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EX GAMER BLACK OC D7 12GB [써보니] RTX 50 스팀 점유율 1위, 그 제품!

2025.11.21. 08:59:19
조회 수
245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RTX 5070은 현 세대 퍼포먼스 라인업의 중심에 있는 그래픽카드다. 스팀 점유율 1위라는 결과가 그 사용성과 신뢰도를 확인시킨다. DLSS 프레임 생성과 12GB GDDR7 구성이 QHD·FHD 환경에서 안정적인 프레임과 균일한 프레임타임을 확보해 주며, AI·3D·영상 편집 등 다양한 워크로드에서도 충분한 연산 여력을 제공한다. 상위 모델 대비 요구 사양과 전력은 현실적이고, 체감 성능은 효율적으로 정리돼 있다. GALAX RTX 5070 EX GAMER BLACK OC는 이러한 장점을 균형 있게 구현한 모델로, RTX 50 시리즈에서 가장 확실하게 추천할 수 있는 선택지다."


1. 25년 10월 스팀 하드웨어 점유율 1위 그래픽카드는?




살다 보면 의외의 사실에 놀라는 순간이 있다. 집에서는 매일같이 곰처럼 으르렁대던 여동생이 학교에서는 인기 폭발이라거나, 그냥 평범한 줄 알았던 옆집 동생이 전국 모의고사 상위 1%였다는 사실을 들었을 때처럼 말이다.

예상 밖의 결과는 늘 사람을 당황하게 만든다. 하지만 한편으론, 그런 순간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즐거운 ‘반전’이다. 신선함을 주니까.

2025년 10월, 스팀 하드웨어 점유율 데이터를 보며 그런 기분을 또 느끼게 된다. “과연 RTX 50 시리즈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그래픽카드는 무엇일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에서.플래그십? 아니면 가성비 모델? 긴장된 표정으로 데이터를 펼쳤는데, 결과는 어라? 가장 인기가 높은 RTX 50 그래픽카드, 그 주인공은 바로.. RTX 5070으로 확인됐다.

“어? 진짜?”
믿기 힘들겠지만, 레알 RTX 5070이 스팀 점유율 1위다.




◆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EX GAMER BLACK OC D7 12GB 그래픽카드

① 기본 사양
칩셋 : NVIDIA GeForce RTX 5070 (4nm)
인터페이스 : PCIe 5.0 ×16
권장 파워 : 정격파워 650W 이상
전원 포트 : 16핀(12V2x6) ×1

② 메모리 및 출력
메모리 : 12GB GDDR7, 28,000 MHz, 192-bit
영상 출력 : HDMI ×1, DisplayPort ×3
지원 기능 : 최대 모니터 4대, 8K 해상도, HDR, HDCP 2.3

③ 전력 및 냉각
소비 전력 : 250W
냉각 구성 : 방열판 + 히트파이프 + 트리플 팬(3-팬)
제로팬 : 0 dB 기술 지원

④ 외형 및 부가기능
카드 길이 × 두께 : 322 mm × 52 mm
백플레이트 : 메탈
LED 라이트 : 팬 LED
구성품 : 2×8핀 to 16핀 커넥터
유통 : 갤럭시코리아

















2. RTX 5070 밖에 할 수 없는 일이 있다




RTX 5070이 처음 등장했을 땐 반응이 미적지근했다. RTX 4070 Ti와 비슷한 성능인데 ‘확실한 우위’가 없다는 이유로 말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은 깨달았다. 이 가격대에서 이만큼 ‘확실하게’ 해주는 그래픽카드는 RTX 5070뿐이라는 걸.

남자가 칼을 빼들었으면 뭐라도 확실하게 베어야 한다. RTX 5070은 그런 검이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가격이 안정화된 뒤엔 현실적인 완성도가 눈에 들어온다. 딱 그무렵에 진입하면서 시작된 현상이다.




