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패널 닫기
로그인을 해주세요.
설정
알림0
MY DPG
모바일 출석체크
DPG모아보기
  • 게시판
  • 포럼
  • 뉴스
  • ㄷㅂㄷ
  • 즐겨찾기 on
    DPG알림
    즐겨찾기 on
    소비자사용기
  • 즐겨찾기 on
    DPG특가몰
    즐겨찾기 on
    자유게시판
  • 즐겨찾기 on
    상시보상이벤트
    즐겨찾기 on
    유머게시판
  • 즐겨찾기 on
    포인트ZONE
    즐겨찾기 on
    다나와Q&A
  • 즐겨찾기 on
    DPG경매
    즐겨찾기 on
    상품의견
  • 즐겨찾기 on
    오늘도 출석체크
    즐겨찾기 on
    체험단
  • 즐겨찾기 on
    입소문쇼핑
    즐겨찾기 on
    엄근진게시판
  • 즐겨찾기 on
    메인가자
    즐겨찾기 on
    쇼핑몰후기
  • 즐겨찾기 on
    럭키떳다방
    즐겨찾기 on
    A/S후기
  • 즐겨찾기 on
    조립PC
    즐겨찾기 on
    게임
  • 즐겨찾기 on
    CPU/RAM
    즐겨찾기 on
    스마트IT
  • 즐겨찾기 on
    VGA/MB
    즐겨찾기 on
    키덜트
  • 즐겨찾기 on
    SSD/HDD
    즐겨찾기 on
    반려동물
  • 즐겨찾기 on
    키보드/마우스
    즐겨찾기 on
    먹거리
  • 즐겨찾기 on
    케이스/파워
    즐겨찾기 on
    바퀴
  • 즐겨찾기 on
    모니터
    즐겨찾기 on
    여행
  • 즐겨찾기 on
    노트북
  • 최신뉴스
    즐겨찾기 on
    일반뉴스
  • 즐겨찾기 on
    기획뉴스
    즐겨찾기 on
    신상품뉴스
  • 즐겨찾기 on
    쇼핑뉴스
    즐겨찾기 on
    기자칼럼
  • 즐겨찾기 on
    생활의 TIp
    즐겨찾기 on
    다나와리포터
  • 즐겨찾기 on
    구매가이드
    즐겨찾기 on
    전문가리뷰
  • 즐겨찾기 on
    인기순위가이드
    즐겨찾기 on
    벤치마크
  • 즐겨찾기 on
    차트뉴스
    즐겨찾기 on
    가격동향
  • 즐겨찾기 on
    Allthatboots TV
    즐겨찾기 on
    CJ PARK
  • 즐겨찾기 on
    Dalkicake의 야간비행
    즐겨찾기 on
    DIYcast
  • 즐겨찾기 on
    DmonkTV
    즐겨찾기 on
    Hakbong Kwon
  • 즐겨찾기 on
    JOOYONTECH
    즐겨찾기 on
    Motorgraph
  • 즐겨찾기 on
    Producer dk
    즐겨찾기 on
    THE EDIT
  • 즐겨찾기 on
    TongTong Tv
    즐겨찾기 on
    UnderKG
  • 즐겨찾기 on
    with브라더
    즐겨찾기 on
    게임넛
  • 즐겨찾기 on
    고나고
    즐겨찾기 on
    기즈모
  • 즐겨찾기 on
    김라희
    즐겨찾기 on
    노써치
  • 즐겨찾기 on
    대처법
    즐겨찾기 on
    더기어TV
  • 즐겨찾기 on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즐겨찾기 on
    라이브렉스
  • 즐겨찾기 on
    레고매니아
    즐겨찾기 on
    맛상무
  • 즐겨찾기 on
    모터피디
    즐겨찾기 on
    쉐어하우스
  • 즐겨찾기 on
    스나이퍼TV
    즐겨찾기 on
    아날로그미
  • 즐겨찾기 on
    아잉2TV
    즐겨찾기 on
    에브리맘
  • 즐겨찾기 on
    여행매거진 트래비TV
    즐겨찾기 on
    오토기어
  • 즐겨찾기 on
    웰컴TV
    즐겨찾기 on
    인프제 INFJ
  • 즐겨찾기 on
    주연 ZUYONI
    즐겨찾기 on
    진블로그
  • 즐겨찾기 on
    집마 홀릭TV
    즐겨찾기 on
    충스
  • 즐겨찾기 on
    카랩
    즐겨찾기 on
    톡써니
  • 즐겨찾기 on
    포켓매거진
    즐겨찾기 on
    플레이G
  • 즐겨찾기 on
    흔치않은여자 예라니
    즐겨찾기 on
    다나와 공식채널
  • 즐겨찾기 on
    얼마까지 보고 오셨어요?
    즐겨찾기 on
    노리다
  • 즐겨찾기 on
    다나와 보케블러리
    즐겨찾기 on
    표준PC
  • 즐겨찾기 on
    다나와M
    즐겨찾기 on
    샵다나와 조립갤러리
  • 즐겨찾기 on
    DPGing
  • MICRONICS
  • 명성 인텔
  • 아이구주
다나와 홈

