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왼쪽), 제니퍼 A 다우드나.
한국 최초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는 아쉽게도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수상자 발표 직전까지 올해는 나노기술 개발에 공헌한 현택환 서울대 교수가 선정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었다.
2020년 노벨 화학상은 유전자 가위 개발에 공헌한 프랑스와 미국 여성 과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 과학아카데미는 7일(현지시간)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박사와 제니퍼 A 다우드나 박사를 공동 선정했다. 프랑스 출신인 샤르팡티에 박사는 현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병리학 교실에 재직 중이며, 다우드나 박사는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수다.
노벨위원회는 이날 "두 과학자가 유전자 기술의 가장 정교한 도구 중 하나인 크리스퍼 카스 9(CRISPR Cas9) 유전자 가위를 개발했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이 유전자 가위를 통해 동물과 식물, 미생물의 DNA를 매우 정밀하게 바꿀 수 있게 됐다.
위원회는 크리스퍼 카스 9 유전자 가위가 생명과학에 혁명적 영향을 미쳤으며 새로운 암 치료에 기여하고 유전병 치료의 꿈을 실현시킬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두 과학자는 유전자 가위 툴로서 적용할 수 있게끔 보편화시켰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4&aid=0004506966
처음부터 기대는 안했는데 많이 아쉬울 수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