DLSS 프레임 생성으로 체감 성능은 확 오르고, 가격이 안정화 되면서 진입 장벽도 낮았다. 큰 돈 들이지 않아도, 큰 체감이 가능해진 그래픽카드. ‘이 정도면 됐다’가 아니라, ‘이 정도면 최고다’라는 확신을 주는 그래픽카드로 손색없다. 남은 건, 실제로 얼마나 잘 베는지 확인하는 일뿐이다. 이번엔 GALAX 지포스 RTX 5070 EX GAMER BLACK OC의 차례다.

무릇 자세히 보지 않아도 예뻤다




블랙 하우징이 주는 첫인상은 ‘근본’이다. 화이트 빌드가 유행하는 현 상황에서도, 여전히 블랙의 가치는 변하지 않았다. 시스템의 중심을 잡는 색이기도 하다. GALAX RTX 5070 EX GAMER BLACK OC는 그런 근본의 미학을 보여준다. 깊고 어두우며 화려한 디자인. 표면은 유광이 아닌 매트 블랙으로 마감돼 차분하다. 불필요한 반사는 줄이고 질감을 남겨 강화유리 케이스 안에서도 또렷하게 형태를 드러낸다.

RGB? 화려하다. 최근 RGB 하드웨어는 화려함보다는 은은하게 빛나는 것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는데, 적어도 그래픽카드만큼은 그럴 필요는 없어 보인다. 뜨겁던지 차갑던지 확실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GALAX RTX 5070 EX GAMER BLACK OC는 확실하다. 확실하게 화려하다. 전면부와 측면부에 듀얼 라이트닝이 적용돼 어딜 봐도 화려하다. 역시 ARGB 기기는 이래야 한다.






쿨링 구조는 3팬 에어 설계다. 250W급 GPU를 운용하기에 충분하며, 사일런트 익스트림 기술로 가벼운 작업에서는 완전히 멈춘다. 다만 게임 실행 등 부하가 걸리면 즉각 회전해 열을 내보낸다. 환경에 맞춰서. 쿨링팬은 WINGS 3.0 구조가 적용됐다. 강력한 102mm 팬과 이를 지지하는 두개의 92mm 팬이 적용된 것이다. 또한, 각 팬마다 7개의 대형 WINGS 3.0 팬 블레이드가 적용됐다. 이를 통해 풍압은 15% 증가했고, 전작 대비 최대 3도 하락했다. 소음도 5% 줄었다.






전원 연결은 최신 16핀(12V-2x6) 규격이다. 네이티브 케이블을 지원하는 파워라면 그대로 꽂아 쓰면 되고, 기존 파워 사용자는 동봉된 2×8핀 to 16핀 어댑터를 활용하면 된다. 다만 연결 후 케이블을 무리하게 꺾지 말고, 가능하면 직선으로 빼서 샤시를 따라 라우팅하는 것이 좋다. 그래픽카드는 케이블에 예민하니 세심하게 다루면 안정성과 수명 모두 지킬 수 있다.

길이는 322mm, 두께는 약 52mm로 2.7슬롯급이다. 대부분의 미들타워 케이스엔 문제없이 들어가지만, 전면 라디에이터를 장착한 케이스라면 공간이 빠듯할 수 있다. 즉 사용 전에는 사전 체크를 꼭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사전 체크가 설치 후의 불편을 줄이기 때문이다.

무게도 신경을 써야 한다. 32cm급 3팬 그래픽카드는 하중이 만만치 않아 장시간 수평으로 장착하면 카드가 아래로 살짝 처질 수 있다. 이는 PCIe 슬롯에 부담을 준다. 그래서 지지대를 함께 사용하는 게 좋다.




출력 포트 구성은 HDMI 1개, DisplayPort 3개다. 최대 4대의 모니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고, 8K 해상도·HDR·HDCP 2.3을 지원한다. QHD 메인 모니터와 보조 모니터를 함께 구성하는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한다. 스트리머라면 게임·채팅·송출을 각각 다른 화면에 분리할 수 있고, 크리에이터라면 타임라인·소스·프리뷰를 동시에 띄워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확실하게 써먹을 수 있는 합리적인 포트 구성’이라는 말이 딱 어울린다.


