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하는 글로벌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주로 저가의 LFP를 무기로 하는 중국산 배터리가 유럽과 일본 자동차 시장으로 빠르게 확산되며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를 비롯해 스텔란티스 그룹, 포드, 테슬라와 폭스바겐, 기아 등이 그에 속한다.
시장조사회사 SNE 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전 세계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용량은 총 504GWh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특히 탑재량 상위 10개 기업 중 6곳이 중국 기업이며, 이들 6개사의 점유율은 전체의 69%를 차지해 전년보다 4%포인트 늘어났다.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CATL은 헝가리에 대규모 공장을 건설하는 등 중국 외 지역으로 생산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CATL은 저렴하고 발화 위험이 적은 LFP 배터리를 주력으로 하며, 테슬라와 메르세데스 벤츠 그룹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이를 채택하고 있다.
반면, 주행 거리가 긴 삼원계 배터리를 주력으로 하는 한국과 일본 기업들은 미국과 일본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대응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7월, 약 5조 9,442억 원 규모의 LFP 배터리 수주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테슬라에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나소닉은 글로벌 톱 10에 유일하게 진입한 일본 기업으로, 테슬라 외에 마쓰다, 스바루에도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현재 미국 정부의 전동화 전략 수정으로 배터리 수요가 주춤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동차 기업들은 저비용의 중국산 배터리 채택과 자체 생산 투자 사이에서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온보드 배터리가 전기차 시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되면서, 자동차 제조사와 배터리 제조사 간의 역학 관계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