DPG다나와 플레이 그라운드

뒤로

기획뉴스

이전 글
다음 글
게임메카

[사이버펑크 2077] 미국은 붕괴, 한국은 통일, 중국은 내전

2020.12.01. 16:42:12 읽음425 댓글3
관련상품
사이버펑크 2077 PC CIB,한글판
56,580원최저가
사이버펑크 2077의 배경은 미국이다. 정확히는 LA와 샌프란시스코 등이 있던 미 서부에 위치한 나이트 시티다. 이 곳은 미국 정부로부터 독립해 자치권을 누리는 국제 자유 도시로, 미국 문화 뿐 아니라 전세계 문화가 섞여 있다. 얼핏 국적 불명의 미래 도시 같은 느낌인데, 아마 그래서 게임의 배경으로 선정되지 않았나 싶다.

사이버펑크 2077은 포스트 아포칼립스가 아니기에, 세계상에는 나이트 시티 외 다양한 자치구와 국가들이 존재한다. 그 중 일부는 직/간접적으로 나이트 시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늘은 2077년 세계 주요 국가들의 현황을 알아보자. 참고로 해당 설정은 1990년대 사이버펑크 2020과 사이버펑크 RED 당시 정립됐기에, 2020년을 사는 게이머 시점에서 꽤나 낯선 평행세계 이야기들이 많을 것이다.

나이트 시티 외 다른 지역으로 향해보자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사이트)
▲ 나이트 시티 외 다른 지역으로 향해보자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사이트)

미국-연방제 붕괴, 국민 1/3 사망

일단, 게임의 배경이 되는 미국은 아주 험난한 역사를 겪었다. 1990년부터 2016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기업 전쟁이 벌어졌고, 이를 계기로 기업들은 정부를 능가하는 권력을 거머쥐었다. 이들은 규제에 구애받지 않고 각지의 천연자원을 마음대로 채취하기 시작했고, 이는 극심한 환경파괴와 기후변화를 불러왔다. 삼림이 사라져 산성비가 내리고, 황사가 미국 전역을 뒤덮었다. 설상가상 열핵 전쟁으로 중동이 방사능 불모지로 변해버려 석유 대란까지 시작됐다.

이에 1990년대 초반, 미국 정부는 자국 및 유럽 증시를 몰래 조작하는 등의 공작으로 위기를 모면하려 했지만, 반대로 이러한 사실이 대중에 밝혀지면서 역풍을 맞아 세계 경제 붕괴를 불러왔다. 그 와중 정부기관 연합체인 4대 갱단(NSA, CIA, FBI, DEA가 연합한 도당)이 쿠테타를 일으켜, 18세기부터 지속돼 온 미국의 연방제는 막을 내리고 뉴 미국(New United States of America, 이하 NUSA) 시대가 열린다.

연방제의 붕괴는 미국이라는 거대 국가의 종말을 의미했다. 각지에서 자유주를 선포하며 분리 독립이 잇따랐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유령 도시가 생겨났다. 공권력 부재와 전쟁, 경제 악화, 자연재해, 전염병 등이 겹쳐 약 15년 간 미국 전체 인구의 1/3 이상인 1억 명 가량이 사망했고, 2,500만 명에서 5,000만 명 가량이 시민으로서의 기본 권리를 박탈당해 삶의 기반을 잃었다. 이는 21세기 최악의 참사로 손꼽히는 '대붕괴'라 불린다. 곧이어 발생한 4차 기업 전쟁으로 미국의 밀리테크와 일본의 아라사카가 전면전을 벌임에 따라 미국 전역은 전화의 불길에 휩싸였고, 많은 시민들은 스스로를 지키며 전국을 차로 떠돌아다니는 노마드가 되었다.