3. 퍼포먼스 급의 성능은 무엇을 노리는가?




엔비디아 RTX 5070은 RTX 50 시리즈에서 퍼포먼스급을 담당한다. 하위 모델인 5060 시리즈가 FHD 게이밍을 겨냥한 보급형 성격이 강하다면, 5070은 그보다 한층 더 나은 해상도와 프레임을 제공한다. 소비 전력은 250W로 성능을 생각하면 그리 높은 건 아니다. 거기에 12GB의 GDDR7 메모리와 28,000MHz 메모리 클럭, 그리고 6,144개의 CUDA 코어로 QHD 환경에서 고주사율로 최신 타이틀을 안정적으로 돌릴 수 있다.




◆ 테스트 환경

① CPU: AMD Ryzen 9 9950X3D
② M/B: ASRock X870 스틸레전드 WIFI
③ RAM: 마이크론 Crucial DDR5-6400 CL38 PRO Overclocking 블랙
④ SSD: 마이크론 크루셜 P510 1TB NVMe SSD
⑤ GPU: option
⑥ 쿨러: TRYX PANORAMA 3D SE 360 ARGB 수냉 쿨러
⑦ 파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1050W ATX3.1 화이트
⑧ OS: Windows 11 Pro 23H2

** 테스트는 no.1 커뮤니티 '빌런 = https://villain.city/ ' 벤치마킹팀과 공동 진행되었습니다.










◆ 사무/연산 성능 측정

RTX 5070이 평범한 게이밍 그래픽카드는 아니다. 창작 워크로드에서도 성능은 유효하다. 무려 12GB 용량의 VRAM을 장착한 덕분에 4K 영상 편집, 복잡한 3D 모델링 씬, AI 기반 이미지 생성에 이르기까지 무난한 작업성을 보장한다.

물론 더 높은 VRAM이 필요한 특수 환경(대형 CAD 어셈블리, 대규모 AI 배치)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크리에이티브 작업에서 병목 걱정은 기우다. CUDA·Tensor 코어를 활용하는 소프트웨어에서의 가속 성능은, 이전 세대 RTX 3070 대비 확연히 향상된 결과를 보여준다.

Benchmark Test RTX 5070 Ti RTX 5070 RTX 5060 5070 vs 5060 향상률 5070 vs 5070 Ti 성능 차이
3DMARK Speed Way 7585 5900 3477 +69.6% –22.2%
Port Royal 19455 14567 8618 +69.0% –25.1%
Time Spy Extreme 13655 11165 6910 +61.6% –18.3%
Fire Strike Extreme 34460 27441 17669 +55.3% –20.4%
Geekbench 6 OpenCL Score 235075 186381 123415 +51.0% –20.7%
Vulkan Score 229287 180145 116608 +54.5% –21.4%
Geekbench AI Single Precision 33787 29609 20452 +44.7% –12.4%
Half Precision 57255 52148 38378 +35.9% –8.9%
Quantized 25691 22922 15683 +46.2% –10.8%
PassMark 3D Graphics Mark 35075 28233 21941 +28.7% –19.5%
2D Graphics Mark 1411 1413 1425 –0.8% +0.1%
SPECviewperf 2020 3dsmax-07 267.72 217.88 130.48 +67.0% –18.6%
catia-06 127.26 110.50 70.46 +56.8% –13.2%
maya-06 805.81 714.06 508.93 +40.3% –11.4%
medical-03 69.49 56.95 39.70 +43.5% –18.0%
solidworks-07 599.02 513.13 290.53 +76.6% –14.3%

3DMark는 게이밍 성능을 가늠하는 데 널리 쓰이는 지표로, Speed Way와 Port Royal은 최신 렌더링 기법과 레이트레이싱 처리 능력을, Time Spy Extreme은 DX12 기반의 고부하 환경을, Fire Strike Extreme은 전통적인 DX11 부하를 다룬다. RTX 5070은 Speed Way와 Port Royal에서 RTX 5060보다 약 70%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Time Spy Extreme과 Fire Strike Extreme에서도 55-60% 정도 앞섰다. 수치상으로는 5070 Ti가 여전히 20-30% 정도 우위였지만, 메인스트림 환경에서 필요한 성능은 5070만으로도 충분히 확보된다는 점이 드러났다.

