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와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극한까지 끌어올리고자 한다면 현실적인 대안의 종착점은 수랭 쿨링 솔루션으로 향하게 된다. 공랭보다 나은 쿨링 효과를 바탕으로 한계치까지 오버클럭이 가능하고, 열 발산 효율도 높아 쿨링 소음도 공랭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한다.
최고의 수랭 솔루션을 원한다면 펌프와 라디에이터와 쿨러, 냉각수, 피팅 등을 고르고 골라 직접 꾸미는 방법도 있지만 대부분의 게이머들에게는 지나치게 번거롭기에 일체형 수랭 솔루션으로 타협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사용자가 쉽게 탈착할 수 있는 CPU용 수랭 쿨러와 달리, 그래픽 카드는 쿨러를 분리하면 제조사/ 유통사의 보증이 무효화되므로 직접 수랭 쿨러를 장착하는 것은 큰 모험이다. 이러한 극한의 성능 지상주의 게이머들 위해 일체형 수랭 솔루션을 단 그래픽 카드도 종종 나오고 있지만, CPU와 VGA 일체형 수랭 쿨러의 라디에이터를 동시에 적절히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는 흔치않다.
이번 기사의 주인공인 ASUS ROG Matrix 지포스 RTX 2080 Ti Gaming(이하 ASUS ROG Matrix RTX 2080 Ti)은 CPU와 VGA 모두 일체형 수랭 쿨러를 통해 성능 최적화를 꿈꾸는 게이머들을 위한 플래급 모델로, 현재 출시 중인 RTX 2080 Ti 그래픽 카드 중 최고 수준의 팩토리 오버클럭이 적용되어 그 자체로 만족스런 제품이다.
공랭인 듯 숨겨 호환성 높인 일체형 수랭 솔루션으로 저소음/ 고성능 구현
ASUS ROG Matrix RTX 2080 Ti는 걷보기에는 일반적인 공랭형 그래픽 카드와 똑같은 외형을 보여준다. 쿨링팬 블레이드를 원형으로 감싼 링으로 공기흐름을 잡아주어 풍압을 높여 쿨링 효율을 개선한 3개의 Axial-tech 팬과 대형 서멀 블록, 백플레이트와 2개의 8핀 보조전원 커넥터등, 외형만 보면 일체형 수랭 쿨러가 숨겨져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없다.
하지만 쿨러를 분해해보면 히트파이프와 알루미늄 방열핀으로 구성되었으리라 짐작했던 서멀 블록은 사실 수랭 쿨러를 위한 라디에이터이고, 대형 워터 블록과 내부의 냉각수를 통해 GPU와 메모리 발열을 라디에이터로 이동시켜 준다. GPU와 그래픽 카드 출력 포트 사이에 냉매 이동을 위한 워터 펌프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PCB 후면에 배치된 백플레이트는 써멀패드를 통해 GPU의 발열을 추가적으로 잡아주고, 전원부를 이루는 NexFET 파워 스테이지의 발열은 일체형 써멀블록으로 잡아 쿨링팬으로 식혀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원부가 확대될수록 각 전원부의 부담은 낮아지고 전체 전력 공급량은 늘어 안정적으로 고성능을 발휘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ASUS Martix RTX 2080 Ti는 ASUS가 자랑하는 슈퍼 알로이 부품을 이용한 16+3 페이즈의 총 19페이즈 구성으로, 레퍼런스의 13+3 페이즈보다 강화되었다.
일체형 수랭 솔루션을 더한 덕분에 ASUS Matrix RTX 2080 Ti의 기본 부스트 클럭인 1800MHz을 1905MHz까지 추가 오버클럭 했음에도 3DMark Time Spy Stress Test에서 최고 온도가 68℃에 불과할 정도로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덕분에 ASUS GPU Tweak II에서 제공되는 OC Scanner를 이용한 자동 오버클럭으로도 쉽게 부스트 클럭을 1905MHz까지 오버클럭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3DMark 기준 평균적으로 3% 수준의 성능 이득을 볼 수 있었다.
코어 i7-9700K보다 고성능의 CPU를 쓰거나, 추가로 메모리 오버클럭을 병행한다면 이보다 더욱 높은 수준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율성 높은 포트 구성과 튜닝 요소, 슈퍼 알로이 전원부의 조합
한편, ASUS Matrix RTX 2080 Ti의 출력 포트는 엔비디아 레퍼런스 디자인에서 DP 포트 1개를 HDMI 포트로 변환한 구성이다. 아직 모니터와 프로젝터등의 디스플레이 장비에서 DP 포트보다 HDMI 선호도가 높고, VR HMD도 HDMI 위주인 것을 감안하면 실 사용에는 보다 유리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참고로, 앞서 보듯 일체형 수랭 쿨러를 도입하면서 전체 덩치가 커져 메인보드에서 3슬롯을 차지한다. RTX 2080 Ti 자체의 성능은 만족스럽지만 멀티 GPU까지 구성하겠다면 메인보드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ASUS Matrix RTX 2080 Ti는 수랭 쿨러를 도입해 낮은 온도에서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ASUS의 플래그십 브랜드인 ROG 시리즈 제품군인 만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게이머나 사용 환경에 따라 거슬릴 수 있는 AURA Sync RGB LED의 불빛을 On/ Off 할 수 있는 버튼, 기준 온도를 전후해 쿨링팬의 동작을 멈추는 0dB 기술 모드와 쿨링팬 동작 속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Q 모드, 팬이 상시 동작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쿨링 능력을 제공하는 P 모느 전환용 스위치, 보조전원 공급 상황을 알려주는 LED, 그래픽 카드에 추가 쿨링팬 및 LED 스트립을 연결해 제어할 수 있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ASUS Matrix RTX 2080 Ti는 그래픽 카드 전면과 측면, 후면 백플레이트에 주변을 미러링 처리 후 RGB LED를 숨겨놨다. 그덕에 LED 조명이 밖으로 번지거나 과하지 않고 깔끔하게 표시된다. 그렇다해도 조명이 불필요한 경우 후면의 On/Off 스위치를 이용하거나 AURA Sync 앱을 이용해 끌 수 있으며, 취향에 따라 여러가지 동작 모드와 색상 변경도 가능하다.
부가 구성물로는 케이블 타이와 라벨, 시스템 튜닝을 위한 여러가지 ROG 스티커, 퀵 가이드, 드라이버 및 유틸리티가 제공된다 케이블 타이는 벨크로 타입이라 재활용이나 정리 편의성이 뛰어난데, 그래픽 카드 우측의 쿨링팬 추가 및 LED 스트립 커넥터에 악세서리를 연결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고의 성능을 위한 현실적인 플래그십, ASUS ROG Matrix 지포스 RTX 2080 Ti Gaming
글로벌하게 살펴보면 ASUS ROG Matrix 지포스 RTX 2080 Ti Gaming보다 더욱 신경 쓴 제품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지만, 그들은 대부분 한정판으로 기획되어 가격도 가격이지만 구매 자체가 어려워 상징적인 모델은 될 수 있어도 실용성 면에서는 높은 점수를 주기 어렵다.
그에 반해 ASUS ROG Matrix 지포스 RTX 2080 Ti Gaming은 비용만 지불할 수 있다면 어렵지 않게 구매할 수 있으며, 게이머들이 중히 여기는 성능과 쿨링을 비롯해 튜닝 및 편의성까지 만족스런 면모를 보여주니, '최고'를 지향하는 게이머라면 노려봄직한 제품이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