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의 두뇌 역할을 하는 CPU는 크고 작은 작업을 통해 열기를 발산하게 됩니다.
CPU는 성능이나 공정에 따라 높은 발열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어떤 CPU를 사용하더라도 고장 나지 않을 수준의 적정 온도를 유지해 주는 것이 관건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CPU 쿨러로 발열을 제어합니다.
CPU 쿨러는 방열판에 열을 분산시켜 쿨링팬으로 식히는 '공랭식 쿨러'와 라디에이터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수랭식 쿨러'가 있습니다.
발열 해소에는 공랭식보다는 물로 냉각시키는 수랭식 쿨러가 앞서는 모습을 보이지만 안정성 측면에선 여전히 공랭식 쿨러가 높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수랭식 쿨러는 펌프의 수명도 고려해야 하고 일체형 수랭에선 희박한 일이긴 하지만 누수 관련 이슈도 염두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본 글에서 소개드릴 공랭식 CPU 쿨러는 30여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쿨링, 키보드 등 PC 주요 부품들을 생산해온 에너맥스社의 'ETS-T50 AXE ARGB'라는 쿨러입니다.
주요 사양으로 170만 개의 ARGB를 연동할 수 있어 시각적인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고, 트위스터 베어링 적용으로 저소음 구동. VGF와 VEF 냉각 효율 관련 특허 기술, TDP 230W를 지원하고 있어 RGB 튜닝뿐 아니라 준수한 발열 처리를 기대해볼 수 있는 쿨러입니다.
에너맥스 Enermax ETS-T50 AXE ARGB 살펴보기

에너맥스 ETS-T50 AXE ARGB는 블랙 색상과 화이트 색상으로 출시되었으며, 제품 패키지 레이아웃은 제품 이미지를 중심으로 주요 사양들을 간략히 기재되어 있습니다.
쿨러 전체 사이즈는 138.7(L)*112.5(W)*160(H) mm이며 부피가 큰 편에 속하는 타워형 쿨러입니다.
알루미늄 방열판 도장 마감 품질은 크게 흠잡을 부분 없이 깔끔하게 처리되어 있으며, 열기 배출에 효과적인 에어 가이드가 부착되어 있고,120mm 쿨링팬이 기본 장착되어 있습니다.

베이스는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10개의 히트 파이프를 통해 알루미늄 방열판으로 열기를 분산 시켜주는 구조입니다.

기본 장착된 에어 가이드와 120mm 쿨링팬은 사이드 고정 클립을 살짝 들어주면 손쉽게 제거 가능합니다.

히트 싱크 사이즈는 135.2(L)*65(W)*160(H) mm이며 사용하시는 PC 케이스가 160mm 쿨러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케이스 옆판이 닫히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니 반드시 160mm 쿨러 지원 여부를 체크하셔야 합니다.
트위스터 베어링 120mm 쿨링팬
120mm 쿨링팬은 9개의 High Pressure 블레이드로 높은 풍압을 생성하며, CPU 발열에 맞춰 500~1600(+-10%) RPM PWM 방식으로 쿨링팬 회전속도가 자동 조절됩니다.
아울러 트위스트 베어링 (Twister Bearing) 기술로 소음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통상 슬리브 베어링이나 볼 베어링보다 소음에 강한 베어링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소음 구성에 효과적입니다. (스펙상 소음은 14dB~24dB)
VGF, VEF 특허 기술력 접목

VGF(Vortex Generation Flow)라는 특허기술은 히트 파이트 굴곡을 통해 공기 대류 속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냉각 성능을 높이는 설계 방식입니다.
아울러 뜨거운 공기를 모아서 한 번에 배출하는 VEF(Vacuum Effect) 특허기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원활한 열기 해소와 쿨링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설치 방법 및 구동

에너맥스 Enermax ETS-T50 AXE는 인텔과 AMD 최신 소켓을 지원하며, INTEL LGA2066/2011-3/2011/1366/1156/1155/1151/1150 AMD AM4/AM3+/AM3/AM2+/FM2+/FM2/FM1 플랫폼을 지원합니다.
설치 방법은 인텔 1151 메인보드에 장착하면서 말씀드릴 텐데 AMD는 브래킷이나 가이드만 다르고 방식 자체는 같기 때문에 참고하시는데 큰 문제는 없으리라 예상됩니다.

설치 관련 볼트와 너트, 브래킷, 서멀 그리스.

설치에 앞서 에어 가이드와 120mm 쿨링팬을 제거해 주시기 바랍니다.(제거 안할시 장착 불가)
메인보드 뒷면은 설치 브래킷 나사와 절연 와셔를 이용하여 고정합니다.
그 후 앞 면에 너트를 끼웁니다.

