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2027년부터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이하 DPP) 제도를 의무화함에 따라 섬유·패션 업계는 제품의 소재, 생산지, 탄소배출, 재활용 가능성 등 전 과정의 환경 데이터를 공개·관리해야 하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단순한 라벨 표기를 넘어 제품의 생애주기를 디지털로 추적하고, 소비자와 업계 전반에 투명성을 제공하는 DPP는 향후 글로벌 패션 시장의 판도를 바꿀 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그룹 베인앤컴퍼니와 이베이는 DPP가 패션 제품의 ‘수명 가치(life value)’를 최대 두 배까지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경쟁 질서가 다가오면서, 이미 수십 년 전부터 내구성과 지속가능성을 기업 철학으로 삼아온 소재 과학 기업 고어(W. L. Gore & Associates, Inc.)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고어는 제품 수명 연장과 환경 영향 최소화라는 DPP의 핵심 가치와 맞닿은 혁신을 이어오며 업계를 선도해왔다.
ESG 보고서부터 PFC-Free 소재까지… 고어의 투명한 지속가능 행보
고어는 2014년부터 매년 ‘사회적 책임 보고서’를 발간하며 ESG 활동을 투명하게 공개해왔다. 2017년에는 PFC 제거 및 OEKO-TEX®·bluesign® 인증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고, 2020년에는 OEKO-TEX® 인증 100%, bluesign® 승인 85%를 달성했다. 특히 2018년부터는 고어텍스 소비자 의류 원단에 PFC-Free 발수 처리 시스템을 도입, 환경 부담을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높이는 성과를 거뒀다.
2024년 고어 사회적 책임 보고서
탄소 감축 목표에서도 발 빠르게 성과를 내고 있다. 고어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을 실현한다는 장기 목표를 세우고, 2030년까지 자사 시설의 탄소배출량을 60%, 제품 관련 배출량을 35% 줄인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섬유사업부의 Scope 3 배출량을 전년 대비 7% 줄였고, Scope 1·2 배출량은 무려 54% 감축해 2025년 목표를 조기에 달성했다. 제조시설의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도 75%까지 높아졌다.
혁신 소재에서도 고어는 주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ePE 멤브레인’은 기존 고어텍스 소재의 방수·방풍·투습 성능을 유지하면서 PFC-Free 기술을 적용해 환경 영향을 크게 줄였다. 또한 재활용 원단, 원액 염색·무염색 기법을 도입해 물 사용량을 최대 60% 절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고어는 2025년 하반기까지 모든 고어텍스 제품군에 ePE 멤브레인을 순차 적용해 ‘내구성·프리미엄·지속가능성’을 아우르는 섬유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예정이다.
DPP 시대 준비, 패션업계는 투명성·데이터 관리 역량 필요
DPP 시행까지 2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와 패션업계는 요구사항 충족을 위한 디지털 정보 관리 체계 구축 필요성을 잇달아 강조하고 있다. 원자재, 제조 이력, 탄소 배출량, 재활용 가능성 등 공급망 전체의 데이터가 공개되어야 하는 만큼 단순 라벨링을 넘어선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실행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영국 패션 브랜드 노바디스 차일드(Nobody’s Child)는 2023년 9월부터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해 현재 주요 컬렉션으로 확대 적용했다. 제품 케어라벨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소비자는 공급망 정보, 탄소발자국, 물 사용량, 관리 방법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에서는 원료 가공·염색·봉제 등 공정별 국가와 공장, 근로자 수까지 공개한다. 이는 단순한 제품 구매를 넘어 생산 과정 전반의 투명성을 제공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미국 유통 대기업 타겟(Target) 역시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2024년 자사 의류 브랜드 ‘유니버설 스레드(Universal Thread)’ 약 3,500만 벌에 DPP를 적용, QR코드를 통해 소재 구성, 제조국, 생산일자 등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세탁법, 스타일 추천, 중고 판매 경로까지 제공했다. 특히 중고 거래 플랫폼 포시마크(Poshmark)와 연동해 재판매를 원활히 하고, 판매 이력과 재활용 데이터를 동시에 축적함으로써 순환경제 전략을 본격 가동하고 있다.
지속가능 패션의 미래, 고어의 철학과 DPP가 만나다
EU DPP 제도 의무화는 패션산업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 전망이다. 제품의 생애주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순환경제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시장 질서가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내구성과 환경 책임을 기업 철학으로 실천해 온 고어의 사례는 업계가 나아가야 할 지속가능 패션의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결국, 투명성과 혁신을 바탕으로 한 고어의 행보는 DPP 시대를 맞이하는 글로벌 패션업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DPP 제도의 본격 시행은 단순 규제가 아닌, 지속가능한 미래 패션 산업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구글 ‘픽셀 워치 4’ 공식 발표… 위성 비상통화·수리 친화 설계·배터리 25%↑
· 캘빈클라인, 배우 나나와 함께한 2025 가을 데님 캠페인 공개
· MSI, AMD 라이젠 Z2 익스트림 기반 휴대용 게임기 ‘클로 A8 BZ2EM’ 8월 22일 국내 출시
· 후지필름 코리아, 미러리스 신제품 ‘X-E5’ 출시 기념 론칭 프로모션 실시
· 서린씨앤아이, 리안리 PC케이스 ‘O11D MINI V2’ 국내 정식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