자연재해 등으로 미국 곳곳에는 이 같은 유령도시가 생겨났다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설정집 '월드 오브 사이버펑크')
▲ 자연재해 등으로 미국 곳곳에는 이 같은 유령도시가 생겨났다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설정집 '월드 오브 사이버펑크')

기업 전쟁이 끝나고, 미국은 세계 초강대국으로서 지위를 잃었다. NUSA 정부는 국가 회복을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고, 밀리테크를 압박하며 기업 자산에 대한 국영화를 단행했다. 그러나 2069년 새로 선출된 로잘린드 마이어스 대통령이 자유주에 대한 통일 전쟁을 선포하며 다시 한 번 전쟁이 시작된다. 이 전쟁은 자유주들을 지원해 오던 아라사카가 공개적으로 개입하면서 종전됐고, 현재는 명목상이나마 평화의 시대가 찾아왔다.

어쨌든, 미국 전역은 과거 세계 최강대국이었던 시절과는 달리 꽤나 피폐해졌다. 환경 파괴로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플로리다 등 곡창 지역 대부분이 황무지가 됐으며, 전염병과 바이러스, 높은 빈곤률과 공공 의료 서비스 붕괴로 인해 평균 수명 역시 높지 않다. 심지어 에이즈, 장티푸스, 기아, 방사능 등으로 사망하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공교육 시스템 역시 의미를 잃은 지 오래라, 갱단에 가입하는 젊은이들이 급격히 많아졌다. 도시 지역에서는 살인을 포함한 강력범죄율이 매우 높고, 교도소 인구는 세계에서 가장 많다. 그나마 나이트 시티가 살만한 지역이라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정처 없이 떠도는 난민 '노마드' 인생경로의 V가 나이트 시티에 들어오려 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 정처 없이 떠도는 난민 '노마드' 인생경로의 V가 나이트 시티에 들어오려 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대한민국-통일한국 수립

대한민국은 남북 통일이 이루어졌다. 남북한은 1999년부터 2005년까지 6년에 걸쳐 전쟁을 벌였는데, 이유는 앞서 언급한 1994년 세계 경제붕괴로 인한 나비효과다. 냉전 시대를 이끌던 소련과 미국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줄어들면서 주한미군이 철수했으니, 전쟁 억제기가 사라진 상황에서 전쟁은 자연스러웠다. 참고로 전쟁 시작이 남침인지 북침인지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일단 대한민국은 북한 비행기가 먼저 영공을 침범했다고 주장했다. 증거는 없다.

어쨌든 1999년 시작된 한국전쟁 속에서 일본과 미국은 은밀하게 남한을 지원했고, 소련과 중국은 북한을 지원했다. 당시 세계 정세는 2차 냉전이라고 해도 무방했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한국군의 무력함이 드러났고, 여기에 2002년 식량난까지 더해지며 한국 사회는 큰 혼란에 빠졌다. 그 와중 군 최소 사령관인 이용운 장군이 쿠테타를 일으켜 정부를 장악하고, 지휘권을 잡는다. 그는 중국 본토의 댐을 폭파시켜 대북 지원을 끊고 북한을 격퇴, 전쟁을 승리로 이끌며 통일한국을 수립한다.

이후 그는 통일 한국 최초의 대통령이 된다. 그러나 그가 청화대 기자회견 중 폭발 사고로 사망하면서 전쟁영웅인 박성진 장군이 새 대통령으로 취임해 통일한국을 이끈다. 통일한국은 국제 사회에서 꽤나 큰 영향력을 지닌 경제/군사 대국이다. 사이버펑크 2020 환태평양 자료집에 따르면, 2045년 기준 대한민국 군대는 무려 745만 명에 달한다. 이는 환태평양 동맹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다. 물론 예비군과 민방위, 경찰을 대신해 활동하는 군 경찰을 합한 규모일 테지만 말이다.

통일한국 국기, 묘하게 남북한 국기를 짬뽕시킨 형태다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위키)
▲ 통일한국 국기로 알려진 디자인, 묘하게 남북한 국기를 짬뽕시킨 형태다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위키)

중국-티베트와 위구르 독립운동 진압, 대만은 독립

중국 역시 마냥 평화롭지만은 않았다. 1990년대 초, 중국은 공산당 정부가 부패하고 천민 자본주의가 확산되는 혼돈기에 서 있었다. 그 와중 고등학교 교사였던 화 유치(Hua Yuchi)가 중국 남부에서 정통 마오주의로의 복귀를 선언하며 마오이스트 로얄리스트 카발(Maoist Loyalist Cabal, MLC)이라는 반정부 집단을 만들어 중국 공산당 정부와 전쟁을 벌인다.