Geekbench 6의 OpenCL과 Vulkan 항목은 GPU가 영상 편집이나 물리 연산, 시뮬레이션 같은 범용 작업을 얼마나 빠르게 처리하는지를 보여준다. RTX 5070은 5060 대비 약 50%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해, 크리에이티브 워크로드에서 처리 여유가 확실히 늘어났다. 5070 Ti가 25%가량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하긴 했지만, 일반적인 활용에서는 5070 역시 체감상 충분히 매끄러운 속도를 제공한다.

AI 연산 성능을 측정하는 Geekbench AI 항목에서는 Single Precision, Half Precision, Quantized 세 가지 부문에서 모두 5060보다 35-45% 높은 점수를 냈다. 이는 이미지 생성이나 영상 업스케일링처럼 GPU 기반의 AI 워크로드에서 한 사이클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5070 Ti는 이보다 10-15%가량 높은 값을 보여주었으나, 절대적 차이보다는 효율과 전력 소모까지 고려했을 때 5070이 갖는 균형이 눈에 띈다.

PassMark의 3D Graphics Mark에서는 5070이 5060보다 약 30%가량 앞서며 다중 디스플레이와 VR 구동 같은 복합 환경에서도 여유를 보여주었고, 2D Graphics Mark에서는 세 모델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는 오피스나 웹 렌더링 수준의 작업은 이미 5060에서도 충분히 처리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전문 워크로드를 다루는 SPECviewperf 2020에서는 CAD와 모델링 환경에서 차이가 크게 드러났다. 3ds Max와 SolidWorks에서 60-70% 향상이 있었고, Maya와 Catia에서도 40-55%의 차이가 나타났다. 복잡한 모델이나 대형 어셈블리를 다룰 때 반응 속도가 개선되는 영역으로, 전문 작업 환경에서도 5070은 5060 대비 확실한 이점을 보여준다. 5070 Ti는 여전히 수치적으로 더 높은 결과를 냈지만, 실제 작업 흐름에서 느껴지는 간극은 제한적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RTX 5070은 5060 대비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통해 게임은 물론 범용 연산과 AI, 전문 워크로드까지 폭넓은 환경에서 한층 안정적인 사용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 5070 Ti와 비교했을 때는 여전히 절대 성능 차이가 존재하지만, 비용과 전력 소모를 고려하면 5070이 제공하는 효율과 균형이 충분히 설득력을 가진다.

◆ 게이밍 성능 측정

RTX 5070은 QHD 고주사율에 최적화된 그래픽카드다. AAA급 게임에서 옵션을 타협 시 144Hz 주사율에 맞춰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DLSS 프레임 생성 기능을 활용해 프레임 속도를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 다만 관련 업계가 권장하는 평균값은 FHD 환경이다. 그러한 부분을 감안해 테스트는 FHD 환경에서 진행했다. 참고로 둠: 더 다크 에이지스, 몬스터 헌터 와일즈, 사이버펑크 2077을 활용했다.

게임1. 둠: 더 다크 에이지스

둠: 더 다크 에이지스는 헤베스 구간에서 벤치마크를 진행했다. FHD 해상도에 수직동기화 해제 상태다. 전체 품질 슬라이더는 ‘최악의 악몽’으로 고정했다. 대조군은 업스케일러 옵션을 변경해서 설정했다. TAA(DLSS 미적용)와 DLSS(품질, 프레임 생성 4x 적용)로 비교했다.









