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EPYC™ Cloud Adoption Grows with Google Cloud
오늘 기사 하나가 눈에 띄어서 가져와 봤습니다. AMD 관련해서 항상 궁금해 하는것이 과연 서버칩 시장에서 얼마나 선전하고 있는가 일 것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기사를 보면서 나름대로 의문을 풀기도 합니다. 기사의 내용은 Google 이 운영하는 Cloud 에 AMD EPYC 2nd 프로세스가 쓰였다는 겁니다.
그야말로 Cloud 시대 입니다. 과거에는 비싼 고가의 물리적 서버를, 보통 랙(Rack) 서버라고 부름, 구매해서 IDC 에 넣고 해야 했지만 이제는 그냥 웹을 통해서 서버를 원하는 사양만큼 실시간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Cloud 플랫폼의 가장 큰 강점이지요.
현재 저 세계적으로 Cloud 사업을 진행하는 삼대장이 있는데 Amazon, Goolge, MS 입니다. Cloud 시장이 얼마나 대단하냐하면 MS 의 경우에 OS, MS-Office 사업은 고정수입으로 정체되어 있지만 Cloud 사업은 계속 수익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래서 MS 의 주가도 창사 이래 최고치를 연일 갱신하고 있지요. 아마도 $200 를 넘어설것으로 보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새롭게 취임한 CEO가 완전히 사고의 전환으로 통해서 Cloud 를 기반으로 체질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 결과 입니다. MS-Office 도 Cloud 에서 돌릴 정도고, OneDrive 라는 저장소도 제공을 할만큼 이제 MS 에게서도 Cloud 는 뺄수가 없는 상태 입니다.
Amazon 이 운영하는 걸 AWS 라고하고 Google 은 GCP(Google Cloud Platform), MS 는 Azure 라고 합니다. 이 삼대장이 남아 있는 Cloud 시장을 가져가기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것이죠. Cloud 를 구축하는데는 물리적인 서버가 여전히 필요합니다. 그것도 아주 많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이 기업들은 대륙별로 리전(Region) 이라고해서 데이터센터를 통채로 짓거나 합니다.
이런 와중에 Google 이 N2D 라고 하는 GCP 내의 Cloud 서비스를 위한 프로세스로 AMD EPYC 2nd 프로세스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AMD (AMD) and Google Cloud today announced the beta availability of N2D VMs on Google Compute Engine powered by 2nd Gen AMD EPYC™ processors. The N2D family of VMs is a great option for customers running general purpose and high-performance workloads requiring a balance of compute and memory
- 출처: https://finance.yahoo.com/news/amd-epyc-cloud-adoption-grows-140010102.html
Google 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장사(?) 를 하기 때문에 각 대륙별 리전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대량으로 N2D 서비스를 구축해야할 테고 그러면 AMD 프로세스를 대량으로 구입해갈게 뻔 합니다. (돈 많은 구글이니까 뭐 그정도야 포켓 머니겠지만..)
Cloud 시장은 아직도 성장 가능성이 아주 많이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구글도 서울에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삼국지' 시작됐다
-출처: https://news.v.daum.net/v/20200219172243655
한국경제 신문의 오늘 기사 입니다. 구글이 서울에 자사의 Cloud 서비스를 위해 리전을 하나 더 생성할 거라는 소식 입니다. 이미 AWS, Azure 가 똬리를 틀어 자리를 잡아가는 시점에서 구글의 참전은 좁디 좁은 한국 땅이지만 세계 최고의 IT 인프라와 소비자들이 있는 이 곳을 그냥 놔둘 수는 없었던 것이죠.
이렇게 Cloud 분야를 보면 그야말로 지금도, 앞으로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너도나도 데이터센터를 지구 위에 많이 만들것이며 이러한 수요는 AMD 에게 매우 큰 기회로 작용할게 뻔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어제 저항선 $55 를 단번에 뚫고 최고치를 경신 19일 현재 개정전에서도 갭상승 출발을 예고하는 $57.69 를 보이고 있네요.
지난 보름전만 하더라도 월가에서는 불확실한 보고서라면서 오버벨류에이션, 그러니까 너무 이유없이 올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였습니다. 하지만 Cloud 시장을 보고 있노라면 월가의 예상과는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 증권사들은 현재 목표주가를 $63 -> $66 로 높여 잡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더군다나 현재 전세계적인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애플마져 실적하락을 걱정하는 가운데 나온 Cloud 시장의 흐름은 AMD 뿐만 아니라 NVIDIA, Intel 을 필두로하는 반도체 산업은 크게 흔들림 없이 성장할 거라는 예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보이네요.
코로나 사태로 소비가 줄고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한국의 삼성전자, 하이닉스등의 반도체 시장은 그런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전망 되네요. 삼성전자, 하이닉스 주가도 크게 하락하지 않고 선방 혹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겠네요.
ps, 정말 미국 월가의 분석은 믿을만한게 못되는듯.. 자고 일어나면 오르고 자고 일어나면 오르고.. ㅋㅋㅋㅋ 미국 개미투자자들 비아냥이 장난 아님요..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