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 : 안정적인 전압과 준수한 효율까지 담긴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2025.07.04. 18:42:35
조회 수
81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96e106b15ffe7ef506d2df75d6586a6b405dd1a0.png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

캐주얼한 성능과 함께 가성비 있는 PC를 구성하고자 할 때, 시스템에 장착하고자 하는 파워서플라이를 결정하는 것은 많은 고민을 만들어냅니다. 단순히 출력 용량뿐만 아니라 출력 효율은 물론, 보호회로와 보증 기간도 적절한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때문에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모험을 하기보단, 그동안 익히 이름을 들어왔던 브랜드들의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번 리뷰에서 만나 볼 제품은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입니다. 파워서플라이 분야에서도 우수한 품질로 사랑받고 있는 글로벌 컴포넌트 기업 Antec에서 선보이는 새로운 브론즈 급 파워서플라이인데요.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시리즈인 CSK 제품군에 속한 본 제품은 정격 650W의 출력 용량과 80PLUS BRONZE등급을 지니고 있으며, DC to DC 설계를 적용하여 우수한 전압의 안정성과 낮은 리플 & 노이즈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제공되는 케이블은 섀시 본체에 다이렉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살펴보면, ATX 20+4 Pin 1개와 함께 EPS 4+4 Pin 커넥터가 Y형 케이블에 브리지 방식으로 총 2개 구성되어 있으며, PCI-E 6+2 Pin 커넥터도 Y형 케이블에 브리지 방식으로 총 2개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SATA 커넥터는 총 6개, IDE 커넥터는 총 3개를 제공하여 저장장치 및 주변기기와의 연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전 리뷰에서 만나보았던 정격 550W 제품과 동일하게 8종의 보호회로 및 5년의 무상 보증기간을 제공하고 있기에, 정격 650W의 용량을 활용하여 엔트리급 그래픽카드와 함께 가성비 PC를 구성해보고자 하는 유저분들이 더욱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실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그러면 지금부터 함께 제품의 패키지 및 외형과 내부, 그리고 테스트를 통한 성능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35f5bf0117f064b66921300a47f807649c974ba.png

73690d362a084dec78cec1dcc9bfe875cf076e71.jpg*측정 환경 및 방식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90cf3c99adbd139c1d722ec7fa33b73b792d1c3.pngfe517d1ba7565f676411f8117156d3ab0be9be29.jpg3cc5ba53b17baef57ad9b8b5d8a915c00acb98ed.jpg4058eb2d3b68bd97c2f726a3f023c6356eeab617.jpg2e2ed706578d71397ecd7e37db4b0f878358b2d7.jpgb6bc98cb437d4d50d63ff08c18308eff74932f57.jpg7fe4a08b8d44b65edfe9f88b6601366e43cfcb49.jpg45c579923ec3c48b640ad7ac8827c32859b5e9b8.jpg90296c614c81af0dfc529af5d6dce5738444131d.jpg7016a837f93ad079eca53092324ca495b17afe1c.jpg5ce978ec63b9eb9e049bc6d95ca2855bd7a99037.jpgb37c33613b64feb1720a6edbe2e12aed3ab9f8ff.jpga6cd066f47d16566423ead92359ab46869c72d80.jpgdab1f8d2db36528706e0b29be9bf1e953970a8b7.jpg2c3ae923483060c6e33e4da2c934111e8be578f2.jpg2f53b71001efc2da7c04fa176d29b55ebb81d9df.jpg9b8a0cc031271714e4901f67623f68b6420b924c.jpgd68b7014a5516007b443958bd5c10507afc6f927.jpg7efece84bb44d84e3077122489da10ae8d7f9a8c.jpg7fe81dd669b164e19e9d86764ee231bdf8f71921.jpgbdd4f0b59d903424b82071c40562e8b7aa8bc0bd.jpge8c768ad2a9e3756d65f8e977991deec8a6d941c.jpg0649eccb4aef16c979ccf3cfc6804983c94a3c8b.jpgce11f2e9cb8e278743316e12d6994a251a880122.jpg6a2573f5109be011788468cfdde98b6b7b50e0a5.jpgefce27d1ac6d58360c2371374083a9f8fc6859ac.jpg80395d16432fb39d0404e6535e0177aabe7ca4b5.jpg8bc09ae55251bb6db9c0b25ddcd35475b3d97194.jpg2ab40d94bc3177220f164a239d628c0c4a34779a.jpg8325055f035b03fe07b6d9e405b57a70b7d93556.jpgd8f682047b69deefd98660f54e1baad2c8ec581e.jpg9cd6d236346f5f94050dc29c960d0ff9934e6fb1.jpgaa909482782ec32d1a74ac423ffd1b3209ee2cdd.jpg998223209934ec29d481d6921ebba22cfa1310e0.jpga00475a6a7ececa87540c0c6123a7e9d43eee954.jpgfceef4c97d5e39089fa9bc39a8233f61b8055d1a.jpg50bf09b8235975ea9af4dc006cbab458c5365791.jpg   

