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포스팅은 지클리커로부터 제품을 지원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저는 게임을 잘하는 편이 아니라 좋아하는 쪽이어서 게이밍 장비는 그냥 대충 굴러가는 걸 쓰는 편입니다. 그 때문에 대부분의 게임에서 하위 티어를 찍고 있는데요. 즐겜러여서 상관없지만, 마음 한 편이 쓰리긴 합니다.
그러다가 새로운 게이밍 마우스를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오랜만에 기존에 사용하던 G304이 아닌 초경량 게이밍 마우스라는 타이틀을 내건 지클리커의 OP200 마스터를 잡아봤는데요. G304의 무게는 99g인데, OP200의 무게는 40g으로 수치만 놓고 보면 차이가 엄청 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과연 이 녀석을 손에 쥐면 나의 둔한 몸뚱이가 어떤 반응을 일으킬지 궁금했는데요. 잡아서 휙~ 움직이는 순간 이거 진짜 가볍다는 생각이 머리를 스쳐 지나갔습니다. 몇 번이나 원래 사용했던 마우스와 OP200 마스터를 번갈아 쥐면서 신기해했는데요.
솔직히 갑자기 마우스 무게가 가벼워져 약간의 이질감이 들기도 했지만, FPS나 MOBA 게임 등 마우스 사용 빈도가 높은 게임을 하는 유저들이 마우스 무게를 비롯하여 세세한 스펙까지 왜 따지는지 납득이 되더라고요.
지클릭커 OP200 마스터는 마우스만 덩그러니 들어 있는 게 아닌 상자에 마우스, 충전 독, 케이블이 깔끔하게 포장된 상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한 색깔은 핫핑크지만, 블랙과 화이트 댄디한 색상도 있습니다.
외형은 이렇습니다. 핫핑크 색상이 처음이어서 더 귀하게 느껴지는데요. 외형에서 볼 수 있듯 6버튼 설계로 좌/우 버튼, 휠 버튼,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 버튼 그리고 마우스를 돌려서 바닥 면을 보면 DPI 버튼이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했던 게이밍 마우스들은 휠 뒤에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OP200 마스터는 바닥에 DPI 버튼이 있네요. DPI는 400(빨강), 800(초록), 1600(파랑), 2400(노랑), 3200(하늘), 6400(자색), 26000(흰색)까지 7단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DPI 단계는 색깔로도 표시됩니다.
그리고 그 옆에는 2.4GHz, 블루투스, OFF 3개 조절 스위치가 있는데요. 유무선 사용 시 폴링레이트는 8000Hz, 블루투스는 250Hz를 지원합니다.
2.4GHz로 세팅한 상태에서 초소형 리시버를 PC에 꼽으면 무선으로 OP200 마스터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리시버는 센서 아래 작은 공간을 열면 있습니다.
동봉되어 있는 케이블을 이용해 유선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때는 마우스 바닥에 있는 스위치를 OFF 상태로 놓고 사용하시면 되는데요. 케이블 색상이 화이트라는 것만 제외하면, 이렇게도 사용할 수 있다는 건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사실 유선으로 사용할 일이 있을까도 싶은데요. 왜냐하면, OP200 마스터는 건전지가 아닌 마우스 내에 300mAh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어 1K 모드 기준으로 최대 40시간 연속으로 충전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충전독에 올려놓기만 하면, 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어 방전될 일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같이 동봉되어 있는 케이블도 사실상 유선 마우스로 쓰거나 충전하는 용도가 아닌 충전독에 연결해 주는 용도로 쓰는 게 더 맞다고 봅니다.
그리고 충전독 바닥에는 버튼 하나가 있는데요. 이걸 누르면 다양한 RGB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RGB로 색상을 선택하고 책상 한 편에 두면, 게이밍 환경에 어울리는 또 하나의 IT템이 책상에 생긴 느낌도 줍니다.
슈퍼히어로 OP200 마스터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키 세팅이나 DPI, 폴링레이트, 매크로 편집 등 더 세밀한 부분까지 손댈 수 있는데요.
[소프트웨어 링크]
공식 홈페이지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줄 알았는데, 지클릭커 공식 블로그에 파일이 있더라고요. 위 링크를 누르면 바로 이동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요새 델타포스라는 FPS에 빠져 있는데, OP200 마스터를 쓰면서 마우스 무게가 정말 중요하다는 걸 느꼈습니다. 이렇게 마우스 두 개가 되었으니 이제 글 쓸 때와 게임할 때 용도를 나눠서 플레이해야겠네요.
[제품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