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news.naver.com/read.nhn?oid=469&aid=0000467856&sid1=104&mode=LSD
그는 “일본인 관객 중 영화의 부유한 가족과 기생충 가족 관계에서 일본과 한국의 관계를 본 사람이 있었을지 모르겠는데 나도 바로 그랬다”며 “전후의 고도성장으로 선진국에 진입한 일본은 지상에서 사는 부유한 가족에, 일본과 개발도상국의 대륙 아시아 사이에 있는 한국은 반지하의 가족에 비유할 수 있다”고 봤다.
이어 “본 작품의 진면목은 반지하 가족과는 다른 형태로 부유한 가족에 기생하는 ‘지하 부부’가 나타나 반지하 가족과 지하 가족이 싸워나간다는 놀라운 비밀에 있다”며 “지하 가족의 남편은 부유한 가족의 IT기업 사장에게 심취해있는데 익살 맞게, 다소 추하게 그려진 이 지하 부부는 한국에서 엄격한 시선을 받으면서도 일본을 호의적으로 생각하는 ‘친일파 한국인’처럼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IT기업 사장의 무의식적인 경멸에 상처를 받은 기생충 가족의 아버지는 그를 찔러 가족을 붕괴시키는데, 일본에서 받는 차별의식과 국제 조약을 지키라고 강요하는 태도에 대한 분노나 도리를 초월한 일본에 대한 파괴 욕구를 묘사한 것 같다”며 “마지막에는 범죄자가 돼 지하에 도망친 아버지를 도우려 아들이 ‘내가 위대해져 대저택을 구입하고 지하실에 숨은 아버지를 구출한다’, 즉 ‘한국이 세계를 리드하는 선진국이 된다’고 아버지에게 맹세하면서 끝난다”고 했다.
시라카와는 “어디까지나 내 나름의 해석에 불과하지만 어쨌든 ‘기생충’은 한국 사회를 냉철하게 오려내면서 한국인의 심층심리까지 그린 중층적인 작품”이라며 “이런 작품이 아시아에서 태어나 영화의 세계적인 영예를 받은 것을 기뻐함과 동시에, 침체를 계속하는 일본영화에도 성원을 보내고 싶다”며 글을 마무리 지었다.
욕 나오게 만드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