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솔로이코노미] 줄어드는 쌀 소비량...쌀 대신 간편식 찾는 소비자들

2020.02.14. 11:47:56
조회 수
664
6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국내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쌀 가공식품의 소비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쌀 가공식품의 소비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하며 집밥을 먹을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쌀을 직접 조리하는 대신 즉석밥을 비롯한 쌀 가공식품을 통한 소비로 변한 영향이 크다.

즉석밥은 물론 냉동볶음밥과 파우치 죽, 도시락 등의 시장이 계속 증가하는 것을 봤을 때 쌀 가공식품 소비량 역시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2014년 65.1kg을 기록했던 1인당 쌀 소비량은 2015년 62.9kg까지 하락하더니 ▲2016년 61.9kg ▲2017년 61.8kg ▲2018년 61.0kg을 기록하는 등 해마다 줄어들며 계속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에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쌀과 기타양곡을 합친 1인당 연간 양곡소비량은 67.4kg으로, 2018년 대비 3.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쌀 소비량 역시 59.2kg으로 2018년 대비 3.0%(1.8kg), 기타양곡(8.2kg)은 2.4%(0.2kg)감소했다. 1인당 연간 양곡소비량은 198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며, 30년 전인 1989년 133.4kg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감소했다. 매년 돌아오는 '쌀의 날'의 명성이 무색한 수준이다.

하지만 쌀 소비량이 줄어들고 있음에도 쌀 가공식품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2013년 52만 6140t 수준이었던 연간 사업체부문 쌀 소비량은 2018년 75만 5664t까지 늘었다. 6년 새 43.6% 증가한 셈이다.

더불어 한국농식품유통교육원 등의 시장전망에 따르면 국내 HMR(간편식) 시장은 2011년 8000억 원 규모에 불과했지만 매년 20% 이상 성장해 지난해 3조5000억 원 규모로 커졌다. 앞으로 성장세는 더욱 가팔라져 2021년에는 7조 5000억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쌀 가공제품의 매출이 늘어나는 데는 즉석밥 시장이 견인했다는 관측이다. (사진=CJ제일제당 홈페이지에서 캡처)

이러한 현상은 즉석밥 시장이 견인했다는 관측이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2019년 소매점 기준 즉석밥의 시장 규모는 39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7% 성장한 수치를 보였다.

해당 시장을 이끈 것은 역시 국내 최초 즉석밥 제품을 출시한 CJ제일제당 '햇반'이다. 1996년 12월 출시한 햇반은 매해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더니, 마침내 2019년에는 누적 매출액이 3조 원을 돌파했다. 누적 판매량은 30억 개로 현재까지 사용한 쌀만 400만 가마니(3만 2000t), 온라인과 대리점 등을 포함한 연매출은 4860억 원이 넘는다.

그런가 하면 쌀 가공 효율화를 더해 즉석밥 외 햇반컵밥 등 쌀 가공제품 생산에도 열을 올릴 계획이다. 햇반컵반은 2015년 4월 론칭 후 첫해 연매출 200억 원을 기록했고, 이듬해인 2016년에는 500억 원대로 급증, 2018년 1000억 원대를 기록하더니 2019년에는 1110억 원을 달성했다. 

햇반컵반의 4년간 누적매출은 3000억 원이며, 총 판매량은 1억 3000만 개다. 햇반과 마찬가지로 햇반컵반도 상온복합밥 시장 점유율 70%를 웃돈다. 

쌀 가공제품 중 하나인 냉동볶음밥을 찾는 이들도 늘어났다. 2019년 1월 티몬에 따르면 지난해 냉동 볶음밥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9% 증가했다. 냉동볶음밥은 전자레인지나 프라이팬을 이용해 가볍게 데우기만 하면 먹을 수 있는 데다 200~300g으로 소분 포장돼 남는 쓰레기가 거의 없이 깔끔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파우치죽의 인기 역시 뜨겁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2018년 국내 즉석죽 시장 규모는 885억 원으로, 707억 원을 기록했던 2018년보다 25% 성장했다. 이는 불과 3년 전인 2015년 410억 원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커진 결과다. 

(데일리팝=이지원 기자)


이지원/dailypop@dailypop.kr


ⓒ 데일리팝(http://www.dailypop.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데일리팝 주요 기사]
· [브랜드 이거 아니?] "쓰레기로 만든 가방 사세요" 업사이클링 브랜드 '프라이탁(FREITAG)'
· [솔로이코노미] 유통 업계 휩쓴 간편 한 끼 '핑거밀'
· [식품단신]마켓컬리·11번가·GS25·세븐일레븐·파리바게뜨·맘스터치外
· [코로나 사태] "홈루덴스족 모여라" 식품업계, 에어프라이어 전용 상품 줄줄이 선보인다
· [생활Tip] 식품 첨가물 바로 알기,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이것'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르노 그룹, 최고재무책임자 던컨 민토 임시 CEO 선임...경영업무 전반 책임 오토헤럴드
美 NHTSA 살벌한 복수 예고... 테슬라 로보택시 겨냥 "엄격한 관리 필요" 오토헤럴드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시장, 중국 빠른 성장세 속 북미 '주춤' 글로벌오토뉴스
[영상] 폭스바겐의 영혼이자 심장, 신형 골프 GTI 시승기 글로벌오토뉴스
루시드 에어, 럭셔리 전기차 시장 선두 질주…테슬라 모델 S 판매 '뚝' 글로벌오토뉴스
GM, 저가형 LFP 배터리 생산 전환…전기차 시장 공략 가속화 글로벌오토뉴스
중국, 2025년 상반기 신에너지차 등록 사상 최고치…청정에너지 전환 '가속' 글로벌오토뉴스
폴스타, 2025년 상반기 판매량 51% 급증…3만 대 돌파 쾌거 글로벌오토뉴스
중국, 후난성서 4억 9천만 톤 규모 대규모 리튬 광석 매장지 발견…글로벌 주도권 강화 글로벌오토뉴스
영국 정부, 25억 파운드 'DRIVE35' 프로그램 출범…무공해차 개발 선도 목표 글로벌오토뉴스
BMW 그룹, 2025년 상반기 판매 전기차 '견인'…전체 판매는 소폭 감소 글로벌오토뉴스
일본 자동차 산업, 로봇 투자 '활활'…2024년 1.3만대 설치, 전동화 박차 글로벌오토뉴스
BMW, 중국 자율주행 기업 모멘타와 맞손…'중국 맞춤형' 지능형 주행 시스템 개발 가속화 글로벌오토뉴스
테슬라, 인도 시장 첫발…뭄바이 쇼룸 개장, 고관세 '변수'로 떠올라 글로벌오토뉴스
르노, CFO 던컨 민트를 임시 CEO로 선임 글로벌오토뉴스
[롤짤] 오로라로 정점에 섰다, 젠지 MSI 우승주역 '쵸비' 게임메카
밀리터리 X 서브컬처, 월드 오브 워쉽에 '블루아카' 등장 게임메카
[오늘의 스팀] 우주로 진출한 림월드, 평가 ‘압긍’ 게임메카
패스 오브 엑자일 2, 대형 업데이트 8월 말 온다 게임메카
데이터 제공하면 시민도 보상받는다… 한국의 새로운 AI 정책 전략 'AI 데이터뱅크' AI matters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