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그룹이 차량 판매 대수가 소폭 증가한 번면 자동차 부문 순현금흐름은 -14억 유로로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출처:폭스바겐코리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폭스바겐그룹이 2025년 상반기 실적을 발표하고 저마진 전기차 비중 확대와 미국 수입 관세 인상, 구조조정 충당금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3% 줄어든 67억 유로(약 9조 8000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총매출은 전년 동기와 유사한 1584억 유로(약 257조 641억 원)로 집계됐고 차량 판매 대수는 436만 대로 소폭 증가했지만, 자동차 부문 순현금흐름은 -14억 유로로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리비안 지분 추가 인수와 관세 대응 비용 등의 일회성 요인도 영향을 미쳤다.
전기차 중심 전략은 서유럽을 중심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 순수 전기차 주문량은 전년 대비 62% 증가했으며 유럽 전기차 시장 점유율도 28%에 달했다. 폭스바겐 ID.7 투어러, 아우디 Q6 e-트론, 포르쉐 911 등 신모델들이 판매 상승을 견인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산화탄소 규제, 환율 효과, 고정비 부담, 미국발 통상 리스크가 수익성을 악화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폭스바겐은 영업이익률 전망치를 기존 5.5~6.5%에서 4.0~5.0%로 하향 조정했고 관세가 유지될 경우 하반기 실적이 더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르노 안틀리츠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실질적인 현금 흐름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수익 개선 프로그램의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룹은 순유동성 유지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며 구조조정과 미래차 투자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편 브랜드 그룹별로 보면 스코다가 영업이익률 8.5%로 가장 양호한 성과를 냈고, 포르쉐는 판매량 감소 및 비용 증가로 수익이 감소했다. 트라톤 상용차 부문은 북미·브라질 수요 둔화로 인해 영업이익이 39% 급감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