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372. 중국 거대 기술기업들, 세계 자동차 시장으로 스며든다

글로벌오토뉴스
2025.09.19. 16:38:16
조회 수
1,275
18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리비안의 CEO 스카린지가 중국 자동차의 미국시장 진출과 관련해 가격이 아니라 기술력이 더 위협적이라고 강조했다. 당장에 진출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자동차회사 수장의 발언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니오가 맥라렌에게 기술을 공급한다는 내용도 주목을 끈다. 중국차의 기술력에 대해 검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여전히 적지 않다. 그러나 이미 글로벌 플레이어들은 중국 거대 기술기업들과의 협력을 당연시하고 있다. 사업 모델이 다르지만 화웨이가 가장 두드러진다.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두, 딥시크, 모멘타, 호라이즌 등은 글로벌업체들에게 다양한 기술을 제공하며 세를 확대해 하고 있다. 이들이 중국 업체들은 물론이고 글로벌 플레이어들과의 협력 관계를 어떻게 맺어 가고 있는지 정리해 본다.

글/채영석(글로벌오토뉴스 국장)

지금은 대부분의 글로벌 플레이어들이 중국 기술 기업들의 힘을 빌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자 기술 경쟁이 가장 치열한 중국에서 생존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지 테크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 내 인포테인먼트, 디지털 경험 등 소프트웨어 기술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부분의 글로벌 업체들은 중국 내 대규모의 R&D센터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이런 흐름에서 두드러진 중국 기술 기업들은 화웨이를 비롯해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딥시크 등이다.



화웨이는 자동차를 직접 생산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협력 모델을 통해 완성차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미 중국 자동차회사들과 다양한 형태로 그들의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 크게는 다양한 자동차 제조사들과 함께 만든 HIMA가 있다. 그 팀 안에 화웨이가 거의 공동 창업자처럼 깊게 관여하며 함께 제품을 만들고 파는 즈쉬안이 있다. 즈쉬안은 자동차 설계, 품질 관리, 마케팅, 판매 채널까지 공동으로 운영한다. 화웨이는 단순히 서플라이어로써의 역할은 물론 첨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HI)를 공급하는 화웨이 인사이드 모델 등으로도 협력한다.

화웨이는 세레스와 아이토 브랜드를 공동으로 만들었다. 체리자동차와는 럭시드 브랜드를 공동 개발했으며 창안자동차와는 아바타 브랜드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둥펑자동차와도 엠-히어로(M-Hero) 모델에 화웨이의 스마트 드라이빙 시스템과 콕핏 기술을 탑재했다. 광저우자동차그룹과는 화웨이의 하모니OS와 스마트 콕핏 등을 탑재한 신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해외 업체들과는 이런 사업 모델들 따르지 않고 있다. 화웨이가 자체 개발한 차량용 부품,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을 자동차 제조사에 공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닛산은 중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댈의 디지털 콕핏 시스템 개발을 위해 화웨이와 협력했다. 이는 화웨이의 독자적인 운영체제 하모니OS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과거 메르세데스 벤츠가 BYD와 합작한 브랜드 덴자에 화웨이의 스마트 솔루션이 일부 적용된 바 있다. 일부 아우디 모델에는 화웨이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나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웨이는 해외 시장에서는 동반자보다 기술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중국 내 업체들과의 밀착 협력을 통해 쌓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폭스바겐의 한 부품 공급업체와는 4G 표준 필수 특허에 대한 대규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차량의 무선 연결 기능에 화웨이의 특허 기술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BMW와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 등과도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차량의 무선 기술 부문에서 협력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클라우드 컴퓨팅, AI, 전자상거래 분야의 전문성을 활용해 자동차 회사들과 협력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 기업 운영, AI 기반 비즈니스 혁신, 차량 내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 전자상거래 플랫폼 협력 등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파트너로는 BMW, 보쉬, FAW 등이 있다. BMW와는 알리바바의 대규모 언어 모델 큐원(Qwen)을 BMW의 차세대 모델 노이어 클라쎄에 통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 기반의 지능형 개인 비서를 구현하여 차량 내 경험을 개선한다.

