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축’ 타입의 키보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물리적 접촉에 의해 키의 눌림을 알아채는 지금까지의 키보드와는 달리 ‘광축’ 스위치를 쓴 키보드는 각각의 키마다 장착된 적외선 센서에 의해 키 입력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기계식 축보다 입력 속도가 빠르며, 접점 부위의 마모나 이물질에 의한 간섭, 습기로 인한 부식 등의 문제가 현저히 줄여 드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기존 기계식 키보드의 키감은 그대로 유지시켜 키보드를 고르는 또 하나의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PC주변기기 전문 제조 수입원인 콕스는 광축 스위치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한 신제품 ‘COX CK700 라이트닝 카일 광축 완전방수 한영이중사출 게이밍’을 새롭게 선보였다. 보급형 기계식 키보드에서 높은 가성비로 인기가 높은 카일(KAILH) 유닛을 사용했으며, 완전 방수를 적용해 일시적으로 문에 담가도 문제가 없다. 화려한 LED로 주목을 끄는 것은 물론이고, 개별 스위치 교체 방식을 사용해 불량 키만 쉽게 교체할 수 있어 합리적이며,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철재로 된 상판을 적용하고, 핵심 부품인 센서유닛은 진동이나 압력에도 견디도록 설계되어 내구성 또한 뛰어나다.
![]() |
||
| ▲ COX CK700 라이트닝 카일 광축 완전방수 한영이중사출 게이밍 | ||
| 모델명 |
COX CK700 라이트닝 카일 광축 완전방수 한영이중사출 게이밍 |
| 유무선 타입 |
유선 |
| 연결 방식 |
USB |
| 스위치 |
기계식(카일 옵티컬 스위치, 스위치 교체 타입) |
| 동시 입력 |
무한 |
| 키 수명 | 8,000만회 |
| 폴링레이트 | 1000Hz |
| 케이블 |
직조케이블(1.8미터) |
| 주요 특징 |
LED 백라이트 효과 |
| 크기 |
438mm x 150mm x 44mm |
| 무게 |
약 1.3kg |
| 보증 기간 |
무상 1년 |
모던하면서 깔끔한 블랙 색상의 키보드이다. 화려한 모습에 시선을 끄는 일부 게이밍 키보드와 비교하면 밋밋해 보일 수 있지만 그만큼 쉽게 질리지 않아 오래 두고 쓸 수 있다. 심플한 디자인 탓에 좌측 상단 COX 로고와 더불어 키캡에 인쇄된 한영 문자가 더욱 눈에 들어온다.
![]() |
||
![]() |
||
| ▲ 비키 스타일을 적용했다. | ||
상판은 메탈 재질을 사용했다. 덕분에 키보드가 다소 묵직한 느낌이다. 키보드 무게감이 높으면 키보드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며, 매 타이핑마다 발생되는 미세한 흔들림을 잡아준다. 또한 뒤틀림이나 충격 등에 강해 내구성이 뛰어나다.
![]() |
||
| ▲ 상판은 메탈 재질을 사용해 내구성을 높였다. | ||
![]() |
||
![]() |
||
| ▲ 고무패드를 부착해 사용중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 ||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라스틱 커버가 제공된다. 투명 재질을 사용해 덮어둬도 키보드가 그대로 드러나 보인다.
![]() |
||
| ▲ 플러스틱 커버가 제공된다. | ||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데스크톱, 노트북 등 어떤 형태의 PC에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 길이는 1.8m에 이르기 때문에 PC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넉넉하게 연결, 사용할 수 있다. 커넥터는 금도금 처리하고, 패브릭 재질을 사용해 단선 방지 등 내구성을 높였다. 케이블 중간에는 노이즈 필터도 달았다.
![]() |
||
![]() |
||
| ▲ 케이블은 원하는 방향으로 쓸 수 있다. | ||
사용자의 자세 및 선호도에 따라 키보드 뒷부분을 올려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받침대를 적용했다. 여기에도 고무 패드를 입혀 받침대를 세우더라도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 |
||
![]() |
||
| ▲ 적외선에 의해 키 입력을 인식하는 광축 타입이다. | ||
![]() |
||
| ▲ 키를 누르면 표시된 축이 내려오며, 센서에 영향을 줘 키 입력을 인식한다. | ||
한편 진동과 심한 압력에도 문제 없도록 센서유닛은 3면 고정 방식으로 튼튼하게 고정했다. 센서는 좁은 각도로 적외선광을 밀집시킬 수 있도록 설계했다. 전압이 떨어지거나 렌즈 오염으로 광량이 감소해 신호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했다. 또한 센서의 수신 범위를 좁혀 주변 키 유닛간 광 간섭 문제도 해결했다. LED 타입의 광원을 사용해 센서 수명은 약 5만 시간에 이른다.
