고 있습니다
- 구성품
조립나사, 베사홀 나사, DP 케이블, 전원 케이블, 스탠드, 스탠드 넥(Neck)
- 조립 과정
1. 모니터 패널을 완충제 올려 놓고, 스탠드 넥(Neck)를 나사 2개로 조립
2. 스탠드 넥(Neck)에 스탠드를 손나사로 조립
스탠드는 메탈소재이며, 스탠드 넥이 매우 두텁고 견고하며, 제품 마감이 우수합니다.
스탠드 넥은 외견 상 메탈로 보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무겁지 않습니다.
- 스탠드 기능
엘리베이션 130mm까지 제공하며, -5도 ~ 20도 틸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피봇 (90도 회전), 스위블을 미지원하는 점은 아쉽습니다.
■ MSI 옵틱스 MAG241CR 외형
개봉해서 조립하면서 디자인에서 몇 가지 포인트에서 차별화가 보였습니다. 디자인적 특징을 보면
단순한 V 자 스탠드가 아닌 좀 더 입체적인 디자인의 스탠드, 극히 좁은 아웃 베젤, 헤드셋 걸이 위치와
모니터 뒷면 디자인을 꼽을 수 있습니다.
- RGB LED
모니터 뒷 패널에 RGB LED를 적용하여 LED 효과를 넣었습니다.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PC에서 10여개의 LED 모드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 USB 허브 기능
조금 비싼 모니터에는 모니터와 PC를 연결하고 모니터를 USB 허브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MSI 옵틱스 MAG241CR도 USB 2.0 포트 2개가 있으며, PC와 먼저 모니터를 USB Type-b 포트에 연결
후 USB 허브로 활용 가능합니다.
- 인터페이스 지원
USB 2.0 x 2, DP 포트, HDMI(1.4v) x 2 지원합니다.
- 베사홀, 조그셔틀 버튼(OSD 설정), 캔싱턴락(도난 방지용), 전원 버튼
- 베젤 및 두께 측정
측면 두께 1.8 ~ 2 mm, Out 베젤 2mm, Inner 베젤 5mm, 하단 Out 베젤 20mm, 좌우의 Out 베젤이
작아서 심미적으로 보기가 좋습니다.
피시방에 144hz 모니터가 흔하고, 좋은 PC방은 디자인까지 고려해서 수냉쿨러까지 탑재하기도 합니다.
스탠드에 MSI 메탈 로고가 있는 점이 멋지고, 뒷면에 RGB LED까지 있어서 프리미엄 PC방에서 사용하기
좋아 보입니다.
- 내장형 헤드셋 걸이
좌측에 헤드셋 걸이가 숨겨져 있으며, 내부에 숨겨져있다가 누르면 튀어나오는 방식이라
공간 활용도가 좋습니다.
■ 144hz 셋팅, G-sync compatible 간단 테스트
- 144hz 셋팅
엔비디어 제어판 144hz 설정 또는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 디스플레이 어댑터 속성에서 주사율을 설정
- G-sync compatible
모니터 설정에서 프리싱크 켠 후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G-sync 호환을 활성화 하지만 엔비디아 공식
인증한 제품은 아니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회색 박스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지싱크 호환이 적용되는지 알아보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좌측은 G-sync compatible 미적용으로 가로로 짤리는 현상이 있습니다.
G-sync compatible 켜면, 사진처럼 회색 네모를 온전히 유지하며, 좌측으로 이동합니다.
■ 게임 플레이
- 오버워치
오버워치에서 겐지, 맥크리, 위도우 등 끌어치기와 화면전환이 빠른 캐릭에서 144hz를 활용하기 좋습니다.
특히, 겐지 용검을 쓰면 화면이 180도로 빠르게 전환해야 해서 144 hz의 부드러움 화면 움직임을 적극
활용 할 수 있습니다.
맥크리, 위도우 처럼 에임을 순간적으로 끌어치는 캐릭들도 60hz 모니터보다 144hz를 사용하면 일반
모니터보다 같은 시간 동안 2배 이상의 화면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부드러운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배틀그라운드보다 색감이 더 커러풀하여 TN 패널 게이밍모니터 보다 조금 더 깊이감 있는 색상을
볼 수 있습니다. 오버워치는 1650s 보급형 그래픽카드만 사용해도 충분히 144hz를 즐길 수 있는 높은
프레임이 나오기때문에게이밍 모니터 활용하기 좋습니다.