   

  

   

   

 

fc8b3fc1cb2c84068d10c104aa1b758f73911fa1.png

7303ce5928919a929505388126557610d38ea3f1.png 

  

  

  

    
51311f0c356f1dd38ae860a73a4ad33a98221cad.png

출력 효율 측정
ITECH Electronics 社의 DC 로드기 제품 중 IT8514C+ / IT8512A+ / IT8511+ / IT8211의 총 4가지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가 낼 수 있는 정격 출력의 10%부터 100%까지 10개 단위로 나눠 테스트합니다. 출력 효율은 파워서플라이가 출력한 전체 출력(W)을 HPM-100A(Wattman)으로 측정된 파워서플라이의 소비 전력(W)으로 나눠 백분위(%)로 표기하며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표기합니다.
 
 
전압 측정
DC 로드기에서도 별도의 전압 측정 기능을 사용하여 전압을 기록합니다. 추가적으로 필요시 별도의 외부 전압 측정기를 사용한 후, 교차검증을 거쳐 결과값의 신뢰도를 보증합니다.
 
 
리플 & 노이즈 측정
Tektronix 社의 TPS2012B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의 리플 & 노이즈를 측정합니다. 파워서플라이 테스트 시스템의 테스트 보드에 각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리플 & 노이즈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쿨링팬 RPM 측정
Sampo 社의 DT6234B Digital Laser Tachometer를 사용하여 파워서플라이 쿨링팬의 RPM을 측정합니다. 레이저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에 별도의 개조 없이 RPM 측정이 가능합니다.  
  
  
소음 측정
부피 1.9 x 1.9 x 2 (m)의 이중 챔버 구조에 1 x 1 x 1 (m) 내부 구조의 규모로 설치된 무향실에서 CIRRUS RESEARCH CR-162B (Class 2 타입)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제품과 직선상 약 50cm의 거리를 두고 측정하였습니다. 또한 CIRRUS에서 제공하는 Noisetools을 이용하여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1d56b47890b1df512efded6b2c8a67cd95516957.jpg

▲ 파워서플라이 부하 테스트 : ITECH ELECTRONICS DC 로드기 시리즈


  

 

 

d73a908c5b0cccbbf9f65632d0ec7fecc6b49a12.jpg ▲ 파워서플라이 소비 전력 측정 : HPM-100A (Wattman) - 1초 단위로 측정 

 

   

  

  

e3bd9ae76d5538b5f4905e460e68b0d3e4dfba56.jpg  ▲ 리플 & 노이즈 측정 : Tektronix TPS2012B Two-Channel Oscilloscope

   

   

   

38771075cbf33cde7a5ebdd4af21640942416126.jpg▲ 쿨링팬 RPM 측정 : Sampo DT6234B Digital Laser Tachometer

   

   

   

5cb44c04ec11ef0adf86fd66aeeddf6d09eef86a.jpg  ▲ 소음 측정: 무향실 - 이중 챔버 구조 

   

   

   

f91e1e4c1f163fd02d37d1b59bfd04be2ceea7d6.jpg▲ 소음 측정: 측정 소음기 = CIRRUS RESEARCH CR-162B (Class 2 타입) 

