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rod.danawa.com/info/?pcode=73883666
▶ 1부 개봉기 ◀
▶ 2부 활용기(스마트) ◀
삼성전자 오디세이 다나와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계속해서 삼성 게이밍 모니터를 살펴보고 있는데요. 엔비디아의 RTX50 시리즈와, AMD 라데온 RX 9000 시리즈 그래픽카드의 등장으로, 고해상도 게이밍 시장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게이밍 모니터 시장 세계 1위 매출을 기록한 삼성 역시, 4K 해상도 이상의 제품들을 대거 선보이고 있습니다. 여기에, 삼성은 보다 높은 효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포지션에 위치한 제품에, 타이젠 OS를 접목시켜 더욱 활용도 높은 고해상도 모니터를 완성했는데요.
약 4주간의 시간 동안 살펴보고 있는 삼성 오디세이 G7 G70D는, 32인치와 27인치 두 가지 크기로 출시되었으며, 4K UHD 해상도와 144Hz라는 강력한 성능으로 주목받는 게이밍 모니터입니다. 빠른 응답속도의 Fast IPS 패널을 바탕으로, PC나 콘솔 게임기, 클라우드 게임 등 다양한 활동에서 최고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며, 스마트 허브 지원으로 스마트 TV나, 워크로드 구성에도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쓰임새를 자랑하는 스마트 게이밍 모니터죠. 이번 시간에는, 그 근본이 되는 게이밍 모니터로서의 성능을 통해, 최신 그래픽카드인 RTX 50시리즈나 라데온 9000 시리즈와 사용 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2인치 4K 모니터인 S32DG700 모델로 이번 삼성전자 오디세이 G7의 상세 스펙을 살펴보면, 1,000:1의 명암비와 DCI-P3 99%의 준수한 색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IPS 패널을 탑재해 넓은 광시야각을 제공하고, 특히, 350cd의 표준 밝기와 VESA DisplayHDR 400의 암부 표현으로, 보다 사실에 가까운 화면을 제공합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공장 캘리브레이션 레포트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신뢰감을 바탕으로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요.
해당 제품 역시, HDR10과 HDR10+ Gaming을 지원하면서, HDR 콘텐츠에 더욱 최적화된 게이밍 모니터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언리얼 엔진을 통해, 프리미엄 HDR 포맷의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기본 HDR10 외에도 HDR10+와 돌비 비전을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된 요즘인데, HDR10+ Gaming 기술은 삼성이 주도하는 만큼, TV, 모니터 등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출력 장치를 이해할 수 있는 삼성의 기술력을 토대로, 최고의 시각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HDR10+ Gaming은, 게임 엔진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최적의 HDR 화질을 자동으로 적용하는 기술인데요. 이는, 일부 장면이 원작자의 의도보다 어둡게 보일 수 있는 기존 HDR10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고, 최적의 명암비와 색채감으로 게임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때문에, 게임 장르나 옵션, 장면에 따라 모니터를 설정할 필요 없이, 해당 기술을 적용한 게임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해당 게임에 최적화된 HDR 화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게이머로서는 상당히 반가운 부분인데요. 현재는 사이버펑크 2077나 레드 데드 리뎀션 2에 이어, 넥슨의 퍼스트 디센던트 등 다양한 게임과 게임 엔진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 오디세이는 현재는 물론, 앞으로의 게이밍이 더욱 기대되는 부분이기도 하죠.
이번 삼성 오디세이 OLED G7 G70D의 최적 해상도는 3,840x2,160의 4K UHD 해상도로, 해당 해상도에서 최대 144Hz의 높은 주사율을 지원하는데요. 지싱크 호환 및 프리싱크 프리미엄 인증을 받아, DP와 HDMI 연결 모두에서 지원 주사율 범위 내에 테어링 현상 없는 부드러운 게임 환경을 보장합니다.
리뷰에서는 RTX 5070과 RX 9070 XT, RTX 7800 XT 등 최신 외장 그래픽카드를 사용해, 실제 4K 게이밍 환경을 연출해 봤는데요. 최근에는 그래픽카드 제조사에서도, AI를 도입한 업 스케일링과 프레임 보간 기술 등을 통해, 고해상도와 높은 프레임을 모두를 잡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AMD는, 전용 소프트웨어인 아드레날린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AFMF 프레임 생성 기술과 업스케일링, FidelityFX 후처리 기능이 통합된 HYPR-RX로, 보다 손쉽게 수준급의 이미지 결과물을 얻을 수 있고, 엔비디아 역시, DLSS 4를 활용한 업스케일링과 더욱 향상된 MFG 기술로, 이론상 프레임 레이트를 4배 높일 수 있죠.
