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영상 챌린지'를 방불케 할 정도로 유튜브에 '사과 영상'이 쏟아지고 있다. 유튜브 '뒷광고' 논란에 대한 사과 영상이다.
'뒷광고'는 유튜브 콘텐츠를 만들 때 돈을 받고 제품이나 브랜드를 홍보하면서도 이를 고지하지 않는 콘텐츠를 말한다. 스타일리스트 한혜연씨와 가수 강민경씨 등 방송인 출신 유튜버의 광고 논란이 발단이다. 8월4일 유튜버 애주가참PD가 문복희, 쯔양 등 수백만 구독자 채널의 기만적 광고를 폭로하면서 유튜브 뒷광고 논란으로 번졌다.
'뒷광고' 비판 대상은 '기만적 리뷰 → 광고 고지를 하지 않은 콘텐츠 → 고지를 미흡하게 한 콘텐츠'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유튜브에는 광고 콘텐츠일 경우 '유료광고포함' 여부를 영상에 고지하는 기능이 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광고임을 고지하더라도 영상 설명 글에 '더보기'를 눌렀을 때 보이게 하거나 영상 말미에 언급하는 경우도 많았다.
사실 유튜브 '뒷광고' 문제는 새로운 논란은 아니다. 신문, 방송 등에서 기만적 광고와 협찬 문제는 비일비재하다. 인터넷 포털에 쏟아지는 기사 가운데 돈을 받고 쓴 기사로 위장한 광고(애드버토리얼) 역시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블로그 이용자들은 광고성 블로그를 거르는 방법을 체득할 정도다.
왜 유독 유튜브 '뒷광고'에 거센 후폭풍이 부는 걸까. 유튜브 채널 루루체체TV를 운영하는 유튜버 송태민씨는 "터질 게 터졌다. 오래 전부터 뒷광고 문제가 지나쳤다"며 "업계는 알았지만 시민 분들은 어느 정도인지 알지 못했다. 진짜라고 믿었는데 그게 아니었으니 배신감을 크게 느끼는 거 같다"고 했다. 미디어 교육을 해온 이성철 주감초등학교 교사는 "유튜버는 청소년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직접 소통할 수 있고, 구독과 채널 커뮤니티 이용을 통해 유대와 신뢰를 갖게 된다"며 "거짓 없이 정직하게 제품을 소개해왔다고 믿는 청소년들을 기만했다"고 지적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솔직함을 바탕으로 성장한 상황에서 광고성 콘텐츠가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배신감'이 커졌다. 크리에이터 개인에 몰입하는 유튜브의 특성이 팬덤 확산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강력한 반발로 이어지는 '양면성'이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6&aid=0000104170
이번에 진짜 제대로 문제가 된거 같은데 이전에 다른 매체에 있었던 문제와 다를바가 없어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