이들은 궐기와 함께 홍콩을 접수하고, 1995년에는 광저우를 정복했다. 이와 동시에 서쪽에서는 중국 공산당에게 지배당했던 티베트 지역에서 궐기가 일어났고, 북서쪽에서는 소련의 자금을 지원받은 신장 위구르 지역의 무슬림 극단주의자들이 전쟁을 일으켰다. 중국 공산당 정부는 동시에 세 방면에서 전쟁을 치러야 했으며, 그 틈을 타 대만은 2008년 일본 기업 아라사카의 지원을 받아 독립을 선언했다. 홍콩은 거대 기업들과 MLC의 다툼에 휘말려 전쟁터가 됐다.

MLC의 구심점이 된 화 유치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20 설정집 'Pacific Rim Sourcebook')
▲ MLC의 구심점이 된 화 유치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20 설정집 'Pacific Rim Sourcebook')

대륙의 혼란이 잦아든 것은 몇 년 후다. 중국 정부는 2008년 미국과 상호 협정을 체결하고, 2013년에는 MLC의 수장인 화 유치를 암살하는 데 성공했으며, 2014년에는 MLC와 티베트, 신장 위구르 지역의 봉기까지 진압했다. 이후 중국 정부는 준 계엄령 하에 국력을 회복하기 위해 애썼다. 다만, 이 당시 꽤 많은 중국인들이 해외로 떠났고, 나이트 시티에도 상당수가 정착해 리틀 차이나와 가부키 등 차이나타운을 세웠다.

2077년 기준 중국은 전쟁의 상흔을 극복하고 다시 경제 강국으로 거듭난 모양새다. 국영 기업인 중국 국제 신탁 투자 공사(CITIC) 하나만 존재하던 과거와 달리, 차세대 화기 생산기업 캉 타오, 중형차 생산 업체인 아처 등이 나이트 시티에서 활발히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홍콩의 경우 섬 전체를 높은 장벽으로 둘러싸고, 기업들에 의해 통치되는 상태다. 사실상 나이트 시티와 비슷한 상황으로 보이는데, 사이버펑크 차기작이 나온다면 홍콩이 1순위가 아닐까?

중국인들이 사실상 접수하다시피 한 나이트 시티의 가부키 지역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설정집 '월드 오브 사이버펑크')
▲ 중국인들이 사실상 접수하다시피 한 나이트 시티의 가부키 지역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설정집 '월드 오브 사이버펑크')

유럽-영국과 그리스, 이탈리아 등 몇몇 국가만 빼면 나름 선방

유럽은 1992년, 프랑스, 독일, 영국, 베네룩스 등의 지휘 하에 현실세계의 EU와 비슷한 경제공동체 ECC를 구성하고 유로달러라는 공통 통화를 만들었다. 참고로 이 화폐는 2077년 나이트 시티를 포함한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후 ECC는 미국이 유럽 국가들의 권력을 약화시키려 시도한 파괴 및 증시 조작 행위를 폭로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미국을 고립시켰고, 이는 결국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금융 붕괴로 이어졌다. 이는 일본 입장에서는 큰 도움이 됐으며, 결국 여기서 4차 기업 전쟁이 일어났다.

2024년 전쟁이 끝난 후, ECC와 아시아 국가들은 황폐화 된 세계무역을 되살리고자 잔존 기업들을 규제하고 정부 관리 하게 두려 했다. 이후 35년 간 유럽은 원상태를 회복했으나, 자연재해를 피해가진 못했다. 유럽 전역에 사막화와 가뭄이 심해졌고, 홍수로 인해 네덜란드는 국토의 1/3을 잃었다. 그나마 발전된 기술로 자본으로 국토의 2/3를 지켜냈기에 망정이지, 그마저 없었다면 국토 전체가 완전 수몰된 몰디브나 아이티 꼴이 날 뻔 했다.