- 배틀그라운드
'응답속도 빠르게, MBRT 1ms'
MBRT은 잔상이 사라지기까지 시간을 측정한 것입니다. 게이밍 모니터 초기에 TN 패널을 사용했던 것은
TN 패널이 응답속도가 빠르고 잔상이 적으며, VA 패널은 응답속도가 조금 느리고, 응답속도가 빠르면
잔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몇 년 전부터 VA 패널 게이밍 모니터도 응답속도는 빠르고, 프레임 사이 사이에 검은 화면을 넣어서 제거했습니다. 다만, 대부분 VA 패널 게이밍 모니터의 응답속도를 가장 빠르게 셋팅하면 플리커 현상이 있습니다.
배그는 오버워치보다 프레임이 잘 안 나와서 고성능 그래픽 카드 사용을 권장합니다.
144hz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게임 프레임 최소 100이상 나와야 체감이 됩니다.
- 몬스터헌터
몬헌은 덩치가 큰 몬스터를 잡으면서 드라마틱한 그래픽을 즐길 수 있는 게임이라서 144hz 고주사율도
좋고, 색감도 제법 중요한 게임이라 VA 패널로 플레이하기 좋은 게임입니다.색감과 144hz 부드러움
모두 갖추고 있어서 그래픽 카드만 좋으면, 패키지 게임 몬스터헌터, 어쌔신 크리드를 즐기기 좋은
모니터라 봅니다.
■ 영상 시청
유튜브에서 4K 화질의 터미네이터 트레일러를 시청해봤습니다. 4K 해상도 모니터 만큼은 아니지만
영상소스가 4K라면 FHD 영상보다 더 화질이 좋게 보입니다.
sRGB 커버리지 99%에 색영역 118%도 깊이감 있는 색상을 보여줍니다.
VA 패널 모니터는 3000 :1 의 높은 명암비로 영화 시청용으로 좋습니다.
DCI-P3 90%(디지털 시네마 표준색) 색영역을 지원하는데, DCI-P3 색영역은 미국의 여러 대형 영화사가
정한 디지털 시네마 표준 색영역으로 sRGB는 너무 예전 기준이고, AdobeRGB 와 같이 표준 비교적
최근 제시되는 표준 색영역 중 하나입니다. 웹소설이나 웹툰을 모니터로 오래 읽는 사람이라면,
리더모드와 블루라이트 차단을 활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최근에 리뷰한 대기업 TN패널 게이밍 모니터의 색감이 기존에 쓰던 VA패널 게이밍 모니터보다 조금
연했는데, MSI 옵틱스 MAG241CR는 기존에 쓰던 모니터와 색감 비교해도 차이가 없거나 조금 짙게
보였습니다. (모두 프리셋 기준 비교) 기존의 모니터는 2년이나 사용한 모델이라 신제품의 차이로
보입니다.
VA 패널은 넓은 시야각이 특징이며, 좌우 넓은 각도에서 시청해도 화면 왜곡이 심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플리커프리 (응답속도 매우 빠르게는 제외)로 화면의 깜박임 없어서 오랫동안 모니터를
시청해도 눈에 피로감을 덜어주고,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측정
캘리브레이션 장비 및 소프트웨어 : Syper 5, DisplayCal 3.8.9 측정
'색역 크기는 118%,, sRGB 커버리지 약 100%, 어도비 RGB 커버리지 78%, DCI P3 83%'
제품 DB에 표시된 sRGB 색역 크기는 118%, DCI P3도 83%도 광고와 비슷한 스펙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짚어볼 점은 색역 크기만 광고하고, 커버리지가 낮은 제품이 있습니다.
사실 sRGB 커버리지는 sRGB색상을 영역을 얼마나 표현하는가로 색역크기보다 이부분이 더 중요합니다.
일부 마케팅에는 커버리지는 낮은데, 색역만 큰 경우도 있으나, 해당 제품은 sRGB커버리지 99.6%로
거의 모든 sRGB 색상을 표현합니다. 어도비 RGB 커버리지 7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며, 전문가용
모니터 비해서 낮지만 일반적인 사용하기 충분합니다.
OSD 설정 초기화 시 측정 값은 화이트밸런스가 푸른색에 가깝게 다소 높게 잡혀있습니다.
