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단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경험하고 배워가는 노스타 인사드립니다.
항상 그렇지만 모르는 것을 하나씩 찾고 정리하면서 깨우치는 것이 많아 즐겁습니다.
이제 기본 쿨러로 충분히 쿨링이 가능한 놀라운 Ryzen 4650G 체험기를 시작하겠습니다.
르누아르(Renoir) APU 개요
+ : 6~8 코어의 그래픽 기능 추가
- : L3 캐시 용량 감소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겠지만 한정된 코어 면적에 GPU 기능을 추가하다 보니 L3 캐시 영역이 감소하였습니다.
따라서 외장 그래픽 사용 시 단독 CPU( 3600X) 보다 성능이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APU는 내장 그래픽 사용을 전제로 탄생된 제품이므로 단점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사실 APU로 6/8 코어 CPU를 지원한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입니다.
IF(Infinity Fabric) 최대 동기화는 1900MHz라 DDR4-3800MHz 초과하는 클럭에서는 1:1 동기화가 안되었지만 르누아르는 그 이상의 클럭도 1:1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제가 보유한 램은 4000MHz가 최대라 램타이밍을 AUTO로 확인해보니 1996MHz로 1:1 동기화 됩니다.
1. 4000G APU 종류
제품군을 보면 끝에 "E"가 붙으면 저전력 코어이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노트북을 겨냥한 35W 제품입니다.
"Pro"의 제품군은 OEM 생산을 위한 제품입니다. 현재 일반 판매 제품군은 아직 개인 판매가 시작되지 않았습니다.
2. APU를 지원하는 칩 종류
그럼 APU와 함께 사용이 가능한 메인보드 칩을 알아볼까요?
르누아르 APU가 장착 가능한 보드는 현재 공식적으로 A520/B550/X570 칩이 지원합니다.
향후 이전 4XX 칩셋도 Gen 3 CPU/APU를 BIOS update(One way, 업데이트 후 원복 불가) 하여 지원한다고 하였으나 아직 불확실하며 현재 공식적으로 확인된 내용은 없습니다.
사실 B450 보드의 BIOS가 지원되면 A520의 위차가 상당히 애매해집니다.
설사 추후 지원하더라도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오버클록/ 듀얼 그래픽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이 오버클록 불가입니다. 다코어 또는 오버클록을 위해 보드를 선택할 때 튼실한 전원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A520이 OC을 지원하지 않아 전원단이 보강되었다고 해도 의미가 크지 않습니다. 즉 고가의 B550/X570 보드를 찾을 필요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보강된 전원단을 원한다면 A520이 아니라 중급 라인인 B550 제품군으로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네요.
제가 실 사용하는 ASUS PRIME B450M 제품 또한 기본 전원단을 가지고 있는 제품이지만 6코어 CPU를 지원(1600X, 4.1GHz OC 시 최대 134W 전력 소비) 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4650G와 ASUS PRIME A520M-K는 가성비 조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슬롯이 2개뿐이라 우려를 하시는 분도 계실 겁니다. 뱅크 1개를 가지고 있는 보드가 메모리 OC이 조금 더 더 수월하다고 합니다.
체험기에 사용될 메모리는 삼성 DDR4-2666 16G 두 개입니다. B450 보드에서 3200MHz@1.3V ( 16-19-19-19 )로 사용 중인 제품입니다.
그럼 체험할 제품을 소개합니다.
- 라이젠 5 PRO 4650G
- ASUS PRIME A520M-K
상세 제품 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12069566
좌 측부터 PS/2 & USB 3.2 GEN 1 x2 , D-SUB, HDMI, USB 2.0 , 1G LAN / USB 3.2 GEN 1 x2, 오디오 출력
본격적인 리뷰에 들어가기 전에 전체적인 방향은 궁금한 부분에 초점을 맞춰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사실 모든 부분을 다루다 보면 다 비슷한 체험기가 되니 핵심적인 부분만 더 집중적으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1. PBO : 프리시전 부스트
이 기능은 A520에서 지원하지 않는 CPU 오버클록을 만회하는 아주 중요한 기능입니다.
기본 쿨러로 많은 분들이 이미 사용기를 공유하고 계시니 저는 커스텀 수랭을 통해 CPU 온도를 최대한 낮춰 얼마나 높은 PBO 클럭을 보여 주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커스텀 수랭으로 쿨링 시 CPU 온도가 50도이내에서 최대 부스트 클럭 4.3GHz까지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 BCLK ( Base Clock)을 AUTO(100MHz)로 설정 시 최대 부스터 클록 4 3 GHz
기본 쿨러로도 충분히 쿨링이 될 정도로 APU의 발열이 심하지 않습니다. Cinebench R20 구동 시 79도가 최대 온도였습니다. 처음부터 별도의 쿨러를 구입하지 마시고 기본 쿨러부터 사용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RAM 오버클록
사실 RAM OC이 A520 보드 사용 시 어찌 보면 가장 중요한 튜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PU+메인보드+RAM의 수율이 삼박자가 맞아야 좋은 결과가 결정되며 이미 고수율 메모리로 4400MHz 이상 정상 동작을 확인해 주신 분도 있으니 전 사무용/일반용 PC의 많이 사용된 삼성 DDR4-2666 16G M 다이 메모리 2 개를 사용하여 메모리 오버클록을 시도해보겠습니다.
