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설팅 회사 알릭스파트너스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전기차(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를 판매 중인 129개 브랜드 중, 2030년까지 재무적으로 생존 가능한 브랜드는 15곳에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산업 재편이 불가피하며 일부 업체는 시장에서 철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들 15개 브랜드가 2030년까지 중국 EV·PHEV 시장의 약 7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며, 브랜드별 연평균 판매량은 102만 대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구체적인 브랜드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다.
알릭스파트너스 아시아 자동차 부문 책임자인 스티븐 다이어는 중국 내 재편 속도가 다른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지방 정부가 지역 경제와 고용, 공급망 유지 등을 고려해 재무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브랜드를 지원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다이어는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신에너지차(NEV) 시장 중 하나”라며, “급격한 가격 경쟁, 빠른 기술 혁신, 신규 진입업체의 잇따른 등장으로 시장 경쟁 강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환경이 기술 발전과 비용 절감을 빠르게 이끌었지만, 많은 업체가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중국에서는 비야디(BYD)와 리오토(Li Auto)를 제외하고, 연간 흑자를 기록한 상장 전기차 업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규제 당국은 자동차 업계에 과도한 가격 경쟁을 자제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다이어는 가격 경쟁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가격 인하뿐 아니라 보험 보조금, 무이자 할부 등의 간접적인 방식으로도 가격 경쟁이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중국 자동차 공장의 지난해 평균 설비 가동률은 50%로, 최근 10년 사이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다. 이는 자동차 제조사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중국전기차시장 #전기차경쟁 #EV시장재편 #알릭스파트너스 #BYD #리오토 #전기차가격경쟁 #자동차구조조정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