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제품소개
하이엔드라인업에 가격대성능비를 논하기는 어폐가 있지만, QHD(2560X1440)환경 풀옵션을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제품을 꼽자면, 단연 RTX 2070 SUPER가 가장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RTX 2060 SUPER는 풀옵션에서 프레임방어가 힘든 경향이 있으며, RTX 2080 SUPER 4K(3120X2160)에는 다소 부족한 반면, QHD에서는 다소 넘치는 성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GIGABYTE GeForce RTX 2070 SUPER WINDFORCE OC D6 8GB는 이전에 리뷰했던 GIGABYTE GeForce RTX 2070 SUPER Gaming OC D6 8G 리뷰링크와 동일한 3X WINDFORCE 쿨링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LED 미탑재, 방열판 자체도 히트파이프가 1개 부족한 5개로 물리적인 차이가 크지 않고,성능상으로는 GPU CLOCK 50Hz의 차이만 보이기 때문에 실상 거의 유사한 성능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습니다.
반면 가격차이는 약 5만원내외로 비교적 크기때문에 가성비측면에서 확실히 유리한 포지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GIGABYTE GeForce RTX 2070 SUPER WINDFORCE OC D6 8GB의 외형, 내부 및 소음대비 발열해소능력을 플웨즈 전문계측장비와 여러 벤치마크테스트를 통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품 특성
※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gigabyte.com/kr/Graphics-Card/GV-N207SWF3OC-8GD/sp#sp
2 . 패키지 및 외형
▲ 패키지 정면에는 회사 로고와 보증 안내 스티커, 그리고 제품명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 그래픽 카드 본체와 드라이버 및 유틸리티 디스크, 빠른안내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출력 단자는 3개의 DP 1.4a 포트와 1개의 HDMI 2.0b 포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알루미늄재질의 백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GIGABYTE로고가 중앙에 위치해 있습니다.
3 . PCB 및 쿨러
▲ 쿨러 후면 사진입니다. 5개의 히트파이프가 직접적으로 GPU의 열을 식히는 구조입니다.
▲ TU104-410-A1 칩셋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8GB의 마이크론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7+2페이즈의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 . 테스트 구성
그래픽 카드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실내 온도는 주기적인 온도 관리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구성과 GPU-Z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기본(Default)상태.
▲ 수동오버클럭(OverClock)상태(코어 +80MHz, 메모리 +800MHz)
그래픽 카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다각적 측면에서의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테스트는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지표로 나타내주는 벤치마크 툴을 측정하고 여러 계측장비를 이용한 실측 테스트를 통해 소음, 발열, 안정성을 살펴봤습니다 .
시스템의 외적인 부분에 영향을 주는 "코어 온도"와 "소비전력" 또한 별도로 측정을 진행했으며, 해당 테스트는 Unigine SUPERPOSITION Benchmark 1.0을 이용해 진행했습니다.
세부적인 테스트 내용과 항목은 각 항목의 폴딩 메뉴를 펼치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벤치마크 툴 테스트
- 3DMark Fire Strike
- 3DMark Time Spy
- VRMark Cyan/Blue
- Unigine SUPERPOSITION Benchmark 1.0
■ FutureMark 3DMark : Fire Strike
![]() |
![]() |
- Fire Strike : Normal, Ultra
※ 3DMark Test Entry : Default / Demo OFF / Graphics Score
■ FutureMark 3DMark : Time Spy(DX12)
![]() |
![]() |
- Time Spy : Normal, Extreme
※ 3DMark Test Entry : Default / Demo OFF / Graphics Score
■ FutureMark VRMark : Cyan/Blue
![]() |
![]() |
![]() |
![]() |
- VRMark : Cyan Room
- VRMark : Blue Room
■ UNIGINE SUPERPOSITION Benchmark 1.0
![]() |
![]() |
- Benchmark 실행
※ Preset : 1080p High
■ 온도, 소음, 소비전력 측정
- 발열 측정 : 코어 온도 및 전원부 온도
- 소음 측정
- 소비전력 측정
