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젠하이저에서 정말 출시돤지 오래됐지만 많이 팔리는 hd650을 리뉴얼한 hd660s가 출시하였습니다.
많은 분이 오랜만에 리뉴얼된 hd660s를 기다렸고 저(2디비)도 hd650을 레퍼런스로 쓰는 만큼 많은 기대를 하였습니다.
헤드폰을 딱 처음 받아봤을 떄 재질이 저가 헤드폰 플라스틱 재질이라는 생각이 딱 들었습니다. hd 650같은 경우 코팅으로 인해 광택과 메탈 소재 같은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던 반면 퇴보했지만 더 비싸진 hd 660s의 재질은 아쉬울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hd 650과 똑같습니다. 헤드폰 잭이 좀 바뀌었고 그릴에 젠하이저 마크가 추가됐다는 것 외에는 거의 같습니다.
hd 650과 내부 디자인을 보니 진동판과 그릴 위치도 거의 유사한듯 보입니다. 직접 뜯어본 이너피델리티에 따르면 진동판의 크기는 hd 650이 1.722인치인 반면에 hd 660s는 1.737인치로 약간 더 늘어났습니다. 진동판 유닛 디자인이나 특성은 오히려 hd 700 드라이버와 유사하다고 합니다.
Specification
본사 사이트에서 가져온 스펙입니다.
본 데이터는 샘플 1개의 측정 데이터로 전체 제품 특성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1. Frequency Response + Target
가장 먼저 보는 그래프는 주파수 특성 그래프에 올리브-웰티 타겟을 적용하였습니다. 올리브-웰티 타겟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상단의 측정 방법 확인 링크를 클릭해 보세요. 그리고 1/3옥타브 스무딩을 적용하여 실제 청음과 비슷하고 보기에도 편한 그래프입니다.
2디비 코멘트
hd650 실제로 비교 청음을 해보았습니다. 대체적으로 비슷한데 10k Hz 피크가 약간 더 올라간 느낌입니다. 전체적인 고역느낌이 hd650보다 밝아진 느낌도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로 10k Hz 피크가 더 올라간 것을 선호하지는 않지만 hd650이 답답하다고 느끼셨다면 더 나을 수도 있겠습니다.
저음도 hd650보다 약간 덜 나옵니다만, 청감상으로는 차이가 나는 게 명확히 구별되지는 않습니다.
전체적인 총평은 hd 650에 비해 재질 자체가 원가 절감된 부분이 많이 느껴지고 소리 자체는 개선됐다고 할만한 점이 딱히 없다는 것이 상당히 아쉽습니다.
2. Frequency Response Raw
주파수 특성 그래프의 Raw 데이터이고, 스무딩을 적용하지 않은 원본 그래프입니다.
3. THD
THD는 전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4. Impedance
스펙상 임피던스는 150옴인데, 110옴 정도로 낮게 측정됐습니다. F0가 110Hz 정도로 높은 편이어서 그런지, 극저음이 많이 내려간 것을 주파수 특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ice
인터넷 최저가 699,000원에 구매 가능
<ⓒ 영디비(http://www.0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