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여파로 여행 소비 패턴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혼자 떠나는 ‘혼행(혼자 여행)’ 대신 여러 명이 함께 비용을 나누는 실속형 여행이 늘고 있으며, 100만 원이 넘는 장거리 유럽 대신 30~40만 원대의 일본과 동남아 여행이 급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호텔 검색 플랫폼 호텔스컴바인과 글로벌 여행 검색 엔진 카약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국인 여행객의 여행 검색 데이터 중 3인 이상 항공권 검색량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77% 급증했다.
‘여럿이 함께’ 떠나는 실속형 여행
3인 이상 항공권 검색량은 1년 사이 77%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2인 항공권 검색도 37% 늘어나며, 가족이나 친구 등과 함께 떠나는 여행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반면 1인 항공권 검색 점유율은 약 11%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숙박비와 식비 등 현지 경비를 나눠 부담할 수 있다는 점이 실질적인 1인당 비용 절감 효과를 주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한다. ‘친구·가족과 함께하는 동행 여행’이 2025년 가을·겨울 여행시장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일본, 항공권 검색량 압도적 1위…엔저에 ‘가성비 여행’ 열풍
항공권 검색량에서 일본은 2위 베트남의 약 2.7배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주요 도시별로는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순으로 인기가 높았으며, 평균 항공권 가격은 도쿄 약 45만 원, 오사카 약 29만 원, 후쿠오카 약 39만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사카는 교토와 나라 등 인근 관광지 접근성이 뛰어나 ‘가성비 일본 여행’의 대표 관문으로 꼽히고 있다. 후쿠오카는 인천에서 약 1시간 30분 거리에 위치해 단기 여행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지속되는 엔저 현상과 우수한 접근성이 일본의 독주 체제를 굳히며, 한국 여행객들에게 가장 부담 없는 대표 여행지로 자리 잡았다.
베트남, 30만 원대 항공권에 저렴한 물가…‘실속형 휴양지’ 부상
베트남은 일본 다음으로 높은 검색량을 기록하며 ‘합리적 대안 여행지’로 급부상했다. 평균 30만 원대 항공권 가격에 더해 현지 물가가 저렴해 ‘가성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다낭은 30만 원대 항공권으로 해변 리조트와 세계문화유산인 호이안 고도시를 동시에 즐길 수 있어 인기가 높다. 반면 과거 대표 가성비 여행지였던 태국 주요 도시의 평균 항공권은 40~50만 원대로 상승해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을 잃었다.
베트남은 저렴한 교통비, 식비, 숙박비 덕분에 전체 여행 경비를 줄일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이는 고물가 속에서도 실속 있게 해외여행을 즐기려는 한국 여행객들의 심리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다.
“가성비·동행 중심 여행 패턴, 더 강화될 것”
호텔스컴바인 최리아 마케팅 상무는 “고물가 시대에 여행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혼자보다는 함께 떠나는 그룹 여행이 크게 늘었고, 일본과 베트남이 대표적인 인기 목적지로 떠오르고 있다”며 “고객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맞춤형 여행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분석 결과는 ‘엔저 효과’와 ‘물가 부담’이 맞물리며, 여행객들이 단순한 휴식이 아닌 ‘경제적 효율’을 고려하는 새로운 여행 패턴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5년 여행시장은 단순한 해외여행의 부활이 아닌, ‘가성비 중심의 전략적 여행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뉴스탭/news@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지클릭커, 2만원대 초경량 무선 게이밍 마우스 ‘OP99 르캄프 라이트’ 출시
· ASUS ROG, ‘쿠가세’서 인기 게이밍 기어 대거 할인…최신 키보드·마우스 총출동
· 티머니, ‘모바일티머니 K-패스’ 전면 확대…아이폰·애플워치도 교통비 환급 혜택 누린다
· KFC, 소비자 투표로 완성된 ‘THE BOX’ 한정 판매…단 9,900원에 즐긴다
· 노이스 X VERDY, 인간과 자연의 연결을 입다…박서준도 함께한 ‘휴먼 커넥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