아무튼, ECC는 과격한 폭동과 정치격 격변을 겪은 이탈리아나 스페인, 그리스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참여 유럽 국가에서 안정적인 사회를 유지하고 있다. 또 하나의 예외가 있다면 영국이다. 쇠퇴한 기술과 막대한 이민자 등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고, 그 결과 사회가 붕괴된 미국만큼이나 상황이 좋지 않아졌다. 정부 붕괴와 함께 런던은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찢겨졌고, 사람들은 노마드가 되어 이곳 저곳을 떠돌아 다니고 있다.

피폐해진 영국 사회, 그림은 빅 벤 근처 모습이다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20 설정집 'Rough Guide to the UK')
▲ 피폐해진 영국 사회, 그림은 빅 벤 근처 모습이다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20 설정집 'Rough Guide to the UK')

일본-미국 없는 세상에서 세계 최강국으로

사이버펑크 세계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국가 일본. 1980년대 후반 일본은 현실에서와 같이 미국의 뒤를 잇는 경제 초강대국이 됐으며, 아시아 국가임에도 1992년 유럽 지역 연합체인 ECC에 가입했다. 이후 미국이 세계 경제 붕괴에 휘말리면서, 주일미군이 철수하자 일본은 군대를 갖지 않기로 한 헌법 9조를 폐기하고, 발전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이버웨어와 무기 개발을 주도하며 ECC를 탈퇴한다.

일본 정부의 든든한 지원을 받은 기업들은 자체 군대를 조직하기도 했는데, 대표 기업이 바로 아라사카다. 이윽고 2021년, 미국 회사 밀리테크와 일본 회사 아라사카 간의 제 4차 기업 전쟁이 시작됐다. 그 와중 아라사카 요시노부는 일본 정부에 정보를 제공하며 기업을 국유화 시켰다. 이 전쟁은 전세계를 휩쓸었다. 리우데자네이루 같은 도시는 잿더미가 됐으며, 세계 무역은 삽시간에 마비됐다. 국제 교역은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넷 전쟁으로 인해 인터넷 역시 죽음을 맞이했다. 결국 2023년 나이트 시티 아라사카 타워 폭발(조니 실버핸드가 연루된 사건이다)과 함께 아라사카의 패배로 마무리됐다.

일본 국유 기업이 된 아라사카는 전쟁에 패배하고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물어야 했지만, 다수의 수익 사업을 하나둘씩 진행시켜 다시금 무기제조 및 보안 업계 선두 자리로 올라섰다. 그 외에도 2077년 기준 쓰나미 방어 시스템, 마키가이, 미즈타니, 야이바 등 다양한 일본 기업들이 전세계를 주름잡고 있다. 사회적으로도 일본은 세계 최고 수준의 강대국다운 모습인데, 국민들은 평생 질병에 시달리지 않고 150대까지 살 수 있으며, 의료 비용의 70%는 정부가 부담한다. 문맹률은 제로에 가깝다. 다만, 기업의 입김이 강해짐에 따라 근로 인권이 무시되며 일본 근로자들은 주당 80시간 이상 일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세계를 좌지우지하며 각종 공작과 암살 등을 펼치는 아라사카 그룹
▲ 세계를 좌지우지하며 각종 공작과 암살 등을 펼치는 아라사카 그룹

아이티-수몰됨, 난민들은 나이트 시티로

카리브해에 위치한 섬나라 아이티가 굳이 언급되는 이유는, 이 나라가 부두교와 좀비의 원산지(?)임과 동시에 2077년에 멸망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환경 오염으로 인해 기후 변화가 극심해지며, 자연 재해가 인류 최대의 위협으로 떠올랐는데, 그 피해를 가장 크게 입은 곳이 바로 아이티다. 2062년, 초강력 폭풍우가 연속으로 섬을 휩쓸며 수십만에 달하는 아이티인이 사망했으며, 섬 대부분이 수몰됐다. 그 결과 아이티인은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을 찾아 집단으로 이주했다.

그 흔적은 사이버펑트 2077에서도 찾을 수 있다. 나이트 시티에서 암약하는 갱단 부두 보이즈는 아이티 출신들로만 구성된 그룹으로, 단순한 갱단이 아니라 퍼시피카 전투 지역에 거주하는 아이티 난민의 권익과 안전을 수호하기 위해 설립됐다. 아이티 외에도 다양한 소규모 섬 국가들이 자연재해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붕괴를 겪었다.

