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테스트 셋업
1. CPU와 메인보드 시스템 사진
2. BIOS 최신 버전 업데이트 방법
3. 200S Boost 적용 방법
4. CPU 테스트
5. 200S Boost 및 램 오버클럭 테스트
6. 200S Boost에 따른 성능 차이
7. 결론
0. 테스트 셋업
체험단 증정 받은 인텔 코어 울트라 265K와 ASUS PRIME Z890-P-CSM을 바탕으로 위와 같이 데스크탑 시스템을 셋팅하였습니다.
메모리는 2세트를 사용하였는데요, 팀그룹 램은 200S Boost 용으로 사용하였고, 지스킬 램은 수동 오버클럭용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 CPU와 메인보드 시스템 사진
인텔 체험단에 당첨이 되어서 위와 같이 인텔 코어 울트라 265K와 메인보드 ASUS Z890-P-CSM을 받았습니다. 인텔 코어 울트라 265K 요약은 아래와 같습니다.
메인보드를 꺼낸 후 265K를 바로 장착하였습니다.
은은한 실버색 방열판 덕분에 메인보드 디자인이 세련되어 보입니다.
위와 같이 케이스에 장착하여 수냉 쿨러를 장착하였습니다.
그리고, 램 오버클럭을 위해 램 위에 스팟쿨링 팬(리안리 P28)을 설치하였구요, 그래픽카드 5090도 장착하였습니다.
메인보드의 백패널인데요, 내장그래픽에 연결가능한 포트가 보편적으로 쓰이는 HDMI, DP 둘 다 지원이 되어서 아주 좋았습니다. 그 외로는 USB c타입 1개, A타입 7개, 랜포트 1개가 있구요, 플래시백 버튼도 있어서 바이오스 화면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도 USB 연결 후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2. BIOS 최신 버전 업데이트 방법
(1) 구글에 ‘Prime Z890-P-CSM’ 검색 후 제품 지원을 클릭합니다.
(2) BIOS & 펌웨어를 클릭합니다.
(3) 가장 최신 버전의 BIOS을 다운로드 합니다.
(4) 다운로드 받은 위 파일을 압축 해제 후 USB 파일에 넣습니다.
(5) 재부팅하여 부팅 도중 Del 키를 꾹 누르고 있으면 BIOS 화면에 진입합니다.
(6) F7을 눌러 Advanced Mode에 들어갑니다.
(7) 키보드의 화살표를 눌러서 Tool로 이동합니다.
(8) ASUS EZ Flash에 들어갑니다.
(9) 해당 USB에 들어가서 다운받았던 바이오스 파일을 Enter 키를 눌러 실행하면 BIOS 설치가 됩니다
3. 200S Boost 적용 방법
1) 200S Boost란?
XMP나 EXPO 넣는 것처럼 바이오스에서 클릭 한 번으로 3가지 옵션을 자동 튜닝합니다.
(1) NGU 오버클럭 (2.5GHz -> 3.2GHz)
(2) D2D 오버클럭 (2.1GHz -> 3.2GHz)
(3) XMP (최대 8000MHz까지)
2) 적용 방법
(1) 부팅할 때 Del 키를 꾹 눌러서 BIOS 화면에 들어갑니다.
(2) F7 키를 눌러서 Advanced Mode에 들어갑니다.
(3) 키보드의 화살표를 눌러서 Ai Tweaker으로 이동합니다.
(4) Intel 200S Boost으로 가서 Disable 되어 있는 것을 Enable으로 바꿔준 후 F10을 눌러 저장 및 재부팅합니다.
4. CPU 테스트
CPU 불량 또는 안정화 테스트는 아래 사이트의 시네벤치R24으로 테스트합니다.
시네벤치 R24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좌측 상단의 파일 – Advanced Benchmark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Minimum Test Duration 설정이 가능해지는데, 30 minutes으로 설정 후 CPU (Multi Core)의 Start을 눌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테스트 결과
(1) BIOS 순정 상태
시네벤치R24 점수: 2,022점
최고 온도: 78도
평균 온도: 72도
평균 전력 소모량: 193.6W
(2) 200S Boost
시네벤치R24 점수: 2,138점 (+5.7%)
최고 온도: 78도 (+0도)
평균 온도: 73도 (+1도)
평균 전력 소모량: 199.7W (+3.2%)
(3) 오버클럭 (P코어 5.5GHz, E코어 4.8GHz, 1.32V, LLC auto)
시네벤치R24 점수: 2,232점 (+10.4%)
최고 온도: 100도 (+22도)
평균 온도: 92도 (+20도)
평균 전력 소모량: 261.5W (+35.1%)
(4) 언더봍팅 (1.12V, LLC auto)
시네벤치R24 점수: 2,107점 (+4.2%)
최고 온도: 74도 (-4도)
평균 온도: 69도 (-3도)
평균 전력 소모량: 186.4W (-3.7%)
5. 200S Boost 및 램 오버클럭 테스트
1) Aida64 테스트
(1) 순정 BIOS (5600MHz CL46)
(2) 200S Boost (7200MHz CL34 XMP)
(3) 수동 오버클럭 (8000MHz CL34)
2) 안정화 프로그램
저는 아래 사진과 같이 HCI Memtestpro을 사용하였습니다.
(1) 200S Boost
(2) 8000MHz CL34
TM5을 사용하여 안정화를 보셔도 됩니다. 200S Boost가 인텔이 보증하지만 안정화까지 보장을 해주는 건 아니기 때문에 실사용 이전에 안정화 확인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6. 200S Boost에 따른 성능 차이
(1) 배틀그라운드 (FHD)
200S Boost 적용 시 평균 FPS 14.4%, 1% LOW FPS 15.4%, 0.1% LOW FPS 32.3% 증가
(2) 사이버펑크 2077 (FHD)
200S Boost 적용 시 평균 FPS 7.7%, 1% LOW FPS 7.8%, 0.1% LOW FPS 9.0% 증가
(3) 클레르 옵스퀴르: 33 원정대 (FHD)
200S Boost 적용 시 평균 FPS 15.3%, 1% LOW FPS 18.3%, 0.1% LOW FPS 21.3% 증가
위 게이밍 테스트들은 RTX5090 + FHD 환경에서의 성능 향상이며, 그래픽카드 및 해상도가 다르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7. 결론
일체형 수냉 기준 시네벤치 R24은 약 2,000점, 시네벤치 R23은 약 36,000점 정도에 온도는 80도 미만으로 가성비 있으며 작업에 뛰어난 CPU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200S Boost이라는 간단한 설정 하나만으로 게이밍 성능이 10% 이상 증가함으로써 준수한 게이밍 성능 또한 확보가 가능하였습니다.
다음 리뷰에서는 20종이 넘는 게이밍의 BIOS 순정 vs 200S Boost vs 수동 오버클럭 비교를 보여드리고, 작업 성능에 대해서도 간단히 보여드릴 예정입니다.
해당 제품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구매가 가능합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69059687
본 포스팅은 인텔 공인대리점으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 입니다.
#인텔 #인텔코어울트라 #인텔CPU #265K #게이밍PC #게임PC #PC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