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구매후기 페이백을 위해 컴린이가 작성한 부정확하며 영양가도 없는 글입니다.)
2025년 1월, NVIDIA의 최신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의 그래픽카드인 RTX5080이 출시되었습니다. 999$(msrp) 가격, RTX4090의 약 85%수준에 달하는 레스터 성능, 개선된 전력효율성, DLSS4와 MFG 등 진보된 게이밍 경험을 위한 기술이 지원되는게 특징입니다.
NVIDIA 지포스 GPU기반의 다양한 그래픽카드를 제조하는 AIB중 하나인 게인워드는 대략 아래와 같은 네이밍을 통해 라인업을 분류하는데 뒤로갈수록 보급형,컴팩트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phantom(팬텀), phoenix(피닉스), ghost(고스트), pegasus(페가수스)
이외로 GS(Golden Sample) OC(Overclocked) 네이밍이 추가되기도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hFC_wYgZEI&t=1s
이 중 작성자가 구매한 제품은 rtx5080팬텀 모델이며 보급형 라인업 대비 큰면적의 히트싱크와 더 많은 개수의 히트파이프, 베이퍼챔버의 적용이 특징입니다. 현재 최신게임및 상품권 페이백 이벤트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s://www.gainward.com/main/vgapro.php?id=1227&tab=dl&lang=en
- 언박싱
국내 유통사는 디앤디입니다. 보증기간동안 서비스 받을 일이 없으면 하네요
제품은 이중으로 씰처리되어있습니다
부속품(스티커,16핀 변환 커넥터, 지지대)지지대설치가이드url
본 제품의 디자인 테마는 '팬텀 블랙'입니다.
전면에는 매트블랙 느낌의 팬 슈라우드에 헥사곤 형태의 무늬가 포함된 디자인 요소들이 표현되어 있네요
후면에는 금속 느낌의 백플레이트에 그라데이션 처리된 팬텀 이미지와 히트싱크 노출을 가려주는 촘촘한 에어홀이 타공되어 있습니다.
측면에는 금속 느낌의 보호 플레이트가 적용되었는데 파손과 휨방지를 위한 본연의 기능외에도 히트싱크와 히트파이프를 가려주는 외장재 역할을 겸해 심미적인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트리플 쿨링플랫폼을 구성하는 사이클론팬은 팬 테일에 윙팁이 추가된 형태로 약간의 곡률을 이루며 휘어져있는 블레이드가 총 9개 있습니다. 촘촘한 히트싱크를 사이에 두고 보여줄 소음대비 정압 퍼포먼스가 기대되네요.
성능/저소음 모드 변경가능한 물리 스위치가 구현되어 있고, 메인보드 5V 3pin 단자와 연결해 argb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연결에 필요한 케이블은 번들로 제공되지 않아 아쉽네요.
- VGA 정보 확인
P모드 바이오스
gpu정보 확인 및 모니터링툴인 GPU-Z을 이용해여 그래픽카드의 세부정보를 몇가지 확인해봅니다.
전작인 4080과 비슷한 Die면적의 GB203 풀칩이 적용되었습니다.
초기불량으로 교환대상인 ROP(Render Output Pipeline) 누락유무를 확인합니다.(112가 정상)
보장 부스트클럭은 FoundersEdition과 동일한 2,617 Mhz
다음은 제가 혼란스러웠던 메모리속도를 확인해봅니다. 모니터링 툴마다 RTX5080의 메모리속도를 다르게 표시해줍니다.
ex) GPU-Z (1,875 Mhz) / 애프터버너,nvidia통계오버레이 (15,001 Mhz) / GPU Tweak 3 (30,002 Mhz) / HWinfo (2,500 Mhz)
(HWinfo 값을 제외하고 저는 아래와 같이 이해했습니다.)
1875Mhz의 클럭(주파수)속도를 지원하는 GDDR7 2GB 메모리 모듈 8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총16GB 메모리 용량으로15,000 Mhz의 실제 메모리 클럭(주파수)속도를 제공합니다.
이때 GDDR7은 DDR(Double Data Rate)기술을 사용하므로 유효메모리속도(데이터전송속도)는 30,000 Mbps (=30 Gbps)
메모리 버스 인터페이스 폭(256bit = 32Byte)에 위에서 구한 유효메모리속도(데이터전송속도,30 Gbps)를 곱해주면 메모리 대역폭(960 GB/s,데이터전송대역폭)이 나옵니다.