아이티 난민들의 보호를 위해 설립된 갱단 '부두 보이즈'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홈페이지)
▲ 아이티 난민들의 보호를 위해 설립된 갱단 '부두 보이즈' (사진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홈페이지)

[관련기사]
[사이버펑크 2077] 대부분의 시민이 목에 소켓이 있다
[사이버펑크 2077] 키아누 리브스는 적이 될 수 있다
[사이버펑크 2077] 이 시대에도 불법 음경 확대가 성행한다
[사이버펑크 2077] 성별이 무의미한 시대, 연애는?
[사이버펑크 2077] 순대국과 비뇨기과 한국어 간판이 보인다
[사이버펑크 2077] 57년 후 미래, 하층민의 삶 지금보다 고달퍼
[사이버펑크 2077] 기계팔 달겠다고 생팔 자르진 않습니다
[사이버펑크 2077] 탈모가 치료 가능해졌다
[사이버펑크 2077] 편의점과 자판기에서 총을 팝니다
[사이버펑크 2077] 최고 기피 시설은 '학교'다
[사이버펑크 2077] 게임 곳곳에 한국 문화가 숨겨져 있다
[사이버펑크 2077] 콘솔처럼, 사이버웨어도 '세대'가 있다
[사이버펑크 2077] 고급차 훔치려면 브랜드를 알아야 한다
[사이버펑크 2077] 나이트 시티에 코로나19가 퍼진다면?
[사이버펑크 2077] 똥손도 특등사수 될 수 있는 세상
[사이버펑크 2077] 간부는 해고되지 않는다, 암살당할 뿐
[사이버펑크 2077] 진화형 VR '브레인댄스'에 중독된 사회
[사이버펑크 2077] 갱단이 되어버린 헬스 덕후들, 애니멀
[사이버펑크 2077] 미래의 인기 아이돌은 이렇게 생겼다
[사이버펑크 2077] 일본 문화 많지만 '일빠'는 아니라구요
[사이버펑크 2077] 조니 실버핸드는 88년생입니다
[사이버펑크 2077] 신체개조, 과연 어디까지 가능한가?

Copyright ⓒ 게임메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태그
사이버펑크 2077 미국 붕괴 한국 통일 중국 내전

공감/비공감

 
2
안내 ?

관련 상품

이전 페이지 1/1 다음 페이지
  •  사이버펑크 2077 PC CIB,한글판

    사이버펑크 2077 PC CIB,한글판

    56,580원최저가

말 많은 뉴스

  • 1

    엔비디아 RTX 3060, VRAM이 12GB나 됩니다

    댓글19
    엔비디아 RTX 3060, VRAM이 12GB나 됩니다
  • 2

    에이수스, 인텔 11세대 코어 프로세서에 적합한 Z590 메인보드 대거 발표

    댓글14
    에이수스, 인텔 11세대 코어 프로세서에 적합한 Z590 메인보드 대거 발표
  • 3

    렌탈 vs 풀소유, 무엇이 더 유리할까?

    댓글11
    렌탈 vs 풀소유,  무엇이 더 유리할까?
  • 4

    현대차, '아이오닉 5' 티저 이미지 최초 공개

    댓글11
    현대차, '아이오닉 5' 티저 이미지 최초 공개
  • 5

    귀한 빅 나비 커스텀이 왔습니다. MSI 라데온 RX 6800 XT 게이밍 X 트리오 D6 16GB 트라이프로져2

    댓글10
    귀한 빅 나비 커스텀이 왔습니다. MSI 라데온 RX 6800 XT 게이밍 X 트리오 D6 16GB 트라이프로져2 귀

기획뉴스 최신 글

이전 페이지 1/10 다음 페이지
  • 어느새 10집···에픽하이 장수비결은 무엇?

    맨즈랩 21.01.15. 읽음 73 공감 2
  • 내 여자친구 HP 회복 포션 ‘딸기음료’ 한 잔?

    맨즈랩 21.01.15. 읽음 83 공감 2 댓글 1
  • [세계기행] 월희, 리메이크 전 스토리 알아보자

    게임메카 21.01.15. 읽음 84 공감 1 댓글 1
  • [한주의 게임 소식] 글로벌 돌풍 일으킨 원신, 넥슨의 PC방 쾌진격

    게임동아 21.01.15. 읽음 76 공감 1
  • [꿀딴지곰 겜덕연구소] 코로나19만큼 무섭다, 게임 속 끔찍한 질병과 저주들!