  

   

   

  

  

    

9c6417bc61b074d7cff0efd5b0258781baa8bb83.png12a0eab6c4607193bd3e6c6209eb256db1fdc2fc.jpg     

본 제품은 80 PLUS BRONZE 115V 등급의 출력 효율 인증을 받은 제품입니다. 해당 인증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115V AC 환경 기준으로 20% 부하 구간에서 82% 이상의 효율을, 50%에서 85% 이상을, 100% 부하에서 82% 이상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220V AC 환경에서 출력 효율을 테스트한 결과, 아이들(IDLE) 상태와 비슷한 부하 환경인 10% 부하 구간에서는 84.04%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 80PLUS의 평가 구간을 살펴보면 20% 부하에서는 87.86%의 출력 효율을, 50%에서는 88.45%, 100%에서는 84.68%의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 

    

모든 부하 구간에 걸친 평균 효율은 약 86.94%로 측정되었으며, 실제 사용 시의 출력 효율은 AC 환경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e27779972acef2828912dbaf69138d7ace93bf4.png8859da12c9d4e2c9c349a93de217a2b73b6780de.jpg58be9e9118c963e94656851915d4435babe6b2b8.jpg3af106d021225cc494ea13967718af4d68e560ff.jpg   

PC용 파워서플라이에 가해지는 부하는 시스템에 구성된 부품의 조합과 각 부품이 소비하는 전력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동일한 부품 구성이어도 CPU 및 GPU의 오버클럭 여부 등에 따라 전력 소모량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조건에서도 +12V / +5V / +3.3V의 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0%부터 100% 부하 구간까지의 전압 출력 특성을 살펴보면, +12V는 부하에 상관없이 매우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하고 있으며, +5V와 +3.3V는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cf51223941a6a99466d25c8490a512969a62c4ec.pnge4ec0fa93b8ab97290cb46104a98f520c55c0314.jpg

 

최근에 출시되는 고성능 CPU와 GPU는 이전보다 더 많은 전력을 요구합니다. 여기에 일부 제품은 별도의 옵션 설정을 통해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설정들을 적용한 후에 PC를 사용하게 되면 +12V의 전력 소비량이 그렇지 않은 조건 대비 좀 더 늘어나게 됩니다. +12V가 다른 전압 대비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게 되는 이러한 환경은 본 테스트에서 살펴볼 '언밸런스 부하 환경'에 해당합니다. 

 

본 제품에는 DC to DC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12V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과 +5V, +3.3V에 많은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의 두 가지 언밸런스 부하 환경에서의 전압 출력을 측정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12V, +5V, +3.3V 모두 큰 차이 없이 안정적으로 각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99411a56d4b52504360b588905333df0c64093e.png09ed2f2aa7341a06c751e0ee37f6c730f5ae0863.jpg    

PC용 파워서플라이는 시스템 외부에서 공급되는 AC(교류) 전원을 시스템 내부의 각 부품에 필요한 DC(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할 때 파워서플라이에 입력된 교류 전원은 온전하게 직류로 변환되지 못하고 출력되는 전원에 사람의 맥박과 같은 흔적을 남기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리플(Ripple)'이라고 합니다. 

    

또한, 리플 외에도 파워서플라이 내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직류 전원에는 '노이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리플과 노이즈는 파워서플라이가 출력하는 직류 전원에서 빠질 수 없지만 수치가 낮다면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제품의 리플 & 노이즈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12V / +5V / +3.3V의 20% 부하 구간과 100% 부하 구간을 비교하였을 때, 모두 각 전압에 허용되는 수치가 적용되었습니다.