모델 렌더링 옵션 평균 FPS 최소 FPS 최대 FPS 주요 특징
RTX 5060 Ti DLSS 품질 + FG 4× 291.19 238.72 342.47 평균 FPS가 300에 근접
RTX 5060 Ti TAA (DLSS 미적용) 85.47 51.72 189.43 프레임 생성 미사용 시 풀옵션에서 상대적으로 평범한 성능
RTX 5070 DLSS 품질 + FG 4× 361.02 265.11 480.77 DLSS FG 적용 시 5060 Ti 대비 +24% 이상 향상, 평균 360FPS 유지
RTX 5070 TAA (DLSS 미적용) 109.79 59.04 175.32 DLSS 미적용 상태에서도 100FPS 돌파, 성능 여유 확보





▲ RTX 5070 DLSS 미적용(TAA) 결과. 평균 109.79프레임으로 풀옵션에서 100프레임을 넘긴다. 최소 프레임은 59.04프레임이다.




▲ RTX 5070 DLSS 품질, 프레임 생성 4x 결과. 아예 급이 달라진다. 이 정도면 360Hz 모니터에서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다.

게임2. 몬스터 헌터 와일즈

몬스터 헌터 와일즈는 전용 벤치마크 툴을 사용했다. FHD 해상도에 DLSS를 적용한 상태에서 프레임 생성 적용 유무로 프레임이 얼마나 상승하는 지 확인했다. 참고로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경우 총점도 함께 표기되는데, 프레임 생성 기능을 켜면 총점이 떨어지는 구조다. 따라서 해당 결과는 총점보다는 평균 프레임 향상에 중점을 두고 확인했다.

구분 프레임 생성 평균 FPS 향상률
RTX 5060 Ti ON (DLSS+FG) 87.37 +41.7 % ↑
RTX 5060 Ti OFF 61.68
RTX 5070 ON (DLSS+FG) 162.13 +57.5 % ↑
RTX 5070 OFF 102.98





▲ RTX 5050 DLSS 프레임 생성 미적용 결과.




▲ RTX 5050 DLSS 프레임 생성 적용 결과. 적용 후 프레임이 57.5% 상승했다.

게임3. 사이버펑크 2077

사이버펑크 2077은 레이트레이싱:오버드라이브 옵션을 통해 성능을 확인했다. 물론 실제 게임에서는 프리셋을 낮춰 쾌적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물론 실제 게임 시 RT 오버드라이브 대신 다른 옵션을 선택하게 될 텐데, 그 때 DLSS와 함께 MFG 4x를 적용한다면 쾌적한 게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구분 프레임 생성 평균 FPS 향상률
RTX 5060 Ti ON (DLSS + MFG 4x) 93.07 +66.9 % ↑
RTX 5060 Ti OFF 55.73
RTX 5070 ON (DLSS + MFG 4x) 239.87 +228.7 % ↑
RTX 5070 OFF 72.98





▲ 프레임 생성 미적용 시에는 72.98프레임이다. 일단 60프레임은 넘기긴 했는데 좀 아쉽다.




▲ 프레임 생성 적용 후. 말이 필요없다. 240Hz 모니터를 가져오자.


** 편집자 주





단순한 퍼포먼스인줄 알았더니 하이엔드였던가. GALAX RTX 5070 EX GAMER BLACK OC를 만져보고 든 생각이다. 디자인부터 SF 영화처럼 멋지며, 쿨링 설계도 세심했다. WINGS 3.0 트리플팬 구조, 제로팬 로직 덕분에 장시간 게임 세션에서도 일정한 온도와 팬 소음을 유지했다.

특히 성능. DLSS 프레임 생성 기능을 사용하니 아예 카드의 급이 달라져 보인다.

무서운 기능이다. 평균 프레임뿐 아니라 프레임타임 안정성까지 확보되어 전투 장면에서의 미세한 끊김조차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둠: 더 다크 에이지스’에서는 360FPS를 돌파했고, ‘사이버펑크 2077’의 RT 오버드라이브 옵션에서도 240Hz 모니터를 버겁지 않게 소화했다. 풀 옵션으로도 이 정도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그래픽카드는 흔치 않다.




왜 스팀 점유율 1위인지 알 수 있었다. 지금 가장 권장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로 손색없다. RTX 5070 Ti는 가격대가 크게 상승하고, 그렇다고 해서 RTX 5060 Ti처럼 어딘가 조금 아쉬울 것도 없다. 현실적인 소비 전력 덕분에 합리적인 요구 사양을 갖췄고, QHD·FHD 어느 환경에서도 프레임을 잘 뽑아낸다. 이유가 확실하다.