![]() |
||
| ▲ 센서유닛은 3면 고정 방식으로 튼튼하게 고정했다. | ||
소비자 입장에서는 광축이 생소할 수 밖에 없는데 키 스위치 개발사인 카일에 따르면 광축은 일반 기계식 스위치에 비해 45% 빠른 재입력이 가능하며, 센서의 스캔 속도가 빨라 스피드를 강조하는 다른 스위치의 입력 속도와 비교해도 충분히 견줄만한 성능을 낸다고 밝히고 있다.
스위치는 안정적인 클릭과 경쾌한 클릭 사운드를 위해 클릭 스프링을 넣었으며, 먼지를 제거하고, 물이 스며들 경우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별 키 스위치마다 배수홀을 넣었다. 축은 쉽게 부러지지 않도록 내구성을 높였다. 약 8천만회 클릭을 보증한다.
![]() |
||
물론 키보드 물빠짐을 위한 배수 구멍을 적용해 물을 쏟더라도 바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했다.
![]() |
||
| ▲ 표시된 부분이 배수 구멍이다. | ||
스위치마다 개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도 특징이다. 키보드를 오랜 시간 쓰다 보면 자주 사용하는 특정 키가 먼저 망가지곤 하는데 키보드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해 고장 나더라도 수리 비용 부담이 매우 낮다. 키 스위치를 교체하기 위한 키캡 리무버와 키 스위치 리무버가 함께 제공되므로 시간과 비용을 들여 서비스센터로 갈 필요도 없다. 여분의 키 스위치만 있으면 집에서도 몇 분만에 스위치 교체가 가능하다. 특히 광축 타입의 이 제품은 키 스위치와 PCB간 접점이 없으므로, 분리 및 장착 과정에서 접점이 손상되는 일도 없어 매우 편리하다.
![]() |
||
| ▲ 키캡 분리를 위한 리무버 | ||
![]() |
||
| ▲ 키 스위치 모듈도 전용 리무버로 분리할 수 있다. | ||
최근 트렌드에 맞춰 화려한 LED 효과는 덤으로 넣었다. PC에 키보드를 연결하면 옐로우 LED가 키보드 전체를 밝혀준다. 은은하며, 자극적이지 않아 늘 LED를 켜 놔도 부담이 없다. 각각의 키캡은 영문 뿐만 아니라 한글 각인 부분까지 이중사출 방식을 적용해 한글 부분도 LED로 밝혀준다.
![]() |
||
![]() |
||
![]() |
||
WASD처럼 게임에서 자주 쓰는 특정키만 LED가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총 3가지 모드가 기본 세팅되어 있으며, Fn키와 숫자 1/2/3키에 의해 빠르게 바꿀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키만 LED를 켤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기능도 제공된다.
![]() |
||
![]() |
||
키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중사출로 영문 및 한글 부분을 각인 처리했다. 시간이 지나도 지워짐이 없어 구매 초기 깔끔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쉬프트,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엔터 등 좌우로 긴 키캡의 경우 체리식 스테빌라이저를 적용했다. 키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축의 흔들림이 없다. 빠른 타이핑에도 축의 튀틀림을 방지해 안정적이다.
![]() |
||
![]() |
||
1000Hz 폴링레이트를 지원, PC와 키보드 사이에 초당 1000번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어 빠른 움직임과 정밀함이 필요한 게임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반응 속도도 0.2ms로 매우 빨라 긴장감이 연속으로 이어지는 게임에서도 정확한 공격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를 위한 핫키 기능은 편리함을 더한다. Fn키와 상단 펑션키의 조합에 의해 미디어플레이어 실행은 물론이고, 재생/일시정지, 음소거, 볼륨조절, 트랙 이동 등 조작이 가능하다. 내컴퓨터, 계산기, 인터넷 브라우저 등 자주 사용하는 앱에 대한 단축키 기능도 갖고 있다.
![]() |
||
한편 COX는 앞서 설명한 플라스틱 커버 외에 키 리무버와 스위치 리무버, 그리고 청소 브러시, 받침대, PC방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PC방 전용 경고 스티커를 기본 제공한다.
![]() |
||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