     

    

   

   

   

  db002a0d030a1cab57d767085a0a47b0258ca12a.pngae1c67df0669fada8eaf65daa900aaae926c4bdc.jpg

 

PC용 파워서플라이는 AC(교류) 전원을 DC(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제품에 탑재된 쿨링팬은 이러한 발열이 과도해지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전원 공급을 돕습니다. 쿨링팬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의 내부에는 슬리브(Sleeve) 베어링이 적용된 120mm 크기의 쿨링팬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으로 보급형 쿨링팬에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베어링과 샤프트 사이에 윤활유가 주입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본 제품에는 별도의 제로 팬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10% 부하에서 833 RPM, 약 23.8dB(A)의 소음도로 작동을 시작한 쿨링팬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가장 마지막인 100% 부하 구간에서는 2144 RPM, 약 47.0dB(A)의 소음도가 측정되었습니다.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소음은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a70c5a90952f3a538ab6bbae85e71c6e8102ebb.png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

          

8f6926563a8e33060328753420cd49413d0cf4f7.jpg

     

기본기의 든든함을 보여주는 Antec의 브론즈 급 파워서플라이

이번에 살펴본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 정격 650W의 출력 용량을 지닌 80PLUS BRONZE 등급의 파워서플라이입니다. 외형으로는 섀시 전체적으로 블랙 컬러를 적용한 디자인으로 심플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섀시 일체형 팬그릴 구조를 적용하고 있는데요. 여기에 다이렉트 방식의 케이블 설계를 사용하고 있고, 내부에는 제품명처럼 DC to DC 설계를 적용하여 더욱 높은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섀시 길이는 14cm로 측정되었습니다. 덕분에 ATX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즈의 케이스와의 호환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ca3d27836d7cadf9292dfd9ecc042d97786bedfe.jpg     

최대 88.60%, 전체 평균 86.94%의 준수한 출력 효율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는 80PLUS BRONZE 등급의 출력 효율 인증을 받았습니다. 일반적인 220V AC 환경에서 테스트한 결과 전체 부하 구간에 걸친 평균 효율은 약 86.94%로 측정되었며, 이 중 30%에서 약 88.60%의 최대 출력 효율을 보여주었는데요. 본 제품의 전체 출력 용량을 고려한다면, 브론즈 급에 걸맞은 준수한 출력 효율을 지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8ccc7315472e7c816b81acd08cebbff8a451e58b.jpg

  

안정적인 출력을 보여주는 +12V 전압 유지력

본 제품의 부하에 따른 +12V 전압 강하를 살펴보면, 부하가 늘어남에도 눈에 띄는 변동 없이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압 유지력 덕분에 +12V에 전압이 가해지는 다양한 부하환경에서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0dfb2bdc19f52861994e805cdf8a47d6027e1ca8.jpg

 

기본기의 충실함을 담아낸 Antec의 브론즈 파워서플라이!

Antec CSK 650W DC 80PLUS브론즈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DPG 모아보기 전체 둘러보기
1/1
자유게시판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디세이’
체험단 각종 액티비티 런닝 라이딩 골프 스마트워치 어메이즈핏 밸런스 2 체험 후기
자유게시판 7월 5일 박스오피스 /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노이즈, 엘리오 50만 돌파
자유게시판 전국 폭염특보 열대야 (1)
취미 상품포럼 로그라이크 생존 "원더버그" - 공개 트레일러 (1)
자유게시판 끝났어요 여길보세요~
자유게시판 오늘은 멍하게 하루를 보냈네요. (1)
푸드 상품포럼 퍽퍽하지만 맛이 좋은 푸드코아 `딸기잼 크림 소보로빵` (4)
자유게시판 7부 바지 구매했답니다 (1)
소비자사용기 알파스캔 32Q90G
유머게시판 나사도 못 푼 문제를 혼자서 푼 여성 (4)
자유게시판 밤이되니까 주말 ^^ (3)
자유게시판 어휴 덥네요 (4)
자유게시판 경찰 불렀는데 괜히 불렀네요 (5)
유머게시판 인도에서 깨끗한 얼음을 만드는 방법 (7)
입소문쇼핑 기본 무지 반팔 티셔츠 6,900원 배송비 3,000원
자유게시판 7/5(토) 12,053보를 걸었습니다. (5)
유머게시판 앗 뜨 (6)
체험단 음질, 착용감 다 잡은 무선 게이밍헤드셋 스틸시리즈 노바3 (1)
푸드 상품포럼 고메 콤비네이션 피자 (1)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