    게임동아 21.01.15. 읽음 67 공감 2
  • 바운티팜 김영찬 대표 "국제 무역,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비대면 거래 실현"

    IT동아 21.01.15. 읽음 74
  • [다크호스 #9] 현대차 독기 품은 '스타렉스 아닌 스타리아, 승합차 아닌 MPV'

    오토헤럴드 21.01.15. 읽음 95
  • [김흥식 칼럼] 방심한 토요타, 전기차 확전에 자동차 판세 대전환

    오토헤럴드 21.01.15. 읽음 74
  • GM이 공개한 얼티엄 BEV 3종 세트 '강력하거나 럭셔리하거나'

    오토헤럴드 21.01.15. 읽음 146
  • [CES2021] 비대면 시대 맞은 CES, 삼성·LG전자로 보는 온라인 박람회의 현주소

    IT동아 21.01.15. 읽음 86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업무 디지털화,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열쇠"

    IT동아 21.01.15. 읽음 72
  • 2021년 새로운 도약 노리는 게임사들

    게임동아 21.01.14. 읽음 73
  • 펩시를 가져왔으니 전투기를 내놓으시오

    마시즘 21.01.14. 읽음 193 공감 3 댓글 1
  • 엔비디아, RTX 30 시리즈 모바일 GPU 공개··· 게이밍 노트북의 새 장 연다

    IT동아 21.01.14. 읽음 221 공감 3 댓글 1
  • 게임에서 영화도 보고 콘서트도 즐기고 '메타버스'로 진화 중

    게임동아 21.01.14. 읽음 53 공감 1
  • 모바일 게임도 리마스터? 새롭게 변신 선언한 구작들

    게임동아 21.01.14. 읽음 68
  • [뉴스줌인] 지포스 RTX, GTX 시리즈의 차이점은?

    IT동아 21.01.14. 읽음 271 공감 1
  • 10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들은 라이트룸 클래식, 포토샵, 프리미어 프로의 편집 속도는 어떤 속도를 낼까?

    브레인박스 21.01.14. 읽음 2,388 공감 6 댓글 2
  • [CES2021] 기승전'콘텐츠'로 나아가다, 핵심 주제로 보는 소니 미디어데이

    IT동아 21.01.14. 읽음 112
  • [다크호스 #7] 쌍용차 '코란도 e 모션' 절박한 위기 끝낼 역사적 사명

    오토헤럴드 21.01.14. 읽음 87
  • [순위분석] 10년 만에 독립하는 맛집, 테라에 관심 몰렸다

    게임메카 21.01.13. 읽음 86
  • [꿀딴지곰 겜덕연구소] 게임과 과자는 찰떡궁합! 애어른 전부 사로잡는 무적의 콜라보!

    게임동아 21.01.13. 읽음 106 공감 2 댓글 1
  • 이번엔 해외로···AI 복원이 시급한 뮤지션은 누구?

    맨즈랩 21.01.13. 읽음 120
  • [CES2021] 디지털로 진행되는 유레카 파크, C스페이스는 어떤 모습인가?

    IT동아 21.01.13. 읽음 102
  • 방향 다시 잡은 프리미엄 모바일AP, 삼성 엑시노스 2100 특징은?

    보드나라 21.01.13. 읽음 3,709 공감 7 댓글 5
  • [CES2021] AI로봇, 일상 속으로··· 삼성이 선보인 미래기술 키워드 3가지

    IT동아 21.01.13. 읽음 108
  • 하이파이클럽 어워즈 2020 올해의 기기 4편 : 소스기기 부문 - 아날로그

    하이파이클럽 21.01.13. 읽음 91
  • [CES2021] 인텔, 사무용에서 교육, 게임용까지 아우르는 신형 프로세서 제품군 발표

    IT동아 21.01.13. 읽음 124 공감 1 댓글 1
  • [김흥식 칼럼] 현대차 씽크 탱크 '글로벌경영연구소' 해마다 헛발질

    오토헤럴드 21.01.13. 읽음 75
  • 2021년, e스포츠 출범 가능성 보이는 게임 5선

    게임메카 21.01.12. 읽음 100
  • [CES2021] 빠지지 않을 것 같던 중국색 빠지다··· 중국 기업의 이유 있는 잠수

    IT동아 21.01.12. 읽음 157 공감 1
  • [CES2021] 가전만큼 주목받는 전장 사업, CES2021의 주요 전장 발표 요약

    IT동아 21.01.12. 읽음 127 공감 1
  • 트라이본즈 나정호 상무 "협업툴 도입은 일하는 방법을 바꾸는 기회"

