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_김승미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휴대전화 위치확인 정보(기지국 접속기록)가 사전 고지·동의 없이 축적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는(<한겨레> 8월31일치 19면) 가운데, 이동통신사들이 빅데이터 사업을 위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기지국 접속기록 삭제 없이 해당 정보를 축적하고, 경찰과 질병관리본부 등에 제공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통사 내부에서도 “빅데이터 사업을 위해 가입자의 민감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기지국 접속기록을 축적하는 행위인만큼, 사전에 따로 고지와 동의 절차를 거쳐야 했다”는 뒤늦은 반성이 나온다.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즉시 연결을 위해 각 가입자의 휴대전화가 현재 어느 기지국에 물릴 수 있는 상태인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휴대전화가 자신의 정보를 실은 전파를 정기적으로 발사하는데, 가까운 기지국이 받아 네트워크로 보낸 정보가 기지국 접속기록이다. 이를 활용하면 가입자의 시간대별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특정 지역에 있었던 가입자들을 시간대별로 뽑아낼 수 있어 매우 민감한 개인정보로 간주된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주요 이통사 고위 임원은 1일 <한겨레>에 “실제 이뤄진 통신이 어느 기지국을 경유했는지 등에 대한 정보는 과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고, 기지국 접속기록은 네트워크 쪽에 따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로우 데이터(가입자 확인이 안되는) 형태로 축적해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기지국 접속기록은 현재 데이터만 두고 삭제하거나 가끔 통신망 업그레이드 뒤에 하루 이틀 축적해 네트워크 품질 상태를 파악하는 용도로만 활용했는데, 2000년대 후반 이통사들이 빅데이터 사업에 눈을 뜨면서 축적 기간을 늘려 지금은 3개월까지 보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8&aid=0002511093
중국을 비난하고 불안할 필요가 없었네요. 통신사도 마찬가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