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가 자사의 전기차에 적용된 첨단 구동 기술을 직접 설명하는 기술 영상을 공개했다. 작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대한민국 기술대상’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을 소개하는 이번 영상은 현대자동차그룹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영상은 현대차∙기아 전기차의 고성능 구동 기술을 일반 고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최근 같은 채널에서 공개된 ‘브레이크 작동원리’ 영상에 이어, 기술 중심의 고객 소통을 강화하려는 그룹의 의지를 보여준다.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인버터의 한계를 뛰어넘다
영상은 전기차 구동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인 모터, 감속기, 인버터의 기본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모터는 회전력을 만들고, 감속기는 이를 바퀴로 전달하며, 인버터는 배터리의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는 핵심 장치다.
기존 전기차의 인버터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반도체 기반의 6개 스위치로 구성된다. 하지만 현대차∙기아는 여기에 실리콘 전력반도체 6개를 추가해 총 12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을 완성했다. 이를 통해 모터에 인가할 수 있는 전압을 기존 대비 약 70%까지 높였고, 고속 영역에서의 출력과 가속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
도심 주행과 같은 저속 상황에서는 한 세트(6개)만 작동시켜 효율을 극대화하고, 고속·고출력 상황에서는 두 세트를 모두 활용해 폭발적인 성능을 구현한다.
독자 제어 알고리즘으로 완성된 정교한 전환
스위치 개수를 두 배로 늘리면 제어 범위 또한 복잡해진다. 현대차∙기아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독자 제어기법과 모드 절환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각 주행 모드 간 전환 시 이질감 없이 자연스럽게 절환이 이뤄지도록 설계해, 드라이빙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이 기술은 이미 기아 EV6 GT를 비롯해 현대 아이오닉 5N, 아이오닉 6N, 아이오닉 9, 올 뉴 넥쏘 등 고성능 모델에 적용돼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향후 출시될 전기차 라인업에도 순차적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글로벌 47건 특허 출원, 기술 독립의 자신감
현대차∙기아는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의 핵심 기술과 관련해 한국을 비롯해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 시장에 총 47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이는 전기차 모터 기술에서 독자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전장 부품 시장에서의 기술 주도권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원들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고출력과 고효율을 동시에 실현한 기술”이라며 “대한민국 기술대상 대통령상 수상은 물론, 경쟁사들이 우리 전기차를 분해해 분석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큰 자부심을 느꼈다”고 전했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기술 영상을 통해 자사 전기차의 기술력과 철학을 직접 설명하며, ‘기술로 소통하는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