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헤코사의 연출 장면입니다. 무향실 측정을 저희가 수행하려면 연구소를 대여해야 하므로 AV프라임 사무실과 시청실에서 수행 가능한 방법으로 스피커 특성을 측정하였습니다. ![]() 트위터와 미드우퍼 바로 앞에 마이크를 위치하여 응답특성을 측정하였습니다. 이것을 수행하는 이유는 공간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드라이버의 응답특성을 측정하기 위함입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전문 프로용 마이크와 프로용 측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습니다. 염두해둘 사항은 이 방법은 스피커 제조사가 무향실에서 측정하는 것과 같지 않습니다. ![]() 액티브 스피커라서 트위터 측정시 우퍼음을 꺼버리지는 못했으므로 각 드라이버 측정시 상호 간섭이 다소 있었습니다. 트위터와 미드우퍼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Heco사에서 밝힌 Ascada2.0의 크로스오버지점이 2.6K Hz인데 측정 그래프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저역이 약간 부풀려져 있고 나머지 미드우퍼 담당 대역은 평탄합니다.
위 그래프는 마이크를 스피커 바로앞에 놓고 측정하였으므로 방크기, 벽반사음 등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결과값입니다. 스피커 제조사가 엄정하게 무향실에서 측정한 것과는 차이가 있겠지만 위 방식으로 측정하여 스피커의 기본 특성과 제조사의 튜닝 의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 측정 마이크를 스피커 선상에 1m 떨어진 거리에 놓고 측정을 하면 비로소 방크기에 따른 공진모드, 벽 반사음 등의 영향이 측정치에 나타나게 됩니다. 위 사진은 4층 시청실 2차 측정입니다. 그래서 그래프는 2차 측정치를 먼저 올렸습니다. ![]() 중고역 쪽은 평탄하고 중역 이하는 방의 영향을 받아서 peak와 dip, notch가 그래프에 보입니다. ![]() 2층 사무실에서 데스크에 헤코 아스카다2.0을 놓고 측정한 결과입니다. 60Hz 이상부터 제법 smooth response 특성을 보입니다. 4층 시청실은 4평 남짓하여 룸의 영향이 측정치에 많이 반영되었고 2층 사무실은 훨씬 넓은 공간이라 룸에 의한 악영향이 측정치에 덜 반영되었습니다. 위 그래프를 보니 70년 역사 독일 Heco사의 노하우를 알 수 있습니다. 실사용 환경에서 아스카다2.0은 특정대역을 강조하지 않고 60Hz이상부터 평탄한 응답특성을 재생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그리고 정말 우수한 스피커의 척도 중 하나는 좋은 소리가 나는 영역(스윗스팟)을 넓게 형성하는 것입니다. 현실적인 음악감상은 한가운데에서 가만히 정자세로 감상자가 있는게 아니라 약간 한쪽으로 치우쳐서 앉는 경우가 더 많을 것입니다. 혹은 배경음악처럼 음악을 틀어놓고 옆에서 다른일을 하는 경우도 많을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 비춰보면 스피커의 off axis 특성이 매우 중요하며 거의 대부분의 스피커 제조사들은 우수한 off axis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많은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 측정 마이크를 스피커 선상(0도)에서 45도 각도로 놓고 측정한 헤코 아스카다2.0의 응답특성입니다. on axis 특성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독일 헤코사의 우수한 드라이버 설계, 제조기술을 알 수 있습니다. off axis 특성이 나쁜 스피커의 경우 고역쪽, 트위터가 재생하는 대역에서 특정 대역의 주파수가 푹 꺼지는 측정치가 나옵니다.
한편 측정마이크가 옆벽에 가까워 졌기 때문에 저역 측정치가 on axis와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notch(좁게 푹 꺼지는 응답특성이 나타나는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로 이동하였고 저역의 레벨이 상승되어 측정되었습니다.
![]() 넓은 2층 사무실에서 데스크에 올려놓고 측정한 45도 off axis 측정입니다. 이 역시도 on axis 특성과 별 차이가 안납니다. 참고로 고역으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감쇄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무향실과 결과가 다른 이유는 방자체 흡음의 영향 때문입니다. ![]()
유럽에서의 명성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약간 생소한 브랜드인 독일 Heco사의 아스카다2.0은 우수한 음질을 바탕으로 꾸준히 잘 판매되고 있는데, 그 이유를 응답특성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동안 정확한 설명을 위해 콤필터링 효과 1차 정재파, 홀수고조파 등 전문적인 내용들을 THX 설치기에 포함해왔는데, 일반 유저들의 글의 몰입력을 떨어트리는 것 같아서 앞으로 쉬운 설명을 통해 스피커의 전문적인 분석 리포트를 소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작권자(c) AV프라임(www.avprim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