■ 코어 온도 및 전원부 온도 측정
- 테스트 : Unigine Superposition Stress Test를 10분간 실행 후 측정(LOAD), 이후 시스템을 10분간 유휴 상태로 둔 뒤 재측정(IDLE)
- 측정 방법1 : LOAD / IDLE 상태에 따라 HWiNFO64를 통해 얻어지는 코어 온도 값을 1초(1,000ms) 단위로 저장
- 측정 방법2 : FLIR E30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원부 부근의 PCB 후면 및 측면 온도 측정
■ 소음 측정
- 테스트 : Unigine Superposition Stress Test를 10분간 실행 후 측정(LOAD), 이후 시스템을 10분간 유휴 상태로 둔 뒤 재측정(IDLE)
- 측정 방법 : Cirrus CR-172A 테스터기를 통해 얻어지는 평균 소음치와 NC(Noise Criteria) 값을 확인
■ 소비전력 측정
- 테스트 : Unigine Superposition Stress Test를 10분간 실행 후 측정(LOAD), 이후 시스템을 10분간 유휴 상태로 둔 뒤 재측정(IDLE)
- 측정 방법 : Wattman HPM-100A 테스터기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 값의 평균치 및 최대치를 계산
■ 코어 클럭 속도 측정
- 테스트 : Unigine Superposition Stress Test를 10분간 실행하면서 측정
- 측정 방법 : HWiNFO64를 통해 얻어지는 코어 클럭 값을 1초(1,000ms) 단위로 저장
5 . 성능테스트 : 벤치마크 비교테스트
■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
■ 원본 데이터
1.3DMARK Fire Strike Normal 위 Default, 아래 수동오버클럭
2.3DMARK Time Spy Normal 위 Default, 아래 수동오버클럭
3.VRMARK Cyan Room 위 Default,아래 수동오버클럭
4.VRMARK Blue Room 위 Default,아래 수동오버클럭
5.SUPERPOSITION BENCHMARK 위 Default, 아래 수동오버클럭
6 . 성능테스트 : 하드웨어 측정결과
■ 온도 측정 결과
▲ 풀로드시 측(좌), 후면(우) 온도.
*백플레이트제거 상태에서 측정
■ 소음 측정 결과
▲ 수동 오버클럭시 쿨링팬 소음 주파수 분포(풀로드).
▲ Default에서 쿨링팬 소음 주파수 분포(풀로드).
유휴(idle)상태에서는 팬정지로 인한 0dBA이며, 풀로드에서도 Default기준 35.2dBA, 고주파음 영역인 1KHz는 301dBA수치를 보였습니다. 오버클럭시에는 37.3dBA로 소음치 증가폭이 크지 않으며, 소음주파수자체가 저음에 몰려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는 물론 오픈케이스에서도 소음에 대한 스트레스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소비전력 측정 결과
*일반적인 2070 SUPER제품들과 오차범위 수준의 전력소모 차이를 보입니다.
■ 코어 클럭 속도 측정 결과
7 . 결론
5개의 히트파이프와 WINDFORCE 3X로 하이엔드다운 정숙함과 안정성을 보여준 GIGABYTE GeForce RTX 2070 SUPER WINDFORCE OC D6 8GB
GIGABYTE GeForce RTX 2070 SUPER WINDFORCE OC D6 8GB는 국내출시된 GIGABYTE RTX 2070 SUPER제품군들 중 막내에 해당되지만, 오픈케이스에서 사용하기에도 무리없는 정도의 정숙한 소음대비 좋은 발열억제력으로 일반적인 2팬 제품들대비 확실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RTX 2070 SUPER자체가 하이엔드 제품군으로 가격대가 저렴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상위제품군들과 비교시에는 확실히 좋은 가성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LED등의 튜닝효과가 필요없는 유저에게는 확실한 메리트로 자리매김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됩니다. 단, 전원부 자체가 7+2페이즈로 적당한 오버클럭시에는 양호한 발열을 보이지만, 극오버를 즐기는 유저라면 좀 더 상위 제품으로 선택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벤치마크 성능
각종 벤치마 테스트에서 일반적인 RTX 2070 SUPER와 유사한 성능으로 QHD환경에서는 풀옵션, 4K환경에서는 옵션조정을 통해 게임라이프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온도, 소음, 소비전력
※ 온도, 소음, 소비전력은 동일 제품이라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시스템 환경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GIGABYTE GeForce RTX 2070 SUPER WINDFORCE OC D6 8GB는 RTX 2070 SUPER의 발열을 양호하게 제어하고 있습니다. 풀로드시 코어 온도가 65도, 오버클럭시에는 66도로 유지되며, 전원부역시 오버클럭 유무에 상관없이 70~75도수준이기 때문에 발열로 인한 문제가 생길 소지가 크지 않습니다. 유휴상태(팬 정지)에서의 발열은 코어,전원부 모두 50도 내외로 무난합니다.
소음은 유휴 상태에서는 팬 정지로 인한 0dBA, 풀로드시에는 35.2~37.3dBA로 정숙하며, 주파수 특성역시 저음쪽에 몰려 있기 때문에 오픈케이스에서 사용하시더라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소비전력면에서는 일반적인 NVIDIA RTX 2070 SUPER제품군들과 비슷합니다.
인터넷 최저가 : 64만원대(리뷰작성일 기준)
<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