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한국클래식카협회(KCCA), ㈜코엑스(COEX) 세 기관이 대한민국 클래식카 문화 진흥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이들 기관은 오늘(10/13, 월) 오전 11시 서울 코엑스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불모지나 다름없던 국내 클래식카 문화 기반 조성에 나선다고 밝혔다.
세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클래식카 전시 및 문화행사 공동 기획·운영,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 확대, 클래식카 보존·연구 및 자료 발굴을 통한 가치 확산 등 다방면의 협력 사업을 추진한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자동차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클래식카 문화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현대자동차그룹조차 자체 자동차박물관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화적 간극을 해소하고 발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세 기관이 힘을 모았다.
특히 협약의 중심에 선 **한국클래식카협회(KCCA)**는 세계클래식카연맹(FIVA)의 공식 회원국으로 승인된 국내 유일 단체로, 국제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클래식카 문화 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해왔다.
정재신 한국클래식카협회 회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클래식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넓어지고, 전시·보존·복원 등 다방면의 협력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조상현 ㈜코엑스 대표는 "이번 협약이 한국 클래식카 문화가 확산되고 고도화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K 컬처의 다양성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최대열 한국자동차기자협회 회장은 "클래식카는 자동차 산업의 역사와 기술, 시대정신을 담은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며, "협회 역시 그 가치를 널리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주식 한국클래식카협회 부회장 겸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은 FIVA 규정에 따라 30년 이상 된 도로용 자동차를 클래식카로 분류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단순한 연식보다 그 속에 담긴 역사, 기술, 문화적 의미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팬데믹 이후 유럽 등지에서 클래식카의 수집 가치가 오히려 높아지며 가격 상승세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덧붙였다.
한편, 이번 협약은 오는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코엑스 야외 잔디광장에서 열릴 국내 첫 클래식카쇼를 앞두고 체결되어, 한국 자동차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