기존 1600X+B450에서는 부팅이 불가했던 3600MHz으로 윈도우 진입은 하였으나 안정화에서 실패하였고 결국 B450에서 최적화한 3200MHz( 16-19-19-19-34-62, 1T) @ 1,3V 동일한 클럭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M 다이 삼성 메모리의 한계라고 봐야겠습니다.
최근에는 3200MHz 메모리가 대중적이니 가성비로 가장 좋은 선택으로 생각됩니다.
3400MHz - 3600MHz - 3800MHz ,..... 시도해 보시고 램타임을 조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RAM 2666MHz VS RAM 3200MHz]
고클럭 메모리가 CPU-Z 는 1% , 시네벤치는 4% 성능향상이 확인되었습니다.
3. GPU 성능
앞서 메모리 OC의 결과를 먼저 확인한 이유는 GPU 성능에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APU는 별도의 GPU 메모리가 없고 메인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APU의 그래픽 성능 향상은 메인 메모리의 OC의 결과가 모두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고가의 고수율 메모리를 구매하는 것보다 가성비 외장 그래픽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한 단계 더 높은 4750G를 선택하는 것이 가성비 측면에서 유리해 보입니다.
<메모리 클럭에 따른 3DMark Fire Strike 결과>
- 2666MHz : 3303
https://www.3dmark.com/fs/23377565
- 3200MHz : 3625 ( 약 10% 향상 )
https://www.3dmark.com/fs/23377685
4. 르누아르 기반 Vega GPU는 여전히 플루이드 모드를 지원합니다.
설정은 Bluesky Frame Rate Converter로 검색해서 찾아보세요.
5. 다중 모니터 출력
내장형 GPU는 기본으로 듀얼 모니터를 지원합니다.
메인보드의 HDMI 와 D-SUB 모니터 출력 단자를 통해 두 개의 모니터 출력이 가능합니다.
- BIOS Advance mode의 NB configuration 메뉴의 내장 GPU 듀얼 디스플레이 지원 : Enable
6. 그래픽카드 추가
PCIex16 슬롯에 RX 5700XT를 추가 후 BIOS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습니다.
- GPU 우선순위 : IGFX Video ==> PCIe로 설정
- 내장 GPU 메모리 크기 설정 : 32G RAM을 시용 중이어서 충분하게 4Gbyte를 할당
두 개의 GPU가 정상 인식되었습니다.
지금부터는 수랭을 사용하여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Fire Strike ( 5700XT Core :2150MHz@1180mV, GPU Memory : 1800MHz)
그래픽 점수는 29,365 / 피직스 점수 : 20,114 / 총 23,299입니다.
3D Mark 사이트에서 3600X + 5700XT 조건 조회 시 평균 점수는 22,059이니 준수한 결과입니다.
Time Spy Stress Test에서 CPU 온도는 40 ~ 58도로 상당히 안정적이었습니다.
내장 GPU는 사용이 되지 않아 평균 온도가 37도로 측정되었습니다.
7. MVMe 전송 속도 : PCIe 3.0 x 4
WD SN750 Black : 정상 속도
M.2슬롯은 x4PCI Express3.0 대역폭을 통해 최대 32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 뻘짓
끝으로 APU에 커스텀 수랭을 하실 분은 없겠지만 재미 삼아 4650G의 끝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다만 날씨가 더워 냉각수가 30도를 넘어 개인적으로는 많은 아쉬움이 남기도 했습니다.
조금 더 좋은 수치를 보여드리기 위해 튜닝램도 구매했는데 문제가 있어 수리가 필요하네요.
추후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전 시금치만 사용해서 이럴 땐 아쉽네요.
- BCLK 105MHz
- RAM 3260MHz @ 1.35V ( 16-19-19-19-34-62-1T )
- BCLK ( Base Clock)을 105MHz로 설정 시 최대 부스터 클록 4 515GHz
: BCLK을 통한 오버클록은 CPU 클럭 배수 방식의 공식 오버클록을 지원하지 않았던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된 방식입니다.
말 그대로 기본 클록을 변경하는 것이라 RAM을 포함한 여러 칩에 영향을 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커스텀 수랭 사용 시 105MHz까지 사용 가능했습니다. 모든 성능이 5% 개선됩니다.
APU의 내장 GPU가 기본 클록 OC에 매우 민감해 보였습니다.
CPU-Z
- Single : 551
- Multi : 4,355
Cinebench : 3729
3D BenchMark Fire Strike : 3,649
5700XT 3D BenchMark Fire Strike : 23,764
( 개조 ROM 사용 : Core(2230MHz), Memory(1942MHz)
https://www.3dmark.com/fs/23382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