TGP 360W에서 전력제한 해제 추가 마진은 없네요. 여유있어 보이는 쿨링 솔루션을 감안하면 아쉽네요.
- 벤치마크
순정 / 오버클럭
시스템 그래픽/게임 성능 벤치마킹 분야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진 3DMark의 타임스파이 테스트툴을 이용해 그래픽 점수가 정상범주인지 확인해봅니다.
오버클럭도 진행해보았는데 설정값은 아래 URL의 퀘이사존 공식 기획기사 내용중 oc프리셋을 참고했습니다.
게임을 구동하는 동안 프레임레이트, 클럭,레이턴시, 온도와 팬RPM, 소비전력 등을 확인해봅니다.
Cyberpunk2077 구동 5분후 (UHD,RT오버드라이브,DLSS품질,MFGx4)
고해상도에서 고사양게임 구동시 그래픽카드 단독으로 약 330W의 전력을 소비합니다. (RTX5080의 TGP: 360W)
gpu 평균클럭(2,789 Mhz)은 보장클럭(2,617 Mhz)을 약간 상회합니다.
gpu와 메모리 온도는 70도내외까지 상승했으며 (주변부 실내온도 25도)
팬속도는 P(퍼포먼스)모드 바이오스 기준 1,600 RPM 수준에서 유지되는데 이느 스펙의 40%수준입니다.
또한, 본체 30cm거리에서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로 전체 시스템의 소음을 측정시 대략 아래와 같았습니다.
1. 시스템 OFF ( 36 dB )
2. 시스템 idle & VGA 팬 속도 0 rpm ( 38 dB)
3. 사이버펑크2077 & VGA 팬 속도 1600 rpm ( 42 dB )
FG 기술의 필요성, 추가로 Nvidia Reflex기능이 켜져 있는지 확인하자(지연시간을 줄여준다)
고해상도와 최신 고사양 게임의 조합에서 업스케일링과 프레임 생성은 점점 사용자별 취사 선택 가능한 영역에서 멀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생성 미적용시 사이버펑크에서는 30대의 프레임레이트도 볼 수 있습니다.
RTX5080은 개선된 업스케일링 기술인 DLSS4와 별도의 텐서코어를 통해 프레임을 생성하는 MFG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특히 MFG는 전작의 2배보다 많은 최대 4배까지 프레임 생성이 가능한 5천번대 독점 기술입니다.
인게임 옵션을 조정해 베이스 프레임을 60근처로 만든후 MFG 기능을 활용해 4배 뿔리면 목표 프레임240 달성이 가능할까요? (참고로 작성자는 uhd해상도에서 24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중입니다.)
DLSS 품질->성능 + 인게임 그래픽 옵션 커스텀
스크린샷의 우측 위에서부터 MFG (미적용, x2, x3, x4) 프레임 레이트 모니터링 수치입니다.
순서대로 60 100 120 150대가 나왔는데 예상과 다른수치입니다.
프레임 생성 기능 사용시 베이스프레임 연산을 위한 그래픽 렌더링 성능이 하락하는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보조 그래픽카드를 추가해 그래픽 렌더링과 프레임 생성을 별도의 카드가 담당하게 하여 베이스 프레임 하락을 최소화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 듀얼 오리(??)
보조 그래픽카드를 추가해 그래픽 렌더링(rtx5080)과 프레임 생성(rx7600)으로 역할을 분리해봤습니다.
프레임 생성에 사용한 기술은 LSFG 3.0으로 하드웨어 종속적인 엔비디아의 FG와 달리 하드웨어 독립적인 소프트웨어로서 범용성이 특징입니다.
아래는 lsfg를 이용한 프레임 생성(x1 에서 x4) 결과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보여지는 프레임 수치나 화면 품질, 부드러움, 체감되는 입력지연 정도등 나쁘지 않았습니다.
다만 크래시가 너무 많이 일어나서 실사용은 무리같네요.
이유는 아마 시스템 호환성 문제, lsfg기술의 상대적인 안정성 부족, 보조글카 방열 성능 부족(핫 스팟 90도 후반) 또는 단순 퍼포먼스 부족때문일수도 있지만, 과거 사례들을 보았을때 원인은 항상 작성자(컴알못)였습니다.
(이상으로 5080 팬텀 리뷰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