    IT동아 21.01.12. 읽음 80
  • 접이식 자전거 브롬톤 출시 40주년 … 문화가 되다

    위클리포스트 21.01.12. 읽음 139
  • 3달 만에 2조 원 매출 넘은 '원신', 미호요가 무섭다

    게임동아 21.01.12. 읽음 127
  • [김흥식 칼럼] 현대차그룹과 애플 '이뤄질 수 없는 애정행각'

    오토헤럴드 21.01.12. 읽음 84
  • [CES2021] 가전부터 QNED TV, 덧붙여 롤러블 폰까지··· 어깨에 힘 붙는 LG전자

    IT동아 21.01.12. 읽음 122
  • 비트코인 광풍에 또 우는 게이머들

    게임동아 21.01.12. 읽음 216 공감 1
  • ‘드래곤 퀘스트 11’의 호쿠토 PD와 야기 디렉터 "한국 팬들을 찾아가지 못해 아쉬웠다"

    게임동아 21.01.11. 읽음 127
  • 조선시대에 커피를 마시러 간다면?

    마시즘 21.01.11. 읽음 1,174 공감 4 댓글 2
  • [뉴스줌인] 화면 일체형 IPTV 단말기, KT 기가지니 테이블 TV 2의 이모저모

    IT동아 21.01.11. 읽음 167 공감 1 댓글 1
  • ‘미나리’에서 ‘한산’까지···올해 한국영화 기대작 6선

    맨즈랩 21.01.11. 읽음 174 공감 1 댓글 2
  • [기고] 코로나19 시대를 대비하는 '3-2-1 백업원칙'

    IT동아 21.01.11. 읽음 108 공감 3 댓글 2
  • [다크호스 #5] 쉐보레 타호 '거대한 덩치, 카니발까지 겨냥한 대형 SUV'

    오토헤럴드 21.01.11. 읽음 140 댓글 1
  • 이제는 필환경, 착한 뷰티&패션

    패션서울 21.01.11. 읽음 89 공감 1 댓글 2
  • 국내 게임사, 2021년에는 한우물만 파지 않는다

    게임메카 21.01.11. 읽음 152 댓글 1
  • ‘동물의 숲’이 이끈 닌텐도 스위치, 21년엔 ‘몬스터 헌터 라이즈’로 바통 터치

    게임동아 21.01.08. 읽음 340 공감 4 댓글 5
  • [한주의 게임 소식] PC방 순위에 등장한 엘리온, 여전한 중국 뮤 IP의 저력

    게임동아 21.01.08. 읽음 133 댓글 2
  • 2021년 새해를 위해 준비한 국내 게임사들의 핵심 무기 2부

    게임동아 21.01.08. 읽음 90 댓글 2
  • 선진뷰티사이언스, 자외선 차단 소재 분야 글로벌 Top 5 목표 천명

    아크로팬 21.01.08. 읽음 122 공감 1 댓글 1
  • 1월 21일(목) / HEXGEARS K840 STINGER RGB (레드, 백축)

  • [낙찰 공개] 마이크로닉스 TEMPEST2 ARGB 120 (3PACK/Controller)

  • [낙찰 공개] COOLMAX VISION 600W HDB

  • MICRONICS
  • 명성 인텔
  • 아이구주
PC버전 로그인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주) 다나와
대표이사:
손윤환, 안징현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1, 501 (목동, 드림타워) (우) 07995
  • 사업자번호:
    117-81-40065
  • 통신판매업:
    제2004-서울양천-00918호
  • 부가통신사업:
    제003081호
  • 고객센터:
    1688-2470
  • 이메일:
    cs@danawa.com
  • 사업자 정보확인
  • 이용약관
  • 책임의 한계
  • 청소년 보호정책
뒤로
맨위로 이동TOP 새로고침

안내

레이어 닫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 비공감 버튼을 눌러 글과 댓글에
여러분들의 의견을 주저없이 표현하세요!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적립됩니다.

포인트 안내
Dpg 본문간 이동 왼쪽으로 밀어서 이전 글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으로 밀어서 다음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목록
공감 2
비공감
댓글 3
공유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 카카오톡
  • 라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http://dpg.danawa.com/mobile/news/view?boardSeq=64&listSeq=4507485&share=directurl 복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