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텍사스 오스틴에서 운영 중인 로보택시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 사고 3건을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보고했다. 이로써 로보택시 서비스 시작 후 총 사고 건수는 7건으로 늘었다. 주목할 점은 사고 발생 시 차량 내에 인간 감독관이 탑승해 추가 사고를 막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테슬라는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감독관의 위치를 운전석에서 동승석으로 옮긴 바 있다.
지난 7월 첫 달 동안 3건의 사고가 보고된 데 이어, 이번 9월에 발생한 3건의 추가 사고가 확인됐다. 이는 테슬라가 6월 말 서비스 출시 후 11월 초까지 로보택시로 25만 마일을 주행했다고 발표한 시기와 겹친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테슬라의 로보택시 사고율은 웨이모보다 약 2배 높은 수준이다. NHTSA에 보고하는 다른 회사들과 달리, 테슬라는 보고된 각 사고에 대한 설명을 삭제하여 대중이 사고 발생 경위와 책임자를 알 수 없도록 정보를 제한한다는 지적이 있다.
테슬라 보고서의 제한된 정보에 따르면, 새로운 사고 중 하나는 로보택시가 후진하는 차량과 충돌한 건이며, 또 다른 사고는 자전거 운전자와 관련된 사고, 그리고 마지막 사고는 정체불명의 동물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웨이모가 수억 마일의 라이더 전용 자율주행 마일을 보유한 반면, 테슬라는 감독자가 탑승한 상태로 수십만 마일만을 주행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일각에서는 인간 운전자가 과실 여부와 상관없이 약 70만 마일마다 사고를 당하는 점을 고려할 때, 주행 마일 대비 7건의 사고는 우려스러운 수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