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제품 제조, 디스플레이 외 부품 필요…화웨이, 고사 위기 여전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미국 정부의 화웨이 거래 허가를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이다. 실익은 미미할 전망이다. 완제품은 디스플레이만 있다고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른 부품을 구매할 수 없는 화웨이가 디스플레이만 구매할 일은 없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미국 상무부로부터 중국 화웨이 거래 허가를 받았다. 국내 업체 중 처음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는 아직이다. 해외 업체도 인텔 AMD 정도가 허가를 얻었다.
미국은 지난 9월 화웨이 제재를 강화했다. 미국 기술과 장비를 사용한 반도체를 화웨이에 팔지 못하도록 했다. 미국 기업이 아니어도 해당한다. 위반하면 미국과 거래 금지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사정권에 들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패널 구동을 위한 시스템반도체(DDI, 디스플레이구동칩)가 들어간다.
이번 일이 알려진 직후 화웨이 숨통을 터줬다는 평가가 우세했다. 미국이 중국에 유화 신호를 보냈다고 보는 시각이다. 그러나 이는 산업에 관한 이해 부족이 불러온 오해로 여겨진다.
스마트폰 제조를 위해선 수백개의 부품이 필요하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핵심부품이지만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1개만 없어도 생산이 불가능하다. 삼성디스플레이 거래 재개가 의미가 없는 이유다. 모든 부품을 수급할 수 있어야 화웨이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다. 스마트폰만 보면 화웨이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D램 ▲낸드플래시 ▲이미지센서 등을 조달 못하는 상황은 그대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138&aid=0002093668
실제로는 큰영향을 주지 않는곳에 거래를 허가해 명분만 취한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