결론을 정리하자면 GALAX RTX 5070 EX GAMER BLACK OC D7 12GB는 퍼포먼스 그래픽카드의 모범이라 볼 수 있다. 조용하지만 강하다. 이런 친구라면 게이밍 담당으로 임명하더라도 크게 아쉬울 일은 없어 보인다. 더구나 지금은 겨울방학을 앞두고 있다. 이젠 놀아야 할 타임이다.


By 김현동 에디터  Hyundong.kim@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 학습 포함 금지〉





     [위클리포스트 주요 기사]
· 갤럭시 'RTX 5050 vs RTX 5060 Ti' 그래픽카드 DLSS 성능 차이는?
· 에이수스, 인텔 익스피리언스 스토어 팝업서 ‘ASUS & ROG 브랜드위크’ 개최
· 강남에 등장한 에이서×인텔 AI 팝업스토어 [가보니] 김홍철 에이서코리아 부장에게 듣는 브랜드 전략
· Thermalright Peerless Assassin 140 Digital [써보니] 요즘 PC 빌드에 딱 맞는 공랭 쿨러
· 에이서, ‘인텔 익스피리언스 스토어 서울’에서 프레데터·스위프트 AI 노트북 체험존 운영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DPG 모아보기 전체 둘러보기
1/1
구매가이드 주방엔 이 패드, 욕실엔 저 패드? 역대급 맞춤형 229만 원짜리 로봇청소기 [이 구역의 미친X]
ㄷㅂㄷ 겨울만 되면 얼어 죽는 당신을 위한 '겨울용품템!'
댕냥이게시판 장난감에 격하게 리액션 해주는 아깽이
소비자사용기 SAPPHIRE 라데온 RX 9060 XT PULSE OC D6 8GB 초간단 사용기
자유게시판 금요일 저녁이네요 (1)
당첨후기 [수령 인증] 2025 흑백 콤퓨타 PC 갬성 전쟁, 빙글빙글 룰렛 이벤트
자유게시판 길가다가 큰 소리나서 봤더니만 이상한 노인이...
당첨후기 2025 흑백 콤퓨타 ~ 룰렛에서 당첨된 알파스캔 AOC AM402 ~ 모니터암 도착 (3)
입소문쇼핑 [네이버] HP 가성비 끝판왕 사무용 인강용 Ai 완벽 노트북 [55만원대]
입소문쇼핑 [네이버] ASUS 노트북 라이젠5 가성비 사무용 포토샵 대학생 직장인 인강용 (58만혜택가)
취미 상품포럼 블소네오 클래스 하나 나옵니다 (1)
입소문쇼핑 [네이버] 2025년 LG그램 노트북 AI AMD 크라켄5 노트북 [114만원대]
입소문쇼핑 [네이버] ASUS 노트북 비보북15 사무용 포토샵 대학생 직장인 인강용 [49만원대]
입소문쇼핑 [네이버] HP노트북 네로 라이젠5 사무용 포토샵 대학생 [45만원대 혜택가]
입소문쇼핑 [네이버] 레노버 노트북 아이디어패드 라이젠5-8640HS Ai 램8GB NVME256GB (혜택가 58만원대)
체험단 게이밍 키보드 추천 체리 엑스트리파이 MX 8.2 PRO TMR TKL 래피드 트리거 자석축 키보드 후기 (1)
입소문쇼핑 [네이버] HP빅터스 게이밍 RTX4060 FC온라인 디아블로 배틀그라운드 노트북(110만혜택가)
전문가 리뷰 MSI MAG 274UPDF800 E16M : 더 많은 유저가 경험하게 될 미니 LED 시대
입소문쇼핑 [네이버] LG노트북 인텔 i5 가성비 대학생 노트북 (59만혜택가)
쇼핑뉴스 알파스캔, 27형 240Hz 신제품 ‘27F60G 블랙’ 출시 행사 진행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