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가 2025년 10월 30일, 글로벌 에너지 전환 리더로 도약하기 위한 수소연료전지 및 수전해 생산 거점 설립을 본격화하며 울산공장 내에서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 기공식을 개최했다.
장재훈 부회장은 환영사에서 "수소연료전지 신공장은 현대차그룹의 수소 사회 전환 의지를 담은 전략적 거점"이며, "선박 및 건설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 연료전지를 공급하여 글로벌 수소 생태계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환 장관과 김두겸 시장은 모빌리티 탈탄소화와 청정수소 개발을 위한 기업의 혁신 노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상 3층, 연면적 9만 5,374㎡ 규모의 이 신공장은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며, 연 3만 기 규모의 연료전지 생산 능력과 국내 첫 PEM 수전해 생산 거점을 갖출 예정이다. 특히 이 부지는 과거 내연기관 변속기 공장이 있던 곳으로, 울산공장을 미래 자동차 산업 핵심 기지로 전환하려는 현대차의 상징적인 의지를 보여준다. 현대차는 이곳을 AI 및 로보틱스 기술, 최첨단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미래형 혁신 제조 플랫폼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신공장에서 생산될 차세대 수소연료전지는 출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여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PEM 수전해기는 수소연료전지의 역반응을 활용해 물에서 고순도의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장치로, 현대차는 약 30년 간의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90% 이상의 국산화율을 달성하고 있다. 현대차는 신공장 건설에 총 9,300억 원을 투자하며, 생산될 차세대 연료전지는 승용 및 상용의 특성에 맞춰 이원화되어 트럭, 버스, 건설 장비, 선박, 농기계 등 다양한 고객 사용처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날 현대차는 국내 수소버스 시장 확대를 위해 버스 제조기업 KGM커머셜과 수소연료전지 공급 MOU를 체결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기공식이 정부, 지자체, 기업이 '원 팀'으로 수소 경제 실현을 위한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치맥하고 간 젠슨 황, 엔비디아 국내 기업과 AI 협력 예고 / 25년 10월 5주차 [주간 AI 뉴스]](https://img.danawa.com/images/attachFiles/6/914/5913914_1.jpeg?shrink=320:180) 
												
											
											
										 
												
											
											
										![[다나와래플] 앱코 34인치 모니터 3일차](http://img.danawa.com/prod_img/500000/374/277/img/71277374_1.jpg?fitting=Large|140:105&crop=1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