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젠 3세대가 L3캐시덕, 25600램덕 톡톡히 보는 것 같네요.
3세대부턴 친인텔게임으로 유명하던 배그도 라이젠이 최저프레임 잘 나오고 (램오버 하거나 25600램 쓰면 더 좋아지죠)
대표적인 싱글코어게임인 스타2까지도 최저프레임 방어측면에서 라이젠이 방어를 더 잘한다고 하네요.
http://cooln.kr/bbs/27/2751120?page=2
인텔 i5 9600K, 라이젠5 3500X 스타크래프트2 협동전 플레이를 해봤습니다.
스타2가 대표적인 싱글 코어 게임 중에 하나라고 해서 무료로 제공되는 범위 내에서 플레이를 해봤는데요
유닛이 많이 나오는 구간에서 테스트를 해보고 싶었지만, 협동전도 스테이지가 있어서 제가 선택할 수 있는
스테이지가 제한되어 있더군요.
잡설은 여기까지 하고
스타2 리플레이 파일을 통해서 동일 구간에서 실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풀옵)
실제로 램오버클럭 정도만 하는 편인데 이번에는 CPU, 램 모두 순정으로 세팅했습니다.
랑이젠5 3500X, i5 9600K에 글카는 RTX2070super로 플레이 했습니다.
인텔은 B360, 라이젠 A320보드
쿨러는 인텔은 겜맥스, 라이젠은 레이스 프리즘 쿨러
램은 인텔이 삼성 DDR4 2666, 라이젠은 마이크론 크루셜 DDR4 3200으로 진행했습니다.
가격에 대해서 오해가 있을 수 있어서 말씀드리면
3500X와 9600K를 비교했지만, 결국 내장그래픽이 필요 없는 테스트 였기 때문에
내장 그래픽이 없다는것을 감안하면 9600KF와 비교했다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내장그래픽 유무를 뺴고는 동일하다고 큰 차이없이 보시면됩니다.)
라이젠5 3500X가 18만원대 후반, 9600KF가 25만원이라 6~7만원 정도 라이젠이 더 저렴해서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긴 합니다.
CPU차이 외에 가장 큰 차이점은 라이젠이 일종의 램버프(?)를 받았다는 건데
라이젠 3세대 메모리 버스가 3200이기 때문에 램오버클럭 없이도 램을 꽂자마자 3200으로 인식이 되서
국민오버값까지 나옵니다. 인텔 메모리 버스는 2666이므로 2666의 강자 삼성램으로 선택했습니다.
라이젠 메모리 지원이 더 혜자스럽기 떄문에 램클럭에서는 저절로 차별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니 결과를 보실 때 이것을 고려하고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플레이 결과는 의외였는데, 라이젠5 3500X가 9600K보다 전반적으로 4~5프레임 이상 더 잘 나왔습니다.
평균, 최소, 최대, 1% LOW 모두 4~5프렝미 정도 라이젠5 3500X가 잘 나왔는데요.
개인적으로 순정으로 9600K를 사용한다고 하면 아주 추천하지는 않는 편이지만 결과가 이렇게 나오니 3500X가 이 정도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4~5프레임 성능차이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영상편집을 30FPS로 편집해서 둘 다 약간 끊기는 것 같긴하지만, 솔직히 둘 다 아주 잘 돌아갑니다. 다만 최저프레임 방어 측면에서 라이젠이 더 방어를 잘한다는게 스타크래프트 2에서도 통하네요.
싱글코어 게임인데 6코어 6스레드 사용에 있어서 인텔 9600K가 그나마 코어를 좀 더 잘 활용하고
라이젠5 3500X가 싱글코어만 더 집중적으로 갈구고 있고, 3500X순정 온도가 9600K 순정 온도보다
10도 정도 착했습니다. 라이젠 기본 쿨러중에서 레이스 프리즘 쿨러(2700X에 사용했던 녀석)로 장착했습니다.
(나중에 3500X 레이스 스텔스 쿨러로 레이스 프리즘과 온도차이가 얼마나 나는지도 한번 체크해봐야 겠군요)
이번 테스트를 찍으면서 느낀게 4~5프레임이 더 잘 나왔다고 게임은 라이젠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전 체감이 안됩니다.)
싱글코어 게임에서도 3500X가 상당히 선방했다고 볼 수 있고, 제 생각에는 라이젠 기본 지원 램클럭이 3200이라는게 긍정적인 역할을 크게 차지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게임이면 인텔로 가라고 맘편하게 말하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인텔 라이젠 둘다 만져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동일하게 초기 세팅해야하는 것도 번거로운게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맘편하게 인텔이 편하다고 말하기도 좀 애매합니다.
물론 초기 라이젠이 출시 초기에 드라이버랑 CPU 폼팩터가 바뀌는 과정에서 드라이버 문제가 있긴 했지만, 지금처럼 안정화된 시기에는 인텔이나 라이젠이나 동일한 것 같습니다. 오히려 램오버를 할 필요가 없다는 측면에서는 더 편하기까지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AM4소켓 호환하는 2021년 5세대 라이젠이 새로운 소켓과 새로운 cpu 라이젠을 기대하고 있긴 합니다만 지금으로서는 싱글코어용 게임으로는 라이젠 3세대로 충분합니다.(물론 지인에게는 개인적으로 가장 추천하는 건 라이젠5 3600입니다.
싱글코어 게임에도 라이젠5 3500X 정도면 인텔 9세대 i5 급 이상의 성능이 나온다고 볼 수 있고 어차피 2666램보다 3200램이 더 비싼것도 아니라서 가능하면 기본지원 램클럭 3200짜리로 가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삼성램 오버클럭하셔서 사용하면 클럭을 더 땡기면 되니까 그렇게 해도 되지만 저처럼 그것마저 귀찮은 범인이라면 겜용이면 맘편하게 검증된 3200 지원램으로 가는게 좋겠네요( 마이크론 크루셜 3200램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