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oL) 월드 챔피언십이 오는 14일(화) 중국 베이징 스마트 e스포츠 센터(Beijing Smart Esports Center)에서 열리는 T1과 인빅터스 게이밍의 플레이-인으로 막을 올린다고 밝혔다.
T1과 인빅터스 게이밍은 LoL e스포츠의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팀들이다. T1은 14번 열린 월드 챔피언십에서 무려 5번이나 우승을 차지하면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환사의 컵’을 들어 올린 팀으로 남아 있다. 2023년과 2024년 월드 챔피언십을 연속 우승했기에 월드 챔피언십 기준 ‘디펜딩 챔피언’이기도 하다.
인빅터스 게이밍도 소환사의 컵을 들어 올린 바 있다. 2018년 한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kt 롤스터, G2 e스포츠, 프나틱 등 강호들을 연파한 인빅터스 게이밍은 중국(LPL)팀으로는 처음으로 월드 챔피언십 정상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T1과 인빅터스 게이밍은 2025년 LCK와 LPL에서 4번 시드 자격으로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하나, 14일 플레이-인에서 패하는 팀은 스위스 스테이지에 진출하지 못한다. 올해 월드 챔피언십에는 전 세계 5개 지역에서 17개 팀이 출전하고 LCK와 LPL은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 선전하면서 한 팀씩 더 출전할 수 있는 특전을 받았다. 하지만 4번 시드로 출전한 두 팀은 플레이-인에서 5전 3선승제 승부를 벌인 뒤 승리한 팀은 16강이 겨루는 스위스 스테이지에 합류하고 패배한 팀은 탈락한다.
외나무다리에서 만난 두 팀의 통산 상대 전적은 3승 1패(세트 기준)로 인빅터스 게이밍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2018년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승리한 뒤 2019년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 같은 조에 편성되면서 1승 1패를 나눠 가져갔고, 2019년 리프트 라이벌즈에서는 인빅터스 게이밍이 승리했다.
이와 함게 주목할 만한 점은 T1이 월드 챔피언십 무대에서 펼쳐진 5전 3선승제 경기에서 LPL팀을 상대로 무려 10연승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2023년에는 8강에서 LNG e스포츠를 꺾은 뒤 4강에서 징동 게이밍, 결승에서 웨이보 게이밍을 연파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2024년에도 8강에서 탑 e스포츠, 결승에서 빌리빌리 게이밍을 꺾고 정상에 오르는 등 LPL과의 5전제 승부에서는 불패의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14일 플레이-인이 끝난 뒤에는 곧바로 스위스 스테이지 조 추첨식이 진행된다. 올해 스위스 스테이지 조 추첨식은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인에서 이긴 팀이 속한 지역 리그의 3번 시드가 2부로 승격된다. 1부에는 5개 지역 리그에서 1번 시드를 차지한 5개 팀이 속하며 2부에는 각 지역 2번 시드와 플레이-인 승자 지역의 3번 시드가 배정된다. 3부는 남아 있는 각 지역의 3번 시드와 플레이-인 승리 팀으로 구성된다.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에서는 1부와 3부가 맞붙고 2부는 2부끼리 대결하는 방식으로 대진이 짜여지며, 같은 지역 출신 팀들은 대결하지 않는다.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부터는 성적이 같은 팀-1승은 1승끼리, 1패는 1패끼리-들이 맞붙고 같은 상대와는 다시 만나지 않는다. 같은 대진이 반복되거나 추첨으로 인해 다른 대진이 중복될 경우 해당 팀은 다음 빈 슬롯으로 재추첨된다.
T1과 인빅터스 게이밍의 맞대결로 막을 여는 2025 LoL 월드 챔피언십은
LoL e스포츠 공식 홈페이지와
SOOP,
네이버 치지직,
유튜브 LCK 채널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된다.
Copyright ⓒ 게임메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