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작하면서
CNPS 10X의 특징입니다. 인텔 메인보드와의 호환성 개선과 상단 커버뿐만 아니라 팬에도 RGB 효과가 적용되었으며 듀얼 블레이드 팬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텔 메인보드와의 호환성이 개선되었다고 하는 데 제가 AMD 제품을 가지고 있는지라 확인해보지는 못했네요.
램의 방열판과 메인보드의 방열판에 따라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메인보드에 장착해서 확인해보니 방열판이 있으면 마지막 슬롯의 램과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겠더군요. 그럼 밑에서 CNPS 10X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CNPS 10X OPTIMA II RGB의 스펙
박스 전면의 모습입니다. 제품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매우 조용한 쿨러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군요. 실제로 사용해보니 상당히 조용한 CPU 쿨러라고 느꼈습니다.
박스 뒷면의 모습입니다. 다양한 나라의 언어로 제품의 특징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박스 옆면의 모습입니다. 한쪽에는 제품의 스펙이 적혀있고 한쪽에는 제품의 특징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구성품은 크게 팬과 타워, 설치용 나사 및 사용설명서로 되어 있습니다.
인텔과 AMD를 동시에 지원하기 때문에 백플레이트를 비롯하여 다양한 클립과 나사 그리고 Y 케이블이 들어 있습니다.
사용설명서에는 제품의 스펙과 구성품, 그리고 각 플랫폼에 맞게 설치하는 방법이 적혀있습니다.
팬의 정면 모습입니다. 제가 받은 제품은 화이트 색상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화이트로 도색이 되어 있습니다.
제품의 모서리에는 진동 방지용 고무가 붙어 있으며 고무 또한 화이트 색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팬은 안쪽에 작은 날개가 바깥쪽에는 큰 날개가 있는 데 잘만에서는 듀얼 블레이드라고 부르고 있으며 특허 기술이라고 하는군요. 일반 팬에 비해서 냉각 성능 향상과 소음 감소의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팬의 뒷면의 모습입니다. 뒤쪽에도 진동 방지 고무가 붙어 있으며 팬의 모델명이 적혀있습니다. 베어링은 Hydraulic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다고 적혀있네요.
방열 타워의 모습입니다.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 팬을 장착하는 나사 홀이며 이 방향에 맞춰서 쿨러를 설치해야 합니다.
좌/우 옆면에는 CNPS10X OPTIMA II라는 글자가 음각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보면 히트파이프가 보이지 않게 커버가 있으며 RGB 효과를 투과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옆으로 전원 선이 빠져나와있으며 구성품 중 Y자 케이블을 이용하여 LED 전원을 공급하게 됩니다.
CPU에 접촉하게 되는 베이스의 모습입니다. 총 4개의 히트파이프를 사용하고 있으며 히트파이프와 CPU가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DTH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방열핀은 일정 간격으로 촘촘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마감도 잘 되어 있는 느낌입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 AMD 라이젠 3600이기 때문에 AMD 전용 클립을 장착하였습니다. 사용설명서보다는 상품 설명의 사진이 좀 더 직관적이라서 이 사진을 보고 장착하는 게 좋습니다.
실제로 떼어보면 클립에 있는 홈을 이용하여 베이스 부근에 결합하게 되어 있습니다.
AMD 용 클립을 결합한 모습입니다.
백플레이트에 너트를 먼저 넣고 사이드 캡으로 고정시켜줍니다.
사이드 캡에 R / L로 장착해야 하는 위치가 적혀있으며 사이드 캡을 완전히 내렸을 때 딱 맞게 돼야 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입니다. 사용설명서를 읽지 않으면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습니다.
사이드 캡을 다 장착하였다면 사용설명서를 참조하여 로딩 블록을 장착합니다. 메인보드에 붙이기 전에 구성품 중 양면테이프를 미리 로딩 블록 위로 붙여둬야 합니다. 백플레이트가 메인보드에 달라붙어있도록 하기 위함인듯하네요.
AMD 메인보드에 기본적으로 달려있는 백플레이트를 제거하고 CNPS 10X의 백플레이트를 붙여줍니다. 쿨러 정착 전에 써멀구리스를 도포해 주시고요.
쿨러를 올린 후에 구성품 중 긴 나사를 이용하여 쿨러를 고정하여 줍니다. 기본적으로 대각선으로 하나씩 헐렁하게 조여준 후에 4군데에 모두 나사를 장착하면 약 2회에 거쳐서 천천히 나사를 조여주도록 합니다.
타워가 장착되었다면 팬을 결합해 줍니다. 화살표처럼 총 4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해 주시면 됩니다.
Y자 케이블에 타워에서 나오는 케이블과 팬의 4핀을 연결하여 준 후에 메인보드의 CPU 4핀에 꼽아줍니다. 케이블이 조금 남기 때문에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정리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부 조립한 후의 모습입니다. 검은색 케이스 안에서 하얀색 쿨러가 돋보이며 케이스도 하얀색을 사용하신다면 색맞춤을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쿨러의 LED만 켰을 때의 모습입니다. 팬과 쿨러 커버에서 RGB 효과가 나오며 고정 RGB가 아닌 계속 색상이 바뀌는 모습입니다.
케이스 팬의 LED까지 작동시켰을 때의 모습입니다. CNPS 10X의 LED는 색상이 뚜렷하다기보다는 은은한 느낌이며 AUTO RGB 효과로 다양한 색상을 보여줍니다.
컴퓨터를 켜고 10분 후에 측정한 온도입니다. 팬은 937RPM으로 돌고 있었고 CPU 온도는 36도로 확인됩니다.
시네벤치 R20을 돌렸을 때의 모습입니다. 온도는 최대 72도까지 상승하였으며 팬의 RPM은 1496까지 상승하였습니다.
AMD CPU에 가장 큰 부하를 줄 수 있는 PRIME95를 스몰로 설정하여 AVX1만 주고 약 20분간 돌린 온도입니다. 온도는 최대 83도까지 올라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 상황에서 보기 드문 상황이긴 하지만 83도까지는 컴퓨터를 사용하지는 데 지장이 없는 온도이지요.
- 20년 9월 다나와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