리뷰에서는 레이트레이싱과 업스케일링, 프레임 생성 등을 지원하는 몇 가지 게임을 통해, 삼성 오디세이 G7이 제공하는 시각적 경험을 체험해 봤는데요. 최신 그래픽카드는 UHD의 높은 해상도에서도 준수한 프레임을 제공하며, 여기에 프레임 생성과 업스케일링 기술이 더해져, 사용자의 환경에 최적화된 게임 환경을 제공합니다. 마블 라이벌스 게임을 직접 플레이해, 프레임 생성 옵션의 적용 유무를 비교해 보면, 풀옵션을 적용한 UHD 해상도에서 평균 2.8배 향상된 프레임을 제공해, 오디세이 G7의 주사율을 웃도는 높은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높은 시스템적 부담을 요구하는 레이 트레이싱 구현에서도 준수한 모습을 보이면서, 게이밍 모니터가 구현할 수 있는 성능과 기능들을 모두 활용한 차세대 게이밍 경험이 가능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고주사율의 게이밍 모니터는, FPS나 레이싱 장르의 게임 플레이에서 그 빛을 발하는데요. 특히, 찰나의 순간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게임에서는 이와 못지않게 응답 속도 역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입니다. 삼성 오디세이 G7은 1ms(GTG)의 응답속도를 지원한다고 표현하고 있는데요. 실제 간이 테스트를 통해 모니터의 응답 속도를 살펴보면,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표준과 빠르게 모두 비교적 눈에 띄는 잔상 없이 깔끔하게 표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디스플레이 측정이 가능한 하드웨어 커뮤니티 퀘이사존에서 공개한 정보에서도, Fast IPS 다운 빠른 응답 속도로 측정된 디스플레이 품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SD도 살펴봤는데요. 스마트 게이밍 모니터인 삼성 오디세이 G7은 게임에 특화된 기능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게임바 라는 별도의 OSD를 제공합니다. 리모컨 사용 시, 재생/일시정지 버튼을 길게 눌러 언제든 호출할 수 있죠. 해당 메뉴는 게임 장르(화면 모드)와 조준점 표시하기, 화면 비율, 미니맵 확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아래로 현재 출력 중인 해상도나 주사율, HDR 및 가변 주사율 기능의 작동 여부가 함께 표시되고 있어, 별도로 제어판 등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 편리합니다. 화면 비율의 경우 기본 16:9가 적용되어 있지만, 자체적으로 21:9 비율을 적용할 수 있어, 마치 30인치 크기의 21:9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를 연출할 수도 있죠.
상세 메뉴는 각 항목에 맞게 깔끔하고 직관적으로 분류되어 있는데요. SDR과 HDR 컨텐츠를 구분해, 약간의 기능적 차이가 있으며, HDR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원작자의 의도한 화면이 반영될 수 있도록, 별도로 게임 장르, 즉 화면 프로필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일반 SDR 컨텐츠의 경우에는, 게임 장르에서 에코와 표준 RPG, RTS 등 다양한 프로필을 제공해, 장르에 최적화된 화면 톤으로 한 번에 조절해 사용할 수 있고요.
게이밍 모니터인 만큼, 게임 진행에 활용하면 좋을 기능들도 몇 가지 제공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FPS 게임은 총기 반동에 따라 조준선이 크게 벌어지는 경우가 많고, 특히, 비전투 상황에서는 조준점이 사라지기도 하는데요. 조준점 표시하기 기능을 사용하면 화면에 가상 십자선을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도 더욱 빠르고 쉽게 대응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어두운 공간에 숨겨진 적을 찾을 때 활용하면 좋을 블랙 이퀄라이저 기능이나 화면 인식을 통해 동기화가 가능한 코어 라이팅 등 게임에서 함께 활용하면 좋을 기능과 기본 모니터 설정 등을 더보기에 포함시켜, 게임 중에도 모니터와 관계된 다양한 설정이 가능토록 했고요.
이렇게 해서, 32인치 4K 게이밍 모니터 삼성 오디세이 G7 G70D를 사용해, UHD 해상도로 게임을 즐겨봤는데요. 해당 제품은, 준수한 색재현력과 HDR 구현을 바탕으로, 게임 진행시 원작자의 의도에 가장 적합한 화면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높은 주사율과 빠른 응답속도를 제공해, 다양한 게임을 부드러운 화면으로 만끽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게임 특화 기능으로, 게임 진행을 보조하면서, 다양한 차세대 기술과 함께, 최고의 게이밍 경험을 만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고요. 다음 시간에는 삼성 게이밍 모니터를 4주간 체험해 본 소감으로, 해당 제품을 총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