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연계 지능형 헤드램프(ADB, Adaptive Driving Beam) 기술’로 지식재산처 주관 2025년 특허기술상 대상인 ‘세종대왕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현대모비스의 독자적 센서 융합 및 소프트웨어 기반 예측 제어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입증받은 결과다.
특허기술상은 최근 10년 내 등록된 우수 특허 중 산업 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발명을 선정해 시상하는 제도로, 올해 대상은 현대모비스의 지능형 헤드램프가 차지했다. 이 기술은 ADAS 센서와 소프트웨어만으로 상향등의 눈부심을 정밀하게 제어해 운전자의 시야 확보와 상대 차량의 안전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세계 최초 ‘예측 제어형 ADB’ 구현
ADB는 상향등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카메라 센서로 전방 차량을 인식해 해당 영역만 차단하는 지능형 조명 시스템이다. 현대모비스는 여기에 레이더, 내비게이션, 조향 센서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합해 기존 시스템이 대응하기 어려웠던 추월, 급커브, 고속 선회 등의 복잡한 주행 상황에서도 정밀하게 빛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코너 레이더 정보를 활용해 추월 차량을 사전 인식하고, 곡선주로에서는 차선 및 조향 데이터를 융합해 선행 차량을 예측적으로 감지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중앙분리대 너머의 버스나 트럭 등 대형차량 접근 시 좌측 하이빔 영역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반자율주행 주행 시에는 레이더와 주행 시스템을 결합해 상황에 따라 빔 패턴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 원거리 시야성을 극대화한다.
야간 주행 안전성과 에너지 효율 동시 개선
시험 결과, 현대모비스의 ADB 시스템은 기존 대비 93% 이상 상대 운전자의 눈부심을 줄이면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35% 향상시켰다. 소비전력 역시 최대 80% 절감해 에너지 효율성까지 확보했다. 이 모든 제어 과정은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ADAS 센서와 소프트웨어 융합만으로 구현됐다.
현대모비스는 이미 지난해 G80 페이스리프트 모델에 1세대 예측제어형 ADB를 적용했으며, 4가지 기능이 모두 탑재된 2세대 기술은 향후 현대차·기아·제네시스 주요 차종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글로벌 특허 포트폴리오 확장
이번 수상 기술은 세종대왕상을 받은 대표 특허를 포함해 총 49건의 출원 특허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3년간 전동화,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 미래 모빌리티 핵심 분야에서만 3,000건 이상을 포함한 7,500여 건의 신규 특허를 확보하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센서 융합 기술력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혁신 개발 역량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자율주행과 안전 기술을 결합한 미래차 조명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