6500K에 맞춰서 OSD 설정을 해봤습니다. 색온도는 6500K ~ 7000K를 주로 쓰지만, 사용에 불편하지
않다면, 굳이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 색온도 6500K 화이트 밸런스 세팅
OSD 색온도 설정 R : 64 G : 50 B : 43 / 명암비 79 밝기 80
■ OSD 디스플레이 설정 및 테스트
-스마트폰 어플로 모니터 제어
어플과 연동해서 PC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제품이 가끔 보입니다.
키보드도 어플로 제어가하는 제품은 봤는데, 모니터는 처음보네요.
어플 제어 영상
- 전용소프트웨어 모니터 제어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키보드, 마우스로 모니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화면 모드, 밝기, 명암, 선명도, 화면분할 뿐 아니라 뒷면의 RGB LED 모드 10여개를 제공합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게이밍 모니터 차이는 OSD 설정 UI에서 보여집니다.비교적 연구 개발 인력이
여유로운 대기업의 모니터의 OSD는 자체 개발한 UI로 보기 좋고 깔끔하며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써본 모니터 중에 LG의 OSD 설정이 가장 좋았는데, MSI의 OSD 설정화면도 매우 깔끔하고
보기좋게 정리된 모습입니다. 메뉴화면이 충분히 크고, 글자 크기도 크기때문에 가독성이 좋습니다.
12가지의 FPS 에임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모드를 쓸 수 있습니다.
- 다양한 화면 모드, 프리셋 제공
- 시야각
모니터를 비교해보면 모니터가 작을 수록 시야각이 더 좁게 느껴지는 편입니다.
좌우 매우 넓으며, 상하 시야각도 나쁘진 않았습니다.
-빛샘테스트
커브드 모니터는 평면보다 빛샘이 좀 심해서 기본적으로 빛샘이 강한 IPS 패널로 커브드를 만들지 않는
다고합니다. 단일 샘플로 단정지을 수 없지만, 리뷰한 모니터는 커브드라해도 상단, 하단에 빛샘이 좀
있는 편 입니다.
- 소비전력 및 온도 측정
모니터 하단부 온도 35 ~ 41도 / 중앙 상단 온도 33~ 34
중소기업 32인치 QHD 모니터 쓴 적이 있는데, 모니터 화면을 만져보면 매우 뜨겁더군요.
제 경험상 모니터 온도가 높을 경우 여름철에 방안에서 듀얼모니터 쓰면 매우 덥습니다.
해당 모니터도 3시간 이상 사용한 후 만져보면 미지근한 온도이며, 정면의 온도를 체크해
보니 높지 않았습니다.
- 사용자 화면 모드, 네이버 메인화면 기준
밝기 100 / 75 / 30 / 0 소비 전력 측정 > 23.6 / 21.4 / 16.6 / 12.8
■ MSI 옵틱스 MAG241CR 총평
MSI 옵틱스 MAG241CR는 대기업 모니터지만 비교적 가격은 저렴하며, 미스틱라이트 기반 RGB LED 지원, 독자적인 스탠드 디자인입니다. 또한, 부가기능을 보면 어플 통한 OSD 설정, 보기 편한 OSD UI, 다양한 인터페이스 (USB 허브 지원), 내장형 헤드셋 걸이 등 다양하게 지원합니다. 다만, 예상과 달리 스탠드 기능 중에 피봇, 스위블이 없습니다.
VA 패널 게이밍 모니터로 넓은 좌우 시야각으로 비스듬하게 시청해도 화면 왜곡이 적으며
3000 :1 명암비와 sRGB 100%를 커버하여 깊이감 있고 농도 짙은 색감을 볼 수 있습니다.
144hz의 부드러움와 1800R보다 더 커브드한 1500R 디자인은 게임에 몰입감 하는 플러스 요인입니다.
물론, 화면이 작은 제품이라 1500R과 1800R의 차이는 예상대로 크진 않았습니다.
FPS 게임을 즐기기 좋은 144hz의 고주율과 영화, 드라마를 시청하기 좋은 시야각 넓고 색감 짙은
VA 패널, 1500R 곡률로 게임, 영화 시청 등 다목적으로 사용하기 좋은 제품입니다. 제품을 알아보면서
한가지 아쉬운 점은 무결점 제품이 따로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외에 24인치, 커브드, 대기업 브랜드,
144hz 모니터로 동스펙의 타사 대기업 모니터와 비교해도 가성비가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