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캔자스시티에는 '얼굴 없는 산타'로 불린
래리 스튜어트(1948~2007)가 있었습니다.
한때 성공한 사업가였던 그는 사업 실패로
하루아침에 노숙자가 되었습니다.
추운 겨울, 배고픔을 견디지 못한 그는
돈 한 푼 없이 식당에 들어가 음식을
주문했습니다.
계산할 돈이 없어 지갑을 잃어버린 척하자,
주방장은 20달러를 건네며 말했습니다.
"손님, 바닥에 돈을 떨어뜨리신 것
같습니다."
그 따뜻한 친절은 그의 인생을 바꿨습니다.
이듬해, 스튜어트는 추운 날씨에 외투도 없이 일하던
여종업원에게 20달러를 팁으로 건네자,
"이 돈이 제게 어떤 의미인지 선생님은 모르실 거예요"라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날 이후, 그의 크리스마스는
'받는 날'이 아닌 '나누는 날'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그가 26년 동안 나눈 금액은
약 15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식도암 투병 중이던 2007년 마지막 해에도
그는 여느 때처럼 거리로 나가 어려운 사람들에게
돈을 나눠주는 선행을 베풀었습니다.
그가 세상을 떠난 뒤, 그의 뜻을 이어
'비밀 산타 재단'이 만들어졌으며
지금도 미국 곳곳에서 수많은 얼굴 없는 산타들이
그가 남긴 따뜻한 마음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가장 어려운 선행은 누구도 알아주지 않고,
아무도 보지 않는 곳에서 실천하는 것 같습니다.
보이는 곳에서 한다고 해서
선행의 의미가 퇴색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는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외면하는 것에
있을 것입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선행을 실천하는 분들이 늘어난다면
세상은 지금보다 훨씬 밝아지지 않을까요?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지금 그런 분들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갑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