쿨러 가이드를 장착하시고 너트로 조입니다.

서멀 그리스를 CPU 표면에 도포하는데 많이 바르시지 않아도 되며, 고르고 얇게 펴질 정도로 도포합니다.
쿨러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줍니다.
히트 싱크 장착 모습.

이후 에어가이드와 120mm 쿨링팬을 체결해 주고 메인보드 5V RGB 헤더와 PWM 케이블을 연결해 주시면 마무리됩니다.
구형 메인보드를 사용하고 계신다면 4PIN PWM만 연결하셔도 RGB LED가 구동되니 이 부분 참고 바랍니다.


쿨러 부피가 제법 큰 편이지만 방열판이 부착된 메모리와 간섭은 없습니다.

한편 메인보드 방열판 가이드가 높은 편이라면 에어 가이드와 약간의 간섭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경우 에어 가이드 위치를 살짝 위로 조절해주시면 해결됩니다.

그 외 그래픽 카드와는 별다른 간섭이 없습니다.
ARGB LED는 메인보드 제조사의 조명 제어 프로그램과 연동이 되며,이를 통하여 약 170만 컬러의 화려한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RGB 조명으로 시스템 튜닝을 염두에 둔다면 체크 바랍니다.
상기 영상은 1분 분량의 에너맥스 Enermax ETS-T50 AXE ARGB 주요 특징과 RGB 구동 장면을 보실 수 있는 동영상입니다.
참고를 원하신다면 살펴봐주세요.
소음 관련

소음 측정은 고요한 새벽 밀폐된 공간, 팬리스 파워와 팬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CPU 쿨링팬만 회전하는 상황이며, 20cm 거리를 두고 관측하였습니다.

최저 속도인 500 RPM에서 14dB이며 1,100 RPM까지는 크게 거슬리지 않을 소음을 나타내며 풀 RPM에 가까워질수록 서서히 소음이 증가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 30dB 이하 낮은 소음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통상 20dB대 소음은 '모깃소리', 30dB대는 '속삭이는 소리'로 비유되니 이부분 참고 바라겠습니다
아울러 측정 장소가 무향실이 아닌 점을 감안한다면 정 스펙인 14dB~24dB 대비 약 10% 가량 오차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환경적 요인이라는 점 말씀드려봅니다.
TDP 95W 헥사코어 온도 테스트

온도 테스트는 I5 9600KF 헥사코어 TDP 95W CPU를 이용하여 관찰해보았습니다.

I5 9600 KF의 터보 부스터가 가동된 상황이며 시피유 클럭은 평균 4291GHz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AIDA 64 'Strees FPU' 옵션으로 CPU를 100% 풀 로드하였으며 그 결과 6개의 코어가 60도 후반에서 70초 초반의 온도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번에는 9600KF를 48배수로 오버클럭 한 상황입니다.
디폴트 CPU 세팅과는 달리 코어 당 500클럭이 상향되었으며, CPU 전압도 0.1V 증가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 최대 온도는 80도 중후반대에 육박하지만 평균 온도는 70도 초중반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정도 발열처리라면 흔히 얘기하는 국민 오버 클럭 수준은 무리 없이 사용 가능할 퍼포먼스를 갖췄다고 보입니다.
일반적인 사용뿐 아니라 오버클럭 시스템을 어느 정도 염두에 두신다면 참고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에너맥스 Enermax ETS-T50 AXE ARGB 특징 정리

에너맥스 ETS-T50 AXE ARGB는 170만 컬러의 화려한 RGB 조명을 탑재하였고, 최소 500~1600RPM(+-10%)의 트위스터 베어링 탑재로 저소음뿐 아니라 효과적인 쿨링을 노려볼 수 있는 CPU 쿨러입니다.
게다가 공기의 흐름과 배출 관련하여 특허 기술 VGF, VEF 기술이 접목되었는데 방열핀의 공기 배출 흐름을 용이하도록 타공을 하였고 거기에 직접적인 열기 배출을 위해 에어 가이드까지 장착되었습니다. 여러모로 쿨링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민한 흔적이 읽혀집니다.
실사용 온도 테스트 결과 양호한 온도를 보이며, 기본 설정뿐아니라 오버클럭 CPU에서도 준수한 발열 처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요컨대 발열 효율에 집중한 특허 기술과 TDP 230W의 공랭식 중급기 이상의 쿨링 성능. 그리고 RGB 조명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는 점 요약드리겠습니다.
그러면 준수한 쿨링과 ARGB 튜닝을 염두에 두신다면 참고가 되는 정보였길 바라며 마치겠습니다. 긴 글 관심으로 살펴봐주셔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