보쉬는 알리바바 클라우드와 AI 인프라를 활용해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두 회사는 최근 협력 관계를 더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클라우드 컴퓨팅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보쉬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함이다. 특히 스마트 모빌리티와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시너지 창출을 꾀하고 있다.

또한 제일자동차그룹과는 AI 공동 연구소를 설립했다. 양사는 알리바바의 오픈 소스 언어 모델 크웬(Qwen) 모델을 활용하여 자동차 산업에 특화된 도메인별 기반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FAW 그룹의 전반적인 비즈니스 시나리오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미 업계 최초의 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BI(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도구인 GPT-BI와 기업용 AI 에이전트 오픈마인드 등 선구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도입한 바 있다. 이에 더해 두 회사는 상하이자동차(SAIC)가 합작 설립한 반마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ICV(지능형 커넥티드 차량) 운영체제를 개발한다.



텐센트는 거대한 사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인포테인먼트, AI, 빅데이터 분야에서 자동차 회사들과 제휴하고 있다.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AI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빅데이터 활용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파트너로는 토요타와 현대차,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 등이 있다. 토요타는 2024년 베이징 모터쇼에서 텐센트와 전기차 분야에서 전략적 제휴를 발표했다. 중국에서 판매되는 토요타 전기차에 텐센트의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텐센트의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스마트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텐센트의 인기 모바일 게임을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탑재하는 등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텐센트와도 제휴하여 인포테인먼트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바이두는 자율주행 기술 아폴로를 중심으로 자동차 회사들과 협력하고 있다.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시스템, 내비게이션, 인공지능 기술 등을 제공한다.

주요 파트너로는 현대차•기아와, 닛산, 테슬라 등이 있다. 현대차 기아와는 2014년부터 10년간 커넥티드카 분야에서 협업을 이어왔다. 최근에는 중국 시장 커넥티드카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해 협력을 강화했다. 현대차는 중국의 썬더소프트 및 지엔드 로보틱스와도 파트너십을 맺어 스마트콕핏과 지능형 주행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닛산은 AI 분야에서 바이두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테슬라는 중국 내 완전자율주행(FSD) 기능 구현을 위한 지도 제작 및 내비게이션 분야에서 바이두와 협력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버는 바이두의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 아폴로 고를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딥시크는 AI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주력으로 자동차 내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며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주요 파트너로는 BMW, 테슬라 등이 있다. BMW는 2025 상하이 모터쇼에서 딥시크의 기술을 자사 차량에 통합할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중국 시장에 출시될 BMW의 5시리즈 롱휠베이스, i5, 신형 X3 등에 딥시크의 생성형 AI와 자연어 처리 기술이 탑재된다. 이는 음성 비서, 내비게이션 등 차량 내 디지털 경험을 중국 현지 사용자의 언어와 문화에 맞게 최적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테슬라는 중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와 인터넷 대기업 바이트댄스의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차량 내 음성 비서 기능을 도입한다.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현지 판매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테슬라는 바이트댄스의 AI 모델인 더우 바오를 작동 측면에, 딥시크의 AI 모델을 통신 측면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는 중국 정부의 생성형 AI 규제와 무관치 않다. 2023년 8월부터 시행된 규제에 따라 중국에서는 챗GPT 등 외국 기업이 개발한 생성형 AI 활용이 제한되고 있다. 혼다는 이미 중국용 전기차 예(Ye) 시리즈에 딥시크 AI를 탑재하기 시작했다. 둥펑 닛산의 N7에도 도입됐으며, BMW도 지난 4월 딥시크 AI를 채택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외에도 지리, 둥펑, 닛산 등 여러 자동차 회사들과 협력하며 차량 내 AI 기술을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호라이즌 로보틱스는 폭스바겐그룹과 2022년 주요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두 회사는 중국 시장을 겨냥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과 자율 주행 솔루션 개발에 중점을 둔 합작 회사를 설립하고 있다. 목표는 호라이즌의 칩과 알고리즘을 폭스바겐 모델에 통합하는 것이다. 아우디도 호라이즌과 협력해 중국에서 출시될 모델을 위한 AI 기반 조종석 및 ADAS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

