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의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가 유럽연합(EU)의 ‘2035년 내연기관 신차 판매 전면 금지’ 계획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9일(현지시간) 독일 주요 자동차 제조사 경영진과의 회담 후 “2035년에 그런 엄격한 규제가 시행되지 않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메르츠 총리는 “전기차로의 전환은 계속될 것이며, 향후 몇 년간 중심 기술이 될 것”이라면서도 “자동차 산업이 대체 에너지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저소득층의 전기차 구매를 지원하기 위해 30억 유로(약 4조 5천억 원)의 보조금도 새로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독일자동차공업협회(VDA)의 힐데가르트 뮐러 회장은 “정부가 업계의 제안을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기술적 다양성이 고용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EU는 2035년 이후 판매되는 모든 신차를 ‘제로 에미션 차량’으로 전환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는 사실상 내연기관 차량의 신규 판매를 금지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하지만 유럽 제조사들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인상과 중국 브랜드의 급성장으로 시장 압박이 커진 상황에서, 해당 일정이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한다. 업계는 EU에 규제 유예와 기술 정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독일 연정 내에서는 사회민주당(SPD)을 중심으로 이견이 존재한다. 크링크바일 재무장관은 “항속거리 연장을 위한 레인지 익스텐더(ER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합성연료 혼합 차량을 2035년 이후에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충분히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밝혔다.
폭스바겐의 올리버 블루메 CEO는 “전기차가 미래의 핵심 기술임에는 동의하지만,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전면 금지는 비현실적”이라고 DPA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올라 켈레니우스 CEO 역시 “우리는 여전히 여러 우회로가 필요하다”며 “전동화된 내연기관 차량의 일정 비율 판매는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