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겨울의 문턱에 섰다. 찬바람이 불면 사람들은 옷장을 정리하고, 자동차는 배터리를 점검하며 계절을 맞을 준비를 한다. 그러나 매일 다루는 디지털 데이터는 어떨까? 기기 고장, 랜섬웨어, 단 한 번의 실수로도 사라질 수 있는 소중한 정보는 여전히 무방비 상태인 경우가 많다.
눈에 보이지 않는 데이터도 ‘월동 준비’가 필요하다. 실수한 번이면 사라질 수 있는 우리의 정보도 백업과 같은 ‘월동 준비’가 필요하다. 올 겨울, 우리의 컴퓨터와 서버는 안전한 백업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자.
데이터 백업은 단순한 복제가 아니라, 예기치 못한 손실에 대비하는 보험이다. 하드웨어 오류, 바이러스 감염, 인적 실수, 자연재해 등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으며, 피해는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크다. 그럼에도 여전히 많은 기업이 RAID 구성이나 이중화 시스템을 백업으로 오해한다.
RAID는 디스크 장애에 대비해 복구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하드웨어 손상 시 시스템을 빠르게 복원할 수 있다. 하지만 원본 데이터가 삭제되면 RAID 역시 그 데이터를 되살릴 수 없다. 이중화 또한 실시간 복제에 가깝기 때문에, 삭제나 암호화 공격이 발생하면 복제본까지 함께 손상된다.
진정한 백업은 별도의 저장소에 데이터 사본을 만들어 두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이 완전히 마비되더라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복구 지점’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3-2-1 백업 원칙, 가장 현실적인 생존 전략
가장 널리 알려진 백업 전략은 ‘3-2-1 원칙’이다. 즉, 데이터의 원본과 사본을 포함해 총 3개의 복사본을 만들고, 이를 서로 다른 2개의 저장 장치에 분산 저장하며, 그중 1개는 네트워크와 완전히 분리된 오프라인 공간에 보관하는 방식이다.
이 원칙은 미국의 사진작가 피터 크로그가 제안한 개념으로, 오늘날 기업용 데이터 보호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완벽한 시스템을 한 번에 구축하기 어렵다면, 기업의 규모와 리소스에 맞춰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좋다. 중요한 것은 ‘언제든 복구할 수 있는 체계’를 확보하는 일이다.
기업 데이터를 위한 7단계 백업 보안 체크리스트
백업은 단순히 데이터를 복제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백업된 데이터가 공격당하거나 변조될 위험으로부터 안전해야 진정한 백업이라 할 수 있다.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데이터 백업 보안 7단계’는 다음과 같다.
1. 다단계 인증(MFA): 관리자 계정 접근을 보호하는 1차 방어선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여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