자율 주행 스타트업 모멘타도 중국에서 미래 GM 차량을 위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드론으로 유명한 DJI도 자동차 분야에 진출하여 자율 주행 및 주차 시스템을 위한 비전 기반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BYD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두 회사는 DJI의 카메라와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DJI의 비전 기반 주차 및 운전 지원 시스템을 BYD의 차량에 통합했다. 이러한 협력은 배터리 및 칩과 같은 핵심 구성 요소부터 AI 알고리즘 및 사용자 대면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의 모든 중요한 측면을 포괄하도록 파트너십이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게임은 진행 중이다. 2020년을 기점으로 중국자동차와 글로벌 플레이어들의 기세는 역전됐다. 그 속도가 너무 빨라 대응이 만만치 않다. 그래서 대부분의 레거시 업체들은 중국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그렇게 해서 중국에서 중국의 기술을 채용해 중국시장 확대는 물론 해외 시장 확대도 노리고 있다.

썬더소프트는 현대자동차와 지능형 콕핏 플랫폼 개발을 위해 전략적 협력 프레임 워크 계약을 체결했다. 협력 범위에는 차량용 앱 스토어, 내비게이션, 음성 인식 및 대규모 언어 모델, 차량-기기 연결,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현대자동차는 이를 통해 중국 및 글로벌 시장을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전략 이행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세상은 바뀌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CEO 올라 캘레니우스의 중국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 입증한다. 그는 세계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중국에서 성공해야 한다며 중국을 전기화와 탈탄소화의 핵심 파트너로 묘사했다. 많은 중국 자동차 제조사와 공급업체들이 유럽에 공장을 설립하고 있는 지금, 캘레니우스는 메르세데스-벤츠가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중국 파트너들과 협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표현으로는 In China, For Global이다. 미국과 중국이 방법은 다르지만 폭력적인 정책으로 세계를 혼란에 빠트리고 있다. 지금 질문은 모두의 지속가능성이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DPG 모아보기 전체 둘러보기
1/1
취미 상품포럼 도트겜 가디스 오더
ㄷㅂㄷ 벤츠, BMW가 정신 차리면 소비자들은 냉정하게 돌아 선다!
입소문쇼핑 [★한가위 빅세일 43만★] HP 15인치 가성비 사무용 노트북 특가 안내!
ㄷㅂㄷ OpenAI 코리아 런칭 파티 다녀왔습니다
체험단 닌텐도 스위치2 포켓몬 레전드 ZA 게임 캡쳐보드 추천 스트림라인 미니+GC311g2 에버미니어
댕냥이게시판 어때 시원하지?
유머게시판 제목학원~
당첨후기 MSI MAG X870E 토마호크 WIFI 룰렛에서 당첨된 네이버페이 5천원 도착 (1)
체험단 인텔 코어 울트라7 시리즈 265K 작업용 게이밍 AIPC 성능비교
유머게시판 허브솔트 퇴마된다vs안된다
유머게시판 식당왔는데 화장실문 이게맞냐
ㄷㅂㄷ 포토샵은 몰랐다. 바나나가 날아올 줄은…
유머게시판 배달원이 치킨 빼먹은거같다
ㄷㅂㄷ 표준 레퍼런스 헤드폰 교체, 지금입니다 | 젠하이저 HD550 + iFi Go Link Max 행사
ㄷㅂㄷ 초저가 올인원 끝판왕! 셀프시공 3분완성? 나만알기 아까워 공개합니다 ㅋㅋㅋ (1)
유머게시판 세상에서 가장 지루한 중학교는?
유머게시판 여자가 바람피는 이유 (1)
일반뉴스 구글, 저가형 ‘AI 플러스’ 요금제 40여 개국으로 확대...챗GPT와 신흥국 시장 확대 경쟁 중
기획뉴스 민천홍 미니탭 동북아지역 본부장 “품질 4.0 시대, 50년 분석 노하우에 AI 더해 통합 플랫폼으로”
유머게시판 중국과 일본이 합심해서